[전문인칼럼]모빌리티가 세상에 스며들다!

  • 오피니언
  • 전문인칼럼

[전문인칼럼]모빌리티가 세상에 스며들다!

윤경준 배재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학과 교수

  • 승인 2024-03-31 19:02
  • 신문게재 2024-04-01 18면
  • 박병주 기자박병주 기자
윤경준 교수(배재대-무역물류학과)
윤경준 배재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학과 교수
최근 모빌리티(Mobility)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된다. 익숙할 때도 되었지만 쉽게 와닿지 않는다는 사람이 많다. 모빌리티의 사전적 의미는 '유동성 또는 이동성·기동성' 을 뜻하지만, 사람들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데 기여하는 각종 서비스나 이동수단을 폭넓게 일컫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결국 '목적지까지 빠르고 편리하며 안전하게 이동함'을 핵심으로 한다. 예컨대 자율주행차, 드론, 마이크로 모빌리티, 전기차 등 각종 이동수단은 물론 차량호출, 승차공유, 스마트 물류, 협력 지능형 교통체계(C-ITS) 등 다양한 서비스 등이 모빌리티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이미 우리는 전기차와 드론 등 이동수단과 차량호출 등이 포함된 모빌리티의 다양한 영역에서 생활하며 그 편리함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지만 인식을 못했다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정부의 모빌리티 육성 정책을 담당하는 국토교통부에서는 2022년 9월부터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을 발표하여 모빌리티 분야의 대대적인 혁명을 통한 일상구현과 글로벌 선도의 역할을 위한 세부과제를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국토부에서 발표한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의 세부과제를 살펴보면 완전자율주행, 항공 모빌리티, 스마트 물류 모빌리티, 다양한 이동 서비스, 모빌리티와 도시융합이라는 5가지 키워드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과제인 '운전자가 필요 없는 완전자율주행 시대개막' 은 2025년부터 운전자 없는 버스의 상용화부터 시작해 2027년 운전자 없는 승용차, 2035년에는 완전자율주행의 대중화를 목표로 한다. 두 번째 세부 과제인 '교통체증 걱정 없는 항공 모빌리티 구현' 은 2025년 수도권 특정 노선에 UAM(도심항공교통) 상용 서비스 출시를 필두로 2030년 주요 권역별 UAM서비스 활성화, 2035년에는 UAM과 자율차, 대중교통 등을 연계하여 목적지까지 단절 없는 이동을 실현한다.



세 번째는 '스마트 물류 모빌리티로 맞춤형 배송체계 구축'으로 2023년부터 시행 중인 무인배송 제도화를 시작으로 2027년 자율주행 화물운송 상용화, 도시철도망을 활용한 지하물류 서비스 도입, 2040년 하이퍼튜브나 도심 지하튜브 등을 통한 전국 반나절 운송 초고속 서비스 실현을 계획하고 있다.

네 번째로 추진 중인 '모빌리티 시대에 맞는 다양한 이동서비스 확산' 은 이미 2023년부터 도입된 수요응답형 서비스 버스가 운행 중이며 2025년까지 Super-BRT 운영 확대, 2035년 대중교통, 철도, 렌터카, 택시 등의 모든 모빌리티를 연계해 전국 단위의 Maas(Mobility as a Service), 즉 사람의 이동관점에서 모빌리티와 관련된 모든 서비스 구현을 목표로 한다.

마지막 다섯 번째 '모빌리티와 도시 융합을 통한 미래도시 구현' 에서는 2025년 자율주행 주차로봇 서비스와 2028년 자율주행, 디지털 물류, 수요응답형 서비스 등 모빌리티가 전면 적용되는 특화도시 입주, 2040년에는 모든 신규 개발지구에서 자율주행, UAM, 스마트 물류 등 미래 모빌리티를 전면적으로 구현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은 2022년부터 2040년까지 단·중장기의 세부적인 계획과 목표를 토대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모빌리티의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뒷받침하기 위해 모빌리티 혁신 및 활성화 지원에 관한 법률을 2023년 10월 19일부터 시행하여 모빌리티와 모빌리티 수단·기반시설, 첨단 모빌리티에 대한 정의와 그 계획 수립 등에 관한 근거를 신설하였다.

정부에서 이처럼 빠르게 변화되는 세상의 트렌드에 맞추어 모빌리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제도개선, 혁신로드맵 수립, 법령 제정 및 시행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민간에서는 정부가 변화의 대응에 늦다는 일부 불평도 나오고 있다. 그만큼 모빌리티의 발전폭이 크다는 것임을 인지하고 정부에서 더 많은 역할을 해주었으면 한다. 왜냐하면 이미 모빌리티는 세상에 아주 빠르게 스며들고 있기 때문이다./ 윤경준 배재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전 반대 "정치권 힘 있는 움직임 필요"
  2.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수두룩…"신원확인·모니터링 강화해야"
  3. 세종시 대평동 '종합체육시설' 건립안 확정...2027년 완공
  4. 2025년 국가 R&D 예산 논의 본격화… 출연연 현장선 기대·반신반의
  5. [썰: 기사보다 더 솔깃한 이야기] 최규 대전 서구의원, 더불어민주당 복당?
  1. 학생 온라인 출결 시스템 '유명무실' 교원들 "출결 민원 끊이지 않아"
  2. 대전시의회, 임시회 시정질문… 이장우 "법 어길 수 없다" 중앙로 지하상가 강경입장
  3. 감스트, 대전 이스포츠 경기장서 팬사인회… 인파 몰려 인기실감
  4. 민주평통 유성구협의회, 백두산 현장견학… "자유민주주의 평화통일의 길을 찾아서"
  5. [사설] 불법 홀덤펍, 지역에 발붙여선 안 된다

헤드라인 뉴스


장애인활동지원사 부정수급 만연…"모니터링 강화해야"

장애인활동지원사 부정수급 만연…"모니터링 강화해야"

<속보>=대리 지원, 지원시간 뻥튀기 등으로 장애인 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사례가 만연한 가운데, 활동지원사 신원확인과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도일보 2024년 5월 2일자 6면 보도> 2일 취재결과, 보건복지부 장애활동지원 사업으로 활동하는 장애인활동지원사는 장애인의 가사, 사회생활 등을 보조하는 인력이다. 하지만, 최근 대전 중구와 유성구, 대덕구에서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민원이 들어와 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대부분 장애 가족끼리 담합해 부정한 방식으로 급여를 챙겼다는 고발성 민원이었는데, 장..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대입에서 충청권 의과대학 7곳이 기존 421명보다 389명 늘어난 810명을 모집한다. 올해 고2가 치르는 2026학년도에는 정부 배정안 대로 970명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대전지역 의대는 199명서 156명이 늘어난 355명을 2025학년도 신입생으로 선발하고, 충남은 133명서 97명 늘려 230명, 충북은 89명서 136명 증가한 225명의 입학정원이 확정됐다. 2일 교육부는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과 함께 '2025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 제출 현황'을 공개했다. 2025학년도 전국 의대 증원 총..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는 민원인이 담당 공무원과 전화 통화를 하며 폭언하는 경우 공무원이 먼저 통화를 끊어도 된다. 기관 홈페이지 등에 공개돼 이른바 '신상털기(온라인 좌표찍기)'의 원인으로 지목돼 온 공무원 개인정보는 '성명 비공개' 등 기관별로 공개 수준을 조정한다. 행정안전부는 2일 국무총리 주재 제38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악성민원 방지 및 민원공무원 보호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올해 3월 악성민원에 고통받다 숨진 채 발견된 경기 김포시 9급 공무원 사건 이후 민원공무원 보호가 필요하다는 사회적 여론에 따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덥다,더워’…어린이날 전국에 더위 식혀줄 비 예보 ‘덥다,더워’…어린이날 전국에 더위 식혀줄 비 예보

  •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