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유재일 사회공헌연구소 대표

  • 사람들
  • 뉴스

[인터뷰]유재일 사회공헌연구소 대표

지역정책포럼에서 중도일보 오피니언면에 <프리즘> 칼럼 연재하는 유 대표의 책 <통합정치와 리더십> 출판 기념 축하 모임 갖다

  • 승인 2024-06-14 10:45
  • 수정 2024-06-16 14:34
  • 신문게재 2024-06-17 6면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20240613_192226
지역정책포럼 설립자인 유재일 사회공헌연구소 대표(전 대전대 교수)의 책 <통합정치와 리더십> 출간을 축하하기 위해 지역정책포럼 회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2006년 지역정책포럼을 설립해주시고 18년 동안 지역 오피니언 리더들을 이끌어주신 유재일 교수님께서 <통합정치와 리더십> 을 발간하심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지역정책포럼(공동대표 안기돈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한성일 중도일보 국장) 회원 교수들은 13일 저녁 둔산동 모 식당에서 유재일 사회공헌연구소 대표(전 대전대 교수)의 책 <통합정치와 리더십> 출판 기념 모임을 가졌다.

이날 유 대표의 책 출간을 축하해주기 위해 지역정책포럼 공동대표인 안기돈 교수와 한성일 국장, 회원인 김영진 대전세종연구원장, 신희권 교수, 정주영 교수, 임재일 교수, 김창수 교수, 서기자 교수, 이재현 교수, 금홍섭 교수, 김경희 대표, 유병선 연구원, 허택회 교수, 김정현 교수 등이 참석해 유 대표에게 축하 덕담을 전했다.

유재일 대표는 이날 지역정책포럼 교수들 앞에서 출간 소감으로 “대전대 교수 정년 후 3년 반에 걸쳐 수많은 자료들을 수집하고 강단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던 콘텐츠들과 음악 소개를 곁들여 균열과 갈등을 경합과 협치로 만드는 사람들을 소재로 한 리더십 책을 발간했다”며 “정치 현실에서 통합을 실현한 세계의 정치 지도자 10인을 알게 되는 쏠쏠한 재미가 있으실 것”이라고 말했다.



유 대표는 “ 갈등공화국인 우리나라는 압축적 경제성장과 함께 압축적인 민주화를 통과하면서 사회갈등과 정치갈등이 해소되지 않은 채 새로운 갈등을 맞는 구조로 뒤엉켜 있다”며 “남북한의 갈등, 이념갈등, 국가와 시민 간 갈등, 계층간 갈등 등 다양한 갈등이 강도 높게 혼재돼 있다”고 말했다.

유 대표는 “저는 경합과 협치의 정치는 어떻게 가능한지 세계 정치지도자 10인의 사례를 통해 갈등 해소 방법으로 '통합정치'를 짚어냈고 그들의 리더십을 통해 그 힌트를 얻어냈다”고 전했다.

news-p.v1.20240613.59699d1460b94874943ee4e57de83326_P1
유 대표는 "사회균열이 주로 국가권력, 정치권력과 관련된 정치적 사안들을 중심으로 발생한다"며 "정치균열이 사회균열을 제한적으로 반영하고 일부 사회갈등을 정치투쟁으로 전환시키면서 사생결단식 갈등을 낳고 있다"고 진단했다.

유 대표는 또 "통합정치에 대한 정치지도자들의 의지와 실천이 절실히 요구된다"며 “갈등을 상승 에너지로 바꿀 수 있는 방법으로 '통합'과 이를 이끄는 '통합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적대와 배제의 정치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정치문화, 정치제도, 정치리더십에서 찾았다”며 “문화와 제도는 서로 톱니처럼 맞물려 있고 종국엔 리더십을 만나게 된다”고 말했다. 또 “통합의 정치를 향한 '관용적 시민문화와 정치적 다원주의'와 '협의제 민주주의와 권력분립'이 '좋은 정치 리더십'과 융합할 때 '통합'을 이뤄낼 수 있는 선순환의 그림을 완성할 수 있게 되는 셈”이라고 전했다.

유 대표는 “좋은 정치리더십을 갖추기 위한 필요조건은 명예심, 권력의지, 공사구분, 정치기술이고, 충분조건은 진실, 용기, 관용, 통찰”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의 김대중과 함께 중국의 쑨원, 미국의 루스벨트, 인도의 네루, 프랑스의 미테랑, 남아공의 만델라, 영국의 블레어, 일본의 무라야마, 독일의 메르켈, 브라질의 룰라를 '통합 리더십'의 주인공으로 꼽았다”며 "희망과 미래의 공동체를 만들어 가고자 하는 시민과 정치리더를 포함한 모든 정치행위자들의 정치적 윤리와 사려깊음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책 표지에 빈센트 반 고흐의 그림 '붓꽃들'을 담은 유 대표는 “통합정치가 진흙에서 자랐지만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고고한 연꽃이나 아름답지만 뾰족한 가시 때문에 위험하게 느껴지는 화사한 장미보다는 칼 모양의 잎과 붓을 닮은 꽃봉오리를 지닌 다채로운 붓꽃과 같다” 며 "고결한 정치나 열정의 정치보다는 들녘이나 도심 곳곳에서 쉽게 마주할 수 있는 붓꽃이 함축하는 다양성과 연결의 정치"라고 설명했다.

한편 지역정책포럼 설립자로 현재 사회공헌연구소 대표를 맡고 있는 유 대표는 논산 출신으로, 대전고와 고려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전대 교수, 한국정당학회장, 국회도서관장을 역임했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법원, 유튜브 후원금 횡령 혐의 40대 여성 선고유예
  2. 캄보디아서 구금 중 송환된 한국인 70%, 충남경찰청 수사 받는다
  3. 천안시, 직원 대상 청렴·반부패 추가교육 실시
  4. 대한전문건설협회 대전시회, '중대재해 근절 성실·안전시공 결의식' 개최
  5. 대만 노동부 노동력발전서, 한기대 STEP 벤치마킹
  1. 천안시, '정신건강의 날 기념' 마음건강 회복의 장 마련
  2. 천안시의회 이병하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제 운영' 등 2건 상임위 통과
  3. 천안동남소방서, 현장대응활동 토론회 개최
  4. 천안시 보건소, '영양플러스 유아 간식 교실' 운영
  5. 한화이글스의 가을…만원 관중으로 시작

헤드라인 뉴스


국감 중반전…충청 슈퍼위크 돌입 촉각

국감 중반전…충청 슈퍼위크 돌입 촉각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가 중반전에 돌입한 가운데 대전시와 세종시 등 충청권 시도를 포함한 지역 주요 피감 기관장들이 20일부터 줄줄이 증인대에 오른다. 내년 지방선거 앞 국감에서 기선 제압을 위한 여야 각축전이 금강벨트로 확전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충청권으로선 현안 이슈파이팅으로 미래 성장 동력을 창출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다는 지적이다. 여야는 지금까지 올 국감에서 조희대 대법원장과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 등을 둘러싼 각종 의혹을 두고 정책이 실종된 채 정쟁을 벌이며 '막말 국감'을 자초하고 있다. 한껏 가팔라진 여야 대..

국감서 혹독한 평가 우주항공청, 대전에 연구개발 역량 집중해야
국감서 혹독한 평가 우주항공청, 대전에 연구개발 역량 집중해야

개청한지 1년 반이 지난 우주항공청이 국정감사에서 혹독한 평가를 받는 가운데 '우주항공 5대 강국 도약'을 위해선 대전을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는 우주항공청의 운영 체계와 인력 구성 등 조직 안정성과 정책 추진력 모두 미흡하다는 질타가 쏟아졌다. "전문가들은 우주청의 구조적 한계로 '예산 부족'을 꼽는다. 올해 우주항공청 예산은 약 9650억원으로, 1조원에도 미치지 못한다. 모든 분야를 포괄하기엔 역부족인 규모다. 여기에 입지 문제도 크다. 우주청..

대전창작센터, 원로 예술인 특화 전시관으로 전환
대전창작센터, 원로 예술인 특화 전시관으로 전환

대전 미술의 창작 공간이던 대전창작센터가 20년 여정의 마침표를 찍고, 원로예술인 특화 전시관으로 전환된다. 19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창작센터는 옛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청지원 건물로 故배한구(1917~2000) 선생이 설계한 것으로 등록문화재 10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한국 근대건축으로 평가받는다. 2005년 대전시립미술관은 한남대 건축학과 한필원 교수와 협력한 프로젝트 전시 <산책-건축과 미술>을 통해 문화시설로서의 재생 기능성을 확인하고 본격적인 프로젝트에 돌입, 2008년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으로부터 관리전환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