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2022년 기준 소상공인통계 보고서 발간

  • 전국
  • 수도권

인천시, 2022년 기준 소상공인통계 보고서 발간

소상공인 5개년 사업체 생존율 42.4%
소상공인 육성, 지원 정책 수립 기초자료

  • 승인 2024-10-27 13:31
  • 주관철 기자주관철 기자
통
인천광역시는 '2022년 기준 인천시 소상공인 통계' 결과를 인천시 누리집에 공표했다고 25일 밝혔다.

인천시는 매년 인천 내 소상공인의 규모와 경영상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소상공인 통계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통계청 통계데이터센터에서 제공하는 기업통계등록부를 기반으로, 인천시의 내부 자료(인천사랑상품권, 인천신용보증 융자지원 현황 등)와 연계했고, 경인지방통계청과 협업해 통계의 신뢰성을 높였다.

'2022년 인천시 소상공인 통계'에서 2022년 기준 인천시의 영리사업체는 34만 2051개로, 2021년 대비 6.0%, 2020년 대비 17.3% 증가했다. 종사자 수는 73만 1702명으로 2021년 대비 0.1%, 2020년 대비 5.5% 증가했으며, 매출액은 337조 3794억 원으로 2021년 대비 11.5%, 2020년 대비 3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 소상공인 수는 31만 2505개로, 전체 영리사업체의 91.4%를 차지했다. 이는 2021년 대비 6.4%, 2020년 대비 18.5% 증가한 수치이다. 소상공인의 종사자 수는 16만 2804명으로 2021년 대비 3.2%, 2020년 대비 10.8% 증가했으며, 매출액은 67조 1635억 원으로 2021년 대비 10.1%, 2020년 대비 24.2% 증가했다.

2022년 기준 인천지역 소상공인 중 인천 e음 가맹점은 9만 2144개로 소상공인의 29.5%를 차지하며, 2021년 대비 3.4% 증가했다. 또한 신용보증 융자지원 사업체는 2만 5552개로 소상공인의 8.2%를 차지하며, 2021년 대비 12.8% 증가했다.

2022년 소상공인의 1년 생존율은 81.0%, 3년 생존율은 57.6%, 5년 생존율은 42.4%로 조사되었다. 또한, 2022년 창업한 소상공인 사업체는 6만 9959개, 창업률은 22.4%였으며, 같은 해 폐업한 사업체는 4만 2767개로 폐업률은 12.0%였다. 폐업 사유 중 '사업 부진'이 55.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소상공인 중 생활밀접업종 사업체 수는 13만 7438개로 소상공인의 44.0% 규모이며, 2021년 대비 7.5%, 2020년 대비 21.7% 증가했다. 종사자 수는 4만4010명으로 2021년 대비 1.5%, 2020년 대비 11.6% 증가했으며, 매출액은 18조 2836억 원으로 2021년 대비 12.7%, 2020년 대비 24.0% 증가했다.

생활밀접업종 중 인천 e음 가맹점은 7만 5237개로 소상공인의 24.1%를 차지하며, 2021년 대비 3.9% 증가했다. 신용보증 융자지원 사업체는 1만 5676개로 소상공인의 5.0%를 차지하며, 2021년 대비 10.0% 증가했다.

생활밀접업종의 창업사업체 중 1년 생존율은 78.4%, 3년 생존율은 53.6%, 5년 생존율은 37.7%로, 소상공인보다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2022년 창업한 생활밀접업종 사업체는 4만 601개, 창업률은 29.5%였으며, 폐업한 사업체는 2만 4766개로 폐업률은 15.3%였다. 폐업 사유 중 '사업 부진'이 58.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유준호 시 정책기획관은 "이번 소상공인 통계보고서는 소상공인의 현황과 특성을 체계적으로 파악해 작성되었다"라며 "소상공인 육성, 지원, 상권 활성화 등 소상공인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라고 밝혔다. 인천=주관철 기자 orca2424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국산림아카데미재단 울진군 임업사관학교 입학식
  2. 대전시노인복지관협회. 한국주택금융공사 대전지사, 어르신 복지 증진 맞손
  3. 천안법원, 허위 보조금 신청한 60대 남성 '벌금 500만원'
  4. "함께하는 한 끼, 이어지는 우리"
  5. 음악의 감동과 배움의 열정으로, 어르신 삶에 새 활력을!
  1. 당진 173㎜ 홍수주의보 해제…산사태 주의보 '계속'
  2. 아산시의회 탄소중립을 위한 특별위, '중이 없는 회의 개최
  3. 백석문화대, 충남형 계약학과 공유·협업 워크숍 개최
  4. 아산시, 'KTL 바이오의료종합지원센터' 개소
  5. 연암대, LG와 함께하는'2025 LG Day'개최

헤드라인 뉴스


‘K-스틸’ 위기 극복 세미나 여야 대거 참석 ‘법안 통과’ 한목소리

‘K-스틸’ 위기 극복 세미나 여야 대거 참석 ‘법안 통과’ 한목소리

미국의 관세 압박에 어려움을 겪는 대한민국 철강산업을 살리기 위한 이른바, ‘K-스틸법’ 제정에 여야가 한목소리를 냈다. 국회철강포럼(공동대표 더불어민주당 어기구·국민의힘 이상휘 의원)이 9월 12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K-스틸법 발의, 그 의미와 향후 과제’를 주제로 열린 정책세미나에서다. 이번 세미나는 철강산업의 위기 극복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마련된 K-스틸법의 의의를 평가하고 후속 입법 과제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녹색 철강기술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인 K-스틸법 제정안에는 대통..

"대학생이 바라본 지역 현안은"… 정책과 보완점 논의
"대학생이 바라본 지역 현안은"… 정책과 보완점 논의

대전 유성구 정책 분석을 위해 지역 대학생들이 머리를 맞댔다. 14일 유성구에 따르면 12일 유성구청에서 데이터를 활용해 지역 현안을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데이터 기반 문제해결단'의 연구 보고회를 개최했다. 데이터 기반 문제해결단은 KAIST와 국립한밭대 학생 2개 팀으로 구성됐다. 앞서 6개월간 팀별 멘토 교수의 지도를 받아 데이터 분석과 정책 대안 제시 활동을 이어왔다. 보고회에서 KAIST '얼른타보슈' 팀은 축제·유동량·소비 등 데이터를 융합·분석해 축제가 지역 상권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발표했다. 분석 결과, 과..

중처법·노란봉투법에 흔들리는 지역기업 탈출구는?
중처법·노란봉투법에 흔들리는 지역기업 탈출구는?

#1. 중대재해처벌법(이하 중처법)이 시행 3년차에 접어들었지만,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에 대한 경영책임자의 법적 의무 범위가 여전히 모호해 산업현장에서 혼란을 키우고 있다. 최근 금융위원회가 중대재해 발생 기업에 대해 대출 제한, 신용등급 하락 등 금융 제재를 가하겠다고 밝히면서 기업들의 불안감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2. 지난 8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안) 역시 대표적인 기업 규제 법안으로 꼽힌다. 사용자의 범위가 명확치 않은 데다, 경영상 의사결정이 근로조건에 영향을 미쳐 쟁의행위 대상이 될 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5~6학년부 예선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5~6학년부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