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과내일] 서원에서 돌솥비빔밥까지

  • 오피니언
  • 오늘과내일

[오늘과내일] 서원에서 돌솥비빔밥까지

김덕균 중국산동사범대학 한국학연구소장

  • 승인 2024-11-10 11:24
  • 수정 2024-11-10 14:35
  • 신문게재 2024-11-11 19면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김덕
김덕균 소장
몇 년 전 충남 논산의 돈암서원, 경북 안동의 도산서원 등 한국의 대표적인 서원 10곳이 유네스코 세계유형문화유산에 등재됐다. 당시 중국에서는 한국이 중국의 문화유산을 빼앗아갔다며 난리가 났다. 공적 언론 방송은 물론 개인 간의 SNS 단체방에서도 성토분위기가 하늘을 찔렀다. 그런 형국에 한국을 잘 아는 중국 교수 한 사람이 "서원의 뿌리가 중국인 것만은 분명하지만 한국의 서원은 중국과 다르다. 한국의 서원 상당수는 지금도 옛날 서원에서 하던 기능과 역할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 선현 제사는 물론, 수시로 경전강독, 효와 예절교육 등 옛날 하던 것들을 그대로 이어간다." 한국의 서원을 직접 방문해서 현장을 목격했기에 가능한 말들이다. 그리고 "중국의 서원들은 현재 어떠한가? 상당수 방치 훼손된 상태이고, 그나마 남아 있는 일부 서원들도 서원 본래의 기능은 다하지 않고 관광지로 전락하지 않았는가?"라고 반문하며 오히려 반성을 촉구했다. 이후로 인터넷상의 일방적인 성토 분위기는 조금씩 가라앉았다.

그리고 시간이 흐른 오늘날 중국의 서원들은 확연히 달라졌다. 건축물이 남아 있는 유형의 서원들 상당수가 본래의 기능을 찾아 활동하고 있고, 이름만 남은 서원들도 일반 호텔이나 공공장소를 빌려서 경전 강독과 전통사상을 강의한다. 서원의 이름으로 학생과 일반인 대상 전통교육을 실시한다는 것이다. 물론 거기에는 중국 최고지도자의 전통문화와 사상을 강조하는 발언이 기폭제가 됐다.



얼마 전 중국 조선족의 음식 돌솥비빔밥이 중국 국가무형문화로 등재됐다. 이를 두고 일부에서 문제 있다고 발언하며 논란이 일었고, 중국이 한국의 돌솥비빔밥을 뺏어갔다는 성토분위기가 있었다.

불현듯 중국의 서원을 한국이 빼앗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고 불만했던 중국인들의 성토 분위기가 떠올랐다. 엄밀히 말해서 문화는 원래의 뿌리가 있어도 그것이 주변으로 퍼지면서 달라지기도 한다. 원래의 특징을 간직한 것도 있고 변형된 것도 있다. 유교문화의 핵심 공간 서원이 그렇듯 돌솥비빔밥도 마찬가지다.



그것은 우리 거니까 너희들이 이용하면 안 된다는 생각은 매우 편협한 문화패권주의다. 현재 중국에는 조선족이 창업한 돌솥비빔밥 전문점이 전국적으로 성업하고 있다. 중국 전역에 수많은 분점을 내고 영업을 시작하자, 많은 사람들이 줄을 서서 먹는다.

꿩 잡는 게 매라고, 조선족은 자신들의 전통먹거리 돌솥비빔밥을 최고의 음식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용기 있게 국가무형문화로 올렸다. 주지하듯 조선족 문화는 한국에 뿌리를 두었던 사람들이 중국에 거주하며 이룩한 문화다. 문화의 뿌리가 한국과 기본적으로 다르지 않다. 55개 소수민족가운데 조선족이 차지하는 비중은 그렇게 큰 것은 아니지만 자신들의 음식문화를 중국 전역으로 확산시켰다. 그리고 그것을 국가문화로 등재시킨 것은 비빔밥의 국제화 차원에서 오히려 칭찬받을 일이다.

혹간 그러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시킬 것이란 성급한 판단도 하지만 유네스코 무형문화 등재는 다양한 변수가 있고, 각 나라마다 년 한건밖에 올릴 수 없다는 한계가 있어 매우 요원한 문제다. 이를 예단하며 비판하는 것은 너무나도 성급하다.

이참에 돌솥비빔밥을 K-한류 열풍에 힘입어 세계화하는 것은 어떨까? 일부 지자체에서 하는 먹거리 축제에 전 세계 각지의 돌솥비빔밥을 함께 소개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중국 조선족, 미주 한인들, 재일동포, 중앙아시아 고려인들, 사할린동포들의 돌솥비빔밥을 함께 체험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 보자는 제안이다. 그리고 차이와 공통점을 찾아 정리해서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가치가 있다면 그때 힘을 모아 함께 올린다면 더 큰 의미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모두가 좋아하는 돌솥비빔밥이고 비빔밥 자체가 다양한 음식의 조합이자 조화라면 돌솥비빔밥으로 국제간의 화해와 조화를 상징적으로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화해와 조화의 상징 돌솥비빔밥으로 문화패권주의란 오해를 받기보다는 오히려 문화포용주의를 추구함이 더 좋을 것이란 판단이다.

/김덕균 중국산동사범대학 한국학연구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2.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3.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4.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5.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1. <인사>대전시
  2.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3.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4.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5. 대전시, 반려동물산업 육성에 힘쏟는다

헤드라인 뉴스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27일 오전 우주로 날아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가 성공하며 뉴스페이스 시대 개막을 알렸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오전 2시 40분 누리호 4차 발사 결과 브리핑을 통해 발사 결과를 직접 발표했다. 배 부총리는 "누리호 4차가 성공했다"며 "오전 1시 13분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발사된 누리호가 고도 601.3㎞ 궤도 속도 7.56㎞/s, 경사각 97.75도로 태양 동기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으며 탑재된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12기의 큐브 위성이 모두 성공적으로 분리돼 궤도에 안착했고 남극 세종기..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