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선생의 뜻과 정신

  • 오피니언
  • 여론광장

[기고]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선생의 뜻과 정신

이연우/충남도정책자문위원회 위원장

  • 승인 2024-12-01 09:49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조선의 학문과 사상은 성리학과 예학으로 대변된다.

임병양란 이후엔 단순한 개인의 학문이나 연구, 수양의 방편이 아니고 새로운 국가의 질서를 확립하여 나라의 기강을 반석 위에 올려 놓기 위한 경세(經世) 사상이 그 핵심이었다.

그래서 선비가 갖추어야 할 조건은 민본을 바탕으로 한 경세 능력과 출처 대의를 먼저 따졌다. 율곡(栗谷), 구봉(龜峯), 사계, 신독재(愼獨齋) 선생이 그랬고 우암(尤菴), 동춘(同春), 초려(草廬), 미촌(美村), 시남(市南) 선생 등 충청 5현이 모두 그랬다.

어진 인간성을 바탕으로 사리사욕에 물들지 않고 세상의 지속적인 관심과 책임의식을 가질 것을 기준으로 삼았다.



인간의 본성은 인의지만 그 본성을 체계적으로 사회화하여 일상생활에서 예제를 제정하고 다시 그 예제를 근거로 국가사회의 법제(法制)를 시행하는 왕도정치를 추구할 것을 역설했다. 이렇게 개인의 도덕과 양심을 회복하고 정의를 옳고 바르게 실천하게 되면 그것이 건강한 가정과 사회와 나라를 만들 수 있디고 보았다.

조선 500년이 유지된 것은 조선 중기 이후 선생의 사상과 정신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바른 정치를 펼치고자 하였던 선생의 고매한 뜻을 되새기는 것은 개인의 호사(豪奢)가 아니다. 선생이 살았던 시기는 변화와 격동의 시기였다. 1575년 동서분당, 1589년 기축사옥 그리고 1592~1598년 임진왜란 1613년 계축사옥, 1623년 인조반정과 1627년 정묘호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산림(山林)의 종장(宗匠)으로서 그리고 한 시대를 담당할 주체로서 홀로 부단한 삶을 영위했다.

17세기 전쟁의 포화에서 겪은 성리학은 이미 무너져 버린 국가를 재건하는 지도이념과 사회질서 이념으로서 충분히 기능하지 못했다.

이 때 선생은 사회혼란을 막고 국가 재건의 주요 방법으로 강상(綱常)과 오륜(五倫)을 되살리기 위해 많은 노력을 경주했다.

강상의 강(綱)은 군신, 부자 등 인간관계를 의미하고 상(常)은 언제나 변함없는 삶의 가치를 의미한다. 오륜은 부자(父子), 군신(君臣), 부부, 장유(長幼), 붕우(朋友) 등 인간관계의 핵심적인 윤리관계를 정의했다.

즉, 17세기는 강상과 오륜을 지킴으로서 국가와 사회의 안정된 기강을 확립하려 했고 그 방법을 예절의 보급을 통하여 구현하고자 했다.

그 중심에 사계선생이 계셨고 그 제자들에 의해 그 뜻과 정신이 계승되었으며 예학을 중심으로 한 사회질서를 재편성하게 되었다.

선생은 이러한 국가적 난제 속에서 한국 예학의 종장으로 국가를 재건하고 인의(仁義)를 중심으로한 인간과 인륜과 예의가 바탕이 된 그런 사회를 이루려고 헌신하였다.

요즘 같이 나라 안팎으로 어려운 땐 선생의 삶을 다시 되돌아 보고 이해관계나 당리당략에 치우치지 않고 민생을 중심으로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지도자는 없는지 따져 물을 일이다.

벌써 차기 대권 주자 운운하는 것을 보면 더욱 그렇다. 그렇게 사람이 없는지를 묻는 것은 내 주위에는 흔한 이야기가 됐다.

이미 광복 79년을 맞는데도 우리 주위엔 서로 시기하고 질투하는 인사들의 목소리만 커진다. 사계 선생을 위시한 충청 5현들이 계시면 뭐라 말씀하실지 궁금하다. 그래서 더 부끄럽다.

이연우/충남도정책자문위원회 위원장

KakaoTalk_20241127_112944554
이연우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현상에 학생·교사 대피…경찰 조사 중
  2. [기고] 충청도 정신의 영원한 정치지도자 JP!
  3. [종합] 과밀 특수학교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으로 학생 대피 후 귀가
  4.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이전? 연구자들 "말도 안 되는 소리"
  5.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1. [사설] '해수부 결의안' 채택 못한 세종시의회
  2. [사설] 대전영화대전, 지역 영화 생태계 마중물 되나
  3.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9월 3일 시행… N수생도 응시 가능
  4. 대전문화재단 ‘AI&문화예술’ 포럼 개최… “AI, 예술 창작의 미래를 열다”
  5. [2025 대전교육청 학력신장] 배움이 살아나는 교실, 성장하는 서부교육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집권초 격랑빠진 충청… 흔들리는 행정·과학수도

李정부 집권초 격랑빠진 충청… 흔들리는 행정·과학수도

이재명 정부 집권 초기 충청권 미래성장 동력인 세종 행정수도와 대전 과학수도가 송두리째 흔들리고 있다. 정부 차원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에 더해 대덕연구개발특구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천문연구원을 경남 사천으로 빼내 가려는 PK 정치권 일각의 움직임까지 표면화되면서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적 셈법이 깔린 격랑에 충청권이 휩싸이는 모양새인데 지역 핵심 자원을 지키기 위한 총력 대응이 시급하다. 국민의힘 서천호(경남 남해·사천·하동) 의원은 17일 대덕연구단지에 있는 항우연과 천문연을 경남 사천으로 이전하도록 하는 '우주항공청..

코스피 3000선 코앞인데…숨 고르는 지역 상장사
코스피 3000선 코앞인데…숨 고르는 지역 상장사

3년 5개월 만에 2900선을 돌파한 코스피 지수가 3000선 문턱에서 일주일 째 숨을 고르고 있다. 중동 정세 불안에 따른 악재도 있지만, 외국인과 기관의 자본이 국내 시장에 지속 유입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 신호로 보인다. 코스닥 시장에 많이 분포한 지역 상장사들의 주가도 현재는 단기 급등에 따른 피로감을 일부 해소하는 분위기다. 18일 코스피 지수 종가는 전 거래일 대비 0.74%포인트 오른 2970.40으로 집계됐다. 오전 거래 시간 2980선까지 오르며 기대를 모았지만, 3000선 돌파는 다음으로 미뤘다. 새 정부 출범에..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9. 대전 서구 관저동 일대 치킨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9. 대전 서구 관저동 일대 치킨집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6·25 전사자 발굴유해 합동안장식…‘영면 하소서’ 6·25 전사자 발굴유해 합동안장식…‘영면 하소서’

  • 전기차 화재 대응 ‘하부 관통형 소화장비’ 시연 전기차 화재 대응 ‘하부 관통형 소화장비’ 시연

  •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 여름철 해충 퇴치 여름철 해충 퇴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