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선생의 뜻과 정신

  • 오피니언
  • 여론광장

[기고]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선생의 뜻과 정신

이연우/충남도정책자문위원회 위원장

  • 승인 2024-12-01 09:49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조선의 학문과 사상은 성리학과 예학으로 대변된다.

임병양란 이후엔 단순한 개인의 학문이나 연구, 수양의 방편이 아니고 새로운 국가의 질서를 확립하여 나라의 기강을 반석 위에 올려 놓기 위한 경세(經世) 사상이 그 핵심이었다.

그래서 선비가 갖추어야 할 조건은 민본을 바탕으로 한 경세 능력과 출처 대의를 먼저 따졌다. 율곡(栗谷), 구봉(龜峯), 사계, 신독재(愼獨齋) 선생이 그랬고 우암(尤菴), 동춘(同春), 초려(草廬), 미촌(美村), 시남(市南) 선생 등 충청 5현이 모두 그랬다.

어진 인간성을 바탕으로 사리사욕에 물들지 않고 세상의 지속적인 관심과 책임의식을 가질 것을 기준으로 삼았다.



인간의 본성은 인의지만 그 본성을 체계적으로 사회화하여 일상생활에서 예제를 제정하고 다시 그 예제를 근거로 국가사회의 법제(法制)를 시행하는 왕도정치를 추구할 것을 역설했다. 이렇게 개인의 도덕과 양심을 회복하고 정의를 옳고 바르게 실천하게 되면 그것이 건강한 가정과 사회와 나라를 만들 수 있디고 보았다.

조선 500년이 유지된 것은 조선 중기 이후 선생의 사상과 정신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바른 정치를 펼치고자 하였던 선생의 고매한 뜻을 되새기는 것은 개인의 호사(豪奢)가 아니다. 선생이 살았던 시기는 변화와 격동의 시기였다. 1575년 동서분당, 1589년 기축사옥 그리고 1592~1598년 임진왜란 1613년 계축사옥, 1623년 인조반정과 1627년 정묘호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산림(山林)의 종장(宗匠)으로서 그리고 한 시대를 담당할 주체로서 홀로 부단한 삶을 영위했다.

17세기 전쟁의 포화에서 겪은 성리학은 이미 무너져 버린 국가를 재건하는 지도이념과 사회질서 이념으로서 충분히 기능하지 못했다.

이 때 선생은 사회혼란을 막고 국가 재건의 주요 방법으로 강상(綱常)과 오륜(五倫)을 되살리기 위해 많은 노력을 경주했다.

강상의 강(綱)은 군신, 부자 등 인간관계를 의미하고 상(常)은 언제나 변함없는 삶의 가치를 의미한다. 오륜은 부자(父子), 군신(君臣), 부부, 장유(長幼), 붕우(朋友) 등 인간관계의 핵심적인 윤리관계를 정의했다.

즉, 17세기는 강상과 오륜을 지킴으로서 국가와 사회의 안정된 기강을 확립하려 했고 그 방법을 예절의 보급을 통하여 구현하고자 했다.

그 중심에 사계선생이 계셨고 그 제자들에 의해 그 뜻과 정신이 계승되었으며 예학을 중심으로 한 사회질서를 재편성하게 되었다.

선생은 이러한 국가적 난제 속에서 한국 예학의 종장으로 국가를 재건하고 인의(仁義)를 중심으로한 인간과 인륜과 예의가 바탕이 된 그런 사회를 이루려고 헌신하였다.

요즘 같이 나라 안팎으로 어려운 땐 선생의 삶을 다시 되돌아 보고 이해관계나 당리당략에 치우치지 않고 민생을 중심으로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지도자는 없는지 따져 물을 일이다.

벌써 차기 대권 주자 운운하는 것을 보면 더욱 그렇다. 그렇게 사람이 없는지를 묻는 것은 내 주위에는 흔한 이야기가 됐다.

이미 광복 79년을 맞는데도 우리 주위엔 서로 시기하고 질투하는 인사들의 목소리만 커진다. 사계 선생을 위시한 충청 5현들이 계시면 뭐라 말씀하실지 궁금하다. 그래서 더 부끄럽다.

이연우/충남도정책자문위원회 위원장

KakaoTalk_20241127_112944554
이연우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2.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3.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4.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5.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1.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2.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3. ‘몸짱을 위해’
  4. 내년 최저임금 1만320원 지역 노사 엇갈린 반응… 노동계 "실망·우려" vs 경영계 "절충·수용"
  5. 대전상의-대전조달청, 공공조달제도 설명회 성료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