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회전 안돼요?" 운전자 혼란…유등교 임시교량 양방향 개통 첫날 가보니

  • 사회/교육
  • 사건/사고

"좌회전 안돼요?" 운전자 혼란…유등교 임시교량 양방향 개통 첫날 가보니

유등교 구간 '좌회전 금지' 모르고 역주행
횡단보도 정식신호 아닌 점멸등으로 초조

  • 승인 2025-03-01 09:10
  • 이은지 기자이은지 기자
KakaoTalk_20250228_183611047
2025년 2월 28일 완전 개통된 유등교 임시교량 현장은 아직 어수선했다.  사진=이은지 기자
"여기는 좌회전 안돼요. 차 돌리세요."

2월 28일 유등교 임시교량의 양방향 개통 첫 날, 교통 정체는 풀려 한산한 모습과 대조적으로 교량 진출입로는 좌회전 혼선으로 교통사고 직전의 아찔한 모습이 관찰됐다. 지난해 여름 폭우 때 기울어진 유등교를 대신해 지난 1월 도마동 방면으로 임시교량이 개설됐고, 이번에 태평동 방면 편도 3차로마저 개통하면서 유등교는 임시교량을 이용해 양방향으로 완전 연결됐다.

태평동 방면 임시교량까지 양방향 완전 개통 첫날 오후에 찾은 현장은, 교량 진출입로에서 동·서부모범운전자회 소속 교통지도원 2명씩 총 4명이 보행자와 차량을 안내하고 있었다. 도마동 방향 교량 우선 개통으로 그간 허용됐던 유등천동로에서 버드내네거리 방향 좌회전이 이날부터 금지됐고, 유등로와 유등천동로를 이용해 유등교에서 좌회전해서 도마네거리 방향으로 진출하는 게 역시 금지됐다. 그러나 운전자들은 오랜 운전습관대로 금지된 구간에서 좌회전해서 역주행에 가깝게 움직이다가 교통지도원의 수신호를 보고서야 급하게 멈추곤 했다. 현장에 좌회전 금지 표지판이 설치돼 있지만, 운전자들이 이를 충분히 관찰하지 않는 것이다. 이곳에 보행자 횡단보도는 정신호가 아닌 적색 점멸 신호등이 설치돼 시장을 보고 돌아오거나 등하교 하는 학생들이 차량 소통을 관찰하며 눈치것 건너는 실정으로 적극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모습도 관찰됐다.

2
왼쪽부터 비좁은 보행자 횡단보도 대기공간과 한 시민이 바닥에 떨어진 교통사고 파편을 관찰하고 있다.  사진=이은지 기자




현장에서 교통지도 하는 오한규 서부모범운전자회 지도부장은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차량 안내를 하고 있다"라며 "유등교 진입 전 좌회전 금지 안내판을 확인 못 한 운전자들이 여전히 이곳에서 금지된 좌회전을 많이 하고 있어 그때마다 운전자들에게 지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개통된 태평동 방향 교량 난간엔 초록색 안전그물이 설치돼 있었고, 진입로부터 교량이 끝나는 바닥 부분은 보행에 걸림돌이 되는 턱이 없어 휠체어나 자전거가 드나들기 수월해 보였다.

현장서 만난 이갑우 씨(72·중구 산성동)는 "오늘 임시다리 개통 소식을 듣고 반가운 마음에 나와봤다"며 "도마시장으로 장을 보러 가거나 산책도 많이 다녔지만 다리가 끊긴 이후엔 한참이나 돌아가야 해 불편했다. 유등천변 도로도 차량으로 꽉 막혀 답답했는데 개통되자마자 한산해져 한결 숨통이 트인다"고 미소를 띠었다.

난간
임시교량 난간에 설치된 녹색 안전그물 높이가 최근 개통한 태평동 방면(사진 왼쪽)과 도마동 방면(오른쪽) 사이에 차이가 있다. 도마동 방향 보행자 난간에 안전그물이 유독 낮게 설치되어 있다.  사진=이은지 기자
그러나 여전히 안전사고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이 여러 곳에서 발견됐다. 훗날 정식 교량을 놓을 자리를 비워놓고 임시교량을 세우다보니 일반적인 다리와 달리 유등교 임시교량은 도로 선형이 급하게 꺾인 형태로 자칫 차선 침범으로 충돌사고 가능성이 높다. 또 우선 개통된 도마동 방면 가설 난간 안전그물은 사람 키 높이에 미치지 못하게 낮게 설치돼 보행자 추락 위험이 도사렸다. 더불어 신호등 밑 보행자 대기공간도 좁아 3~4명만 대기해도 차선 밖으로 나갈 소지가 있어 보였다. 부서진 자동차 부품과 여러 파편들이 다리 위와 횡단보도 끝에 나뒹굴어 이미 여러 차례 교통사고가 있었음을 짐작케했다.

이와 관련해 이인규 대전서부경찰서 교통과장은 "출퇴근 시간엔 경찰이 현장에서 교통지도를 펼치고 있다"며 "보행자 안전을 위해 교량 위 환경을 정비하고, 도로 내 좌회전 금지 등 안내판을 대폭 보강해 운전자들의 혼선을 최소화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서구 새마을금고 파크골프 어울림 한마당 성황
  2. 청주시에 코스트코 입점한다
  3.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4. 9월의 식물 '아스타', 세종호수·중앙공원서 만나보세요~
  5.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1.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2. 대산산단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에도 '대기업들은 효과 글쎄'
  3.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4.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경로당 활성화 지원사업' 맞춤형 프로그램 마무리
  5.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 최적화된 신장질환 치료 전략 제시

헤드라인 뉴스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국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절반가량이 서울과 경기에 쏠려있는 사이 충청권은 대전 217명, 세종 78명, 충남 175명, 충북 146명으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아청소년 인구 1000명당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 격차는 서울 1.15명일 때 충남 0.56명으로 최대 격차(0.59명)를 보였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소아·청소년 의료체계 개선방안연구'에 따르면 2024년 6월 말 기준 전국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는 6490명으로, 지역별로는 서울(1510명)과 경기(1691명), 인천(350명) 등 수도권이 전체의 56%를..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대전 도심융합특구의 중심 사업인 '메가충청스퀘어'가 연내 청신호가 켜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대전 혁신도시에 자리한 '메가충청스퀘어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이 중요해지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사업은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연면적 22만 9500㎡, 지하 7층-지상 49층 규모로 컨벤션, 상업·주거시설, 호텔 등 주요 시설을 포함한 건물 2개 동을 짓는 사업이다. 대전역 동광장 일대를 중심으로 조성되는 대규모 복합 개발 프로젝트로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가 미국의 관세 조치로 피해를 입은 수출기업에 연말까지 13조600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자금을 공급한다. 대전·세종·충남의 경우 대미 수출기업은 1317곳으로 지역 전체의 30.2%를 차지하는 만큼, 상당수 기업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3일 관계부서 합동으로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美 관세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미국과 관세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15% 수준으로 낮췄지만, 수출 하방 요인이 여전해 이번 지원대책을 마련했다.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 여력과 자금력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