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의거'는 같은데 예우와 지원은 차이 커…대전3·8 여전히 '목말라'

  • 사회/교육
  • 사건/사고

'민주의거'는 같은데 예우와 지원은 차이 커…대전3·8 여전히 '목말라'

대전 기념공원 등 설립 시기 늦어 '미온적'
기념탑에 유공자 명단조차 찾아볼 수 없어
"지역 기념사업회 협력… 교과서 등재 노력"

  • 승인 2025-03-04 17:34
  • 수정 2025-03-06 10:39
  • 신문게재 2025-03-05 1면
  • 이은지 기자이은지 기자
782002_400515_5420
2024년 11월 19일 대전에 문 연 3·8민주의거기념관 전경. 대전시 제공
이승만 독재정권의 부정부패에 맞서 1960년 대전에서 시작된 고교생의 민주화 시위인 '3·8 민주의거' 유공자에 대한 예우와 지원이 다른 지자체의 민주의거보다 여전히 소홀한 것으로 조사됐다.

4일 3·8민주의거기념사업회에 따르면 당시 대전 3·8민주의거 시위 참여자는 1600여명으로 현재까지 국가로부터 공로를 인정받은 경우는 11명 뿐이다. 반면 1200여명이 참여한 대구 2·28 민주의거 유공자 선정은 대전보다 2명 많은 13명에 이른다. 대구의 경우 2·28 민주운동과 관련해 시위 이듬해인 1961년 2·28 민주의거기념탑 설립 등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일 때 대전 3·8은 46년만인 2006년 기념탑이 설립되고, 64년만인 2024년에야 민주의거기념관을 갖게 됐다. 마산 3·15 의거발원지기념관의 경우 대전보다 3년 앞선 2021년 개관했다.

특히, 2006년 대전 서구 둔산동 3·8의거 둔지미공원에 설치된 기념탑엔 타 지자체와 달리 시위 참여 유공자 명단조차 없어 안타까움을 더한다. 대구는 2019년부터 3년간 시위 참여 유공자 전수조사를 펼쳐 2000여 명에 가까운 명단을 확보해 기념탑에 이름을 새겼다.

당시 의거 참여자들이 연로하거나 사망한 경우가 많아 생전에 한 명의 유공자라도 더 인정받을 수 있도록 대책 마련이 시급한 가운데, 지자체 차원의 작은 실천과 지역 민주화운동에 대한 시민의 관심이 요구된다.



KakaoTalk_20250304_165329538
이양희 3·8민주의거기념사업회장
이양희 3·8민주의거기념사업회장은 "대구 2·28 민주의거기념공원은 대전보다 수년 앞서 설립되는 등 국가적 예우 제고를 위해 지자체가 적극 노력하고 있다"며 "조례 개정 등 제도적 차원의 지원이 당장은 어렵더라도 명패 달아주기 등 유공자의 명예를 작게나마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또 이날 대전 3·8, 대구 2·28, 마산 3·15 등 각 지역 민주의거 기념사업회간 협력을 통해 공동 심포지엄을 구상하고 연구위원회를 구성해 올해는 반드시 교과서에 관련 민주화운동이 등재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을 밝혔다.

이양희 회장은 "대한민국 민주주의 변곡점이 된 민주의거에 관한 역사적 기록을 교과서에 등재해 학생들에게 교육해야 한다"며 "이와 관련해 조원휘 대전시의장 등 지방의회 간 논의가 검토되고 있는 과정으로, 이를 통해 1960년도 민주의거의 역사적 의미를 잘 정립해 알려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서구 새마을금고 파크골프 어울림 한마당 성황
  2. 청주시에 코스트코 입점한다
  3.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4. 9월의 식물 '아스타', 세종호수·중앙공원서 만나보세요~
  5.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1.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2. 대산산단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에도 '대기업들은 효과 글쎄'
  3.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4.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경로당 활성화 지원사업' 맞춤형 프로그램 마무리
  5.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 최적화된 신장질환 치료 전략 제시

헤드라인 뉴스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국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절반가량이 서울과 경기에 쏠려있는 사이 충청권은 대전 217명, 세종 78명, 충남 175명, 충북 146명으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아청소년 인구 1000명당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 격차는 서울 1.15명일 때 충남 0.56명으로 최대 격차(0.59명)를 보였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소아·청소년 의료체계 개선방안연구'에 따르면 2024년 6월 말 기준 전국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는 6490명으로, 지역별로는 서울(1510명)과 경기(1691명), 인천(350명) 등 수도권이 전체의 56%를..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대전 도심융합특구의 중심 사업인 '메가충청스퀘어'가 연내 청신호가 켜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대전 혁신도시에 자리한 '메가충청스퀘어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이 중요해지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사업은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연면적 22만 9500㎡, 지하 7층-지상 49층 규모로 컨벤션, 상업·주거시설, 호텔 등 주요 시설을 포함한 건물 2개 동을 짓는 사업이다. 대전역 동광장 일대를 중심으로 조성되는 대규모 복합 개발 프로젝트로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가 미국의 관세 조치로 피해를 입은 수출기업에 연말까지 13조600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자금을 공급한다. 대전·세종·충남의 경우 대미 수출기업은 1317곳으로 지역 전체의 30.2%를 차지하는 만큼, 상당수 기업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3일 관계부서 합동으로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美 관세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미국과 관세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15% 수준으로 낮췄지만, 수출 하방 요인이 여전해 이번 지원대책을 마련했다.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 여력과 자금력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