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없다고 상처까지 지워졌을쏘냐' 대전3·8민주의거 송병준 옹의 증언

  • 사회/교육
  • 이슈&화제

'기록 없다고 상처까지 지워졌을쏘냐' 대전3·8민주의거 송병준 옹의 증언

1960년 3월 8일 대전고 1학년 시위 동참
골목에서 웅크린 채 경찰에 구둣발 폭행
낯선 사람 경계하고 조명 안켜고 은둔 삶
아들 "3·8 겪은후 정신병원 가족엔 큰 상처"

  • 승인 2025-03-06 17:50
  • 수정 2025-03-07 19:25
  • 신문게재 2025-03-07 3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IMG_2775_edited
대전3·8민주의거 당시 시위에 나섰다가 경찰에 폭행피해를 겪은 송병준 씨가 아들 송재헌 씨의 도움으로 외출하고 있다. (사진=임병안 기자)
대전지역 학생 1600여 명이 학교 밖으로 뛰쳐나와 부정선거와 부정부패를 규탄한 대전3·8민주의거에서 부상자는 한 명도 없었던 것일까? 지금껏 발견된 당시 사진을 봐도 진압봉을 치켜든 경찰들이 좁은 골목에서 시위 학생들을 힘으로 제압하는 듯한 모습, 학생들이 혼비백산 뛰어가는 장면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으나 정부가 인정한 3·8민주의거 부상자는 0명이다. 하지만 당시 동구 인동 한 골목에서 경찰에 붙잡혀 구둣발 폭행을 당한 송병준(82·대전고 41회) 옹의 그늘진 삶은 우리가 몰랐던 대전3·8민주의거 진압 과정의 폭력성을 말하고 있다.

6일 오전 대전 유성구 수통골의 한 요양원에서 송병준 씨를 만났다. 그는 청력을 대부분 상실해 스케치북에 큰 글씨로 질문을 적으면 문장을 읽고 대화로써 대답했다. 그는 1960년 3월 8일 대전고 여느 학생들처럼 학교 운동장에 모여 함께 밖으로 나가자는 외침과 함께 공설운동장을 향해 나아갔다. 옆에 있는 친구의 팔을 걸어 스크럽을 짜기도 하고 때로는 뛰기도 하면서 구호를 외치기도 했다. 인동의 어느 골목에 도달했을 때 친구들이 갑자기 빠르게 흩어지는 동안 그는 사정을 모르고 있다가 정복을 입은 경찰에 붙잡혔다.

송병준 씨는 "싸릿가지를 엮어서 세운 담장으로 가로막힌 골목에서 그곳을 벗어나려 담장 아래로 숨는데 경찰이 내 발을 잡고 잡아당겼고 그때부터 구둣발로 차인 거 같아"라며 "나는 바닥에 웅크린 채 구둣발로 마구 밟혔는데 그때 허리춤에 뼈를 다쳤는지 아야 아야 해"라고 왼손을 들어 왼쪽 허리춤을 하염없이 쓰다듬었다.

송 씨는 유성 본가를 떠나 고등학교를 다니기 위해 대흥동에 있던 친형 집에서 함께 지내는 중이었는데, 3·8의거 당일 송 씨가 어떤 모습으로 귀가했는지 기억하는 증인이 한 명 있다. 충남대병원장을 지낸 송시헌 세종충남대병원 전문의는 중도일보와 통화에서 "그는 저의 삼촌이고 삼촌이 고등학교 다닐 때 저는 초등학생으로 같은 집에서 지냈는데 어느날 늦은 오후에 삼촌이 여러 사람에 부축을 받으며 집에 들어오는데 발을 딛지 못하고 질질 끌려서 들어오시던 게 너무 놀라서 뚜렷하게 기억된다"라며 "삼촌은 이후 한참을 앓아누웠고 학교 다니기 어려워하시던 모습이 기억난다"라고 설명했다.



대전에서 1960년 대전고와 대전상업고, 대전공업고, 보문고 등의 학생들이 민주의거를 일으켰을 때 경찰은 기마경찰을 출동시키고 지프차로 돌진해 학생들을 해산시키려 했다. 또 곤봉과 카빈총을 휘둘러 학생들을 폭행했는데 마침 도로 포장을 위해 가져다 놓은 검은색 콜타르를 뿌리기도 했다. 맞아서 머리에 피가 나거나 쫓기는 중 높은 곳에서 떨어져 부상자가 속출했으나, 드러내 문제를 제기할 수 없는 사회 분위기에 스스로 요양하고 상처는 아문 것처럼 보였다. 송병준 씨는 3·8민주의거 이후 학교를 그만두려고 마음먹고 집에 머물고 있었는데 담임인 조남호 교사가 집에 찾아와 설득한 끝에 고등학교를 졸업할 수 있었다. 10년이 채 되지 않은 1970년 그는 정신질환 치료를 위해 폐쇄병동에 1년 가까이 입원했으며, 그때 허리 부상으로 직업을 갖지 못하고 어려운 시간을 견뎠다. 그는 3·8민주의거 때 경찰 폭행 피해를 2019년에서야 자신의 입으로 말했다. 고 김용재 3·8민주의거기념사업회 회장이 주관해 참여세대 증언 기록집을 만들 때 처음 자신의 경험과 피해를 공개한 것이다.

아들 송재헌 씨는 "제가 어렸을 때 아버지는 담장 밖에 사람이 지나가며 담장 안을 본다고 느끼면 몽둥이를 들고 공격적으로 대응하셨고, 신분증 없이는 외출하지 않으시고 신분증을 꼭 손에 쥐고 다니셨다"라며 "집 안에서 불을 밝히지 않고 어둡게 지내셨고, 대문과 방문을 꼭 잠그고 지내셨는데 그때는 왜 그러실까 이해하지 못하다가 2019년 3·8민주의거 때 폭행당한 기억을 말씀하는 것을 듣고서야 마음에 깊은 상처가 있으셨구나 이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국가보훈부는 최근 송병준 씨를 방문해 증언을 영상으로 기록했고, 3·8민주의거기념사업회에서도 '3·8민주의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라는 구술 자료집에 그의 인터뷰를 담았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울공항 인근 도심 상공 전투기 곡예비행... 안전불감증 도마
  2.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3.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4. 차기 대전교육감 선거 진보 단일화 시작? 5명 한 자리에
  5. AI 시대 모두가 행복한 대전교육 위해선? 맹수석 교수 이끄는 미래교육혁신포럼 성료
  1. [기고] 전화로 모텔 투숙을 강요하면 100% 보이스피싱!
  2. 충남도 "해양생태공원·수소도시로 태안 발전 견인"
  3.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논산여자상업고 글로벌 인재 육성 비결… '학과 특성화·맞춤형 실무교육'
  4. 충남교육청 "장애학생 취업 지원 강화"… 취업지원관 대상 연수
  5.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헤드라인 뉴스


텅 빈 옛 파출소·지구대… 수년째 방치돼 ‘도심 흉물’

텅 빈 옛 파출소·지구대… 수년째 방치돼 ‘도심 흉물’

대전 도시철도 판암역 인근 길가에 빈집처럼 방치된 2층짜리 건물은 한때 경찰이 상주하던 파출소였다. 순찰차가 수시로 오가고 경찰이 이곳을 거점으로 판암동 일대 치안을 살폈다. 판암파출소는 2020년 3월 약 2㎞ 떨어진 곳에 새 건물을 지어 이전했고, 기존 건물은 5년째 빈 상태로 남아 있다. 경찰 조직 개편으로 대전에서 파출소와 지구대를 폐지·통합하는 과정에서 남은 청사들이 활용처를 찾지 못한 채 공실로 남아 있다. 공공청사가 단순 매각 대상으로 처리되면서 장기간 흉물로 전락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옛 중부경찰서마저..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최근 3년간 대학 내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로 매년 2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대학 연구실 사고로 총 607명의 부상자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학 내 실험실 사고로 지급된 공제급여는 총 8억 5285만 원에 달한다. 특히 4월에 매년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3년 4월에 33명, 2024년 4월에 32명, 2..

코스피 종가 기준 최고가 경신... 3657.28에 장 마감
코스피 종가 기준 최고가 경신... 3657.28에 장 마감

미중 무역갈등 재격화 우려 속에서도 상승 출발, 3600선을 재탈환하며 장중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운 코스피가 종가 기준 최고가마저 경신했다. 15일 코스피는 전장보다 95.47포인트(2.68%) 오른 3657.28로 거래를 종료했다. 지수는 18.83포인트(0.53%) 오른 3580.64로 개장한 이후 꾸준히 고점을 높여갔고, 장 막판 한때 3659.91까지 오르는 모습을 보였다. 코스피는 전날에도 장 중 한때 3646.77까지 상승, 직전 장중 최고치(3617.86·10월 10일)를 갈아치웠으나 이후 급락해 3561.81로 장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