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없다고 상처까지 지워졌을쏘냐' 대전3·8민주의거 송병준 옹의 증언

  • 사회/교육
  • 이슈&화제

'기록 없다고 상처까지 지워졌을쏘냐' 대전3·8민주의거 송병준 옹의 증언

1960년 3월 8일 대전고 1학년 시위 동참
골목에서 웅크린 채 경찰에 구둣발 폭행
낯선 사람 경계하고 조명 안켜고 은둔 삶
아들 "3·8 겪은후 정신병원 가족엔 큰 상처"

  • 승인 2025-03-06 17:50
  • 수정 2025-03-07 19:25
  • 신문게재 2025-03-07 3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IMG_2775_edited
대전3·8민주의거 당시 시위에 나섰다가 경찰에 폭행피해를 겪은 송병준 씨가 아들 송재헌 씨의 도움으로 외출하고 있다. (사진=임병안 기자)
대전지역 학생 1600여 명이 학교 밖으로 뛰쳐나와 부정선거와 부정부패를 규탄한 대전3·8민주의거에서 부상자는 한 명도 없었던 것일까? 지금껏 발견된 당시 사진을 봐도 진압봉을 치켜든 경찰들이 좁은 골목에서 시위 학생들을 힘으로 제압하는 듯한 모습, 학생들이 혼비백산 뛰어가는 장면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으나 정부가 인정한 3·8민주의거 부상자는 0명이다. 하지만 당시 동구 인동 한 골목에서 경찰에 붙잡혀 구둣발 폭행을 당한 송병준(82·대전고 41회) 옹의 그늘진 삶은 우리가 몰랐던 대전3·8민주의거 진압 과정의 폭력성을 말하고 있다.

6일 오전 대전 유성구 수통골의 한 요양원에서 송병준 씨를 만났다. 그는 청력을 대부분 상실해 스케치북에 큰 글씨로 질문을 적으면 문장을 읽고 대화로써 대답했다. 그는 1960년 3월 8일 대전고 여느 학생들처럼 학교 운동장에 모여 함께 밖으로 나가자는 외침과 함께 공설운동장을 향해 나아갔다. 옆에 있는 친구의 팔을 걸어 스크럽을 짜기도 하고 때로는 뛰기도 하면서 구호를 외치기도 했다. 인동의 어느 골목에 도달했을 때 친구들이 갑자기 빠르게 흩어지는 동안 그는 사정을 모르고 있다가 정복을 입은 경찰에 붙잡혔다.

송병준 씨는 "싸릿가지를 엮어서 세운 담장으로 가로막힌 골목에서 그곳을 벗어나려 담장 아래로 숨는데 경찰이 내 발을 잡고 잡아당겼고 그때부터 구둣발로 차인 거 같아"라며 "나는 바닥에 웅크린 채 구둣발로 마구 밟혔는데 그때 허리춤에 뼈를 다쳤는지 아야 아야 해"라고 왼손을 들어 왼쪽 허리춤을 하염없이 쓰다듬었다.

송 씨는 유성 본가를 떠나 고등학교를 다니기 위해 대흥동에 있던 친형 집에서 함께 지내는 중이었는데, 3·8의거 당일 송 씨가 어떤 모습으로 귀가했는지 기억하는 증인이 한 명 있다. 충남대병원장을 지낸 송시헌 세종충남대병원 전문의는 중도일보와 통화에서 "그는 저의 삼촌이고 삼촌이 고등학교 다닐 때 저는 초등학생으로 같은 집에서 지냈는데 어느날 늦은 오후에 삼촌이 여러 사람에 부축을 받으며 집에 들어오는데 발을 딛지 못하고 질질 끌려서 들어오시던 게 너무 놀라서 뚜렷하게 기억된다"라며 "삼촌은 이후 한참을 앓아누웠고 학교 다니기 어려워하시던 모습이 기억난다"라고 설명했다.



대전에서 1960년 대전고와 대전상업고, 대전공업고, 보문고 등의 학생들이 민주의거를 일으켰을 때 경찰은 기마경찰을 출동시키고 지프차로 돌진해 학생들을 해산시키려 했다. 또 곤봉과 카빈총을 휘둘러 학생들을 폭행했는데 마침 도로 포장을 위해 가져다 놓은 검은색 콜타르를 뿌리기도 했다. 맞아서 머리에 피가 나거나 쫓기는 중 높은 곳에서 떨어져 부상자가 속출했으나, 드러내 문제를 제기할 수 없는 사회 분위기에 스스로 요양하고 상처는 아문 것처럼 보였다. 송병준 씨는 3·8민주의거 이후 학교를 그만두려고 마음먹고 집에 머물고 있었는데 담임인 조남호 교사가 집에 찾아와 설득한 끝에 고등학교를 졸업할 수 있었다. 10년이 채 되지 않은 1970년 그는 정신질환 치료를 위해 폐쇄병동에 1년 가까이 입원했으며, 그때 허리 부상으로 직업을 갖지 못하고 어려운 시간을 견뎠다. 그는 3·8민주의거 때 경찰 폭행 피해를 2019년에서야 자신의 입으로 말했다. 고 김용재 3·8민주의거기념사업회 회장이 주관해 참여세대 증언 기록집을 만들 때 처음 자신의 경험과 피해를 공개한 것이다.

아들 송재헌 씨는 "제가 어렸을 때 아버지는 담장 밖에 사람이 지나가며 담장 안을 본다고 느끼면 몽둥이를 들고 공격적으로 대응하셨고, 신분증 없이는 외출하지 않으시고 신분증을 꼭 손에 쥐고 다니셨다"라며 "집 안에서 불을 밝히지 않고 어둡게 지내셨고, 대문과 방문을 꼭 잠그고 지내셨는데 그때는 왜 그러실까 이해하지 못하다가 2019년 3·8민주의거 때 폭행당한 기억을 말씀하는 것을 듣고서야 마음에 깊은 상처가 있으셨구나 이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국가보훈부는 최근 송병준 씨를 방문해 증언을 영상으로 기록했고, 3·8민주의거기념사업회에서도 '3·8민주의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라는 구술 자료집에 그의 인터뷰를 담았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현상에 학생·교사 대피…경찰 조사 중
  2.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3. 2026년 지방선거 향하는 세종시 정치권...'시장 선거' 구도는
  4.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5. 대전 초등학생 11년 만에 순유입 전환… 유성·중구 전국 상위권
  1. 문화재 내부 공사인데도 '자체심의'…문화재 보존 사각지대 심각
  2. 광복 80주년 대전 시내버스 통해 '호국 영웅' 알린다
  3. 주말까지 비 예보…장마 시작에 침수 피해 지역 '불안'
  4. 대전선화초 증축사업 시작… 220억 들여 2026년 8월 준공
  5. [사설] 서해 어민 위협할 중국 불법 구조물

헤드라인 뉴스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과학수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이 있는 경남 사천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돼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충청권 국회의원들까지 공동 발의자로 참여하면서 공동 대응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국민의힘 서천호 국회의원(경남 사천·남해·하동)은 17일 우주항공청 소재지인 경남 사천시를 중심으로 우주항공분야 연구개발과 산업기능을 연계하기 위해 우주항공기술 연구개발 관련 기관인 항공우주연구원과 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 인근에 소재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 ‘우주항공청 설치·운영에 관한..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의 공동주택 노후화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도 주택 노후화가 심화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7일 부동산R114가 정부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전국 30년 초과 노후주택은 260만 6823채로 전체의 22%로 나타났다. 즉 전국 주택 4채 중 1채가 노후주택인 셈이다. 노후 주택은 2022년 135만 9826채(12%), 2023년 170만 5215채(15%), 2024년 219만 4122채(18%)로 꾸준히 늘..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충청권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역민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피해구제 신청 중 환불 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해 캠핑장을 예약하기 전 날씨와 환불 규정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17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접수된 캠핑장 관련 피해구제 사건(327건) 중 환불 불만 사례가 246건으로 전체의 75.2%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이 48.1%(157건)로 가장 많았고, 대전·세종·충청이 15.7%(51건), 강원 12.9%(42건), 부산·울산·경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