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중도일보 오피니언면 ‘풍경소리’ 필진 송기한 대전대 교수

  • 사람들
  • 뉴스

[인터뷰]중도일보 오피니언면 ‘풍경소리’ 필진 송기한 대전대 교수

2021년 이후 중도일보 ‘풍경소리’란에 쓴 칼럼 모음집 <역사는 기억한다> 발간하다

  • 승인 2025-03-30 22:04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191773_73769_4442
문학평론가 송기한 대전대 교수
“이 책은 2021년 이후 중도일보 오피니언면 19면 ‘풍경소리’란에 쓴 칼럼을 모은 것입니다. 소중한 기회를 주신 중도일보에 감사드립니다.”

중도일보 오피니언 면 '풍경소리' 필진인 문학평론가 송기한 대전대 교수가 <송기한 산문집-역사는 기억한다>를 발간한 뒤 이렇게 말했다.

송 교수는 “이 책은 더 나은 사회로 발돋움하기 위한 사유와 단상 모음집”이라며 “우리 사회에 아직 견고하게 남아 있는 갈등과 분열의 역사를 직시하고, 사회적인 것들에 대한 찬성이나 비판의 글들을 쓰게 되었다”고 소개했다.

역사는 기억한다
송 교수는 “이 책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경험들과 일상적인 소재들에서 길어 올린 이야기를 담백하게 풀어낸 산문집”이라며 “아프고 슬픈 역사, 약자들의 삶에 관심이 많은 저는 우리 사회에 아직 견고하게 남아 있는 갈등과 분열의 역사를 직시하며 그에 대한 단상을 펼쳐냈다”고 말했다. 또 “힘없는 자들을 외면하지 않고, 그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임으로써 그들의 삶과 세계를 공감하고, 나아갈 길을 모색했다”고 전했다.



그는 “전 세계를 마비시켰던 코로나 시대를 지나오며, 저는 유년 시절 기쁨과 희망의 장이 되어주었던 국민학교 입학식을 회상했다”며 “따뜻한 겨울을 보내는 아이가 거의 없을 정도로 힘든 시절이었지만 낭만은 가득했던 지난 세월이 더욱 소중하게 기억된다”고 말했다. 또 “자가용이 드물던 때 귀성 열차표를 마련하기 위해 역사 주변에서 노숙하고, 끼니 때우기 어려운 시절 이웃과 음식을 나누었던 추석 풍경을 회고해봤다”고 전했다.

송 교수는 “인간의 욕망은 사회를 병들게 하고 인간을 타락시켰고, 인간사를 혼탁하게 만들고 있다”며 “갈등보다는 평화를, 분열보다는 통합을, 복수보다는 용서를 위해 살다 간 이 시대 사람들을 역사 영웅으로 기억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상대를 배려하고 존중할수록 그 사회가 부드럽고 따뜻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그러한 사회에서는 문화 또한 융성하게 꽃필 수 있다”고 말했다.

송 교수는 “우리 사회에 견고하게 남아있는 비문명적 사건들을 비판적으로 응시하려고 했다”며 “비판과 감시가 있어야 개선이나 발전 또한 담보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우리는 한민족이라는 이름 하에 하나의 단위가 되어야 한다”며 “그래야만 갈등의 역사, 분열의 역사를 넘어 선진 사회로 편입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 책에는 시사적인 글 이외에 문학적인 글도 있다”며 “아카데믹한 무대에서는 할 수 없는 성격의 글을 대중적으로 풀어서 써보았는데 이러한 시도야말로 문학이 대중의 삶, 일상성과 깊이 연결될 수 있는 긍정성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송기한 교수는 충남 논산에서 태어나 서울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한국 현대시의 근대성 비판>,<1960년대 시인 연구>,<서정주 연구>,<한국시의 근대성과 반근대성>,<문학비평의 경계>,<비평과 인식>,<현대시의 정신과 미학>,<서정의 유토피아>(1,2), <현대문학의 정신사>,<소월연구>,<치유의 시학>,<한국 근래 리얼리즘 시인 연구>,<서정시학의 원리> 등이 있다. 산문집으로는 <내 안의 그 아이> 가 있다. 대전대 우수학술연구상, 시와시학 평론상, 대전시 문화상 학술상 등을 수상했다.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객원교수를 거쳐 현재 대전대 국어국문창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현상에 학생·교사 대피…경찰 조사 중
  2.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3. 2026년 지방선거 향하는 세종시 정치권...'시장 선거' 구도는
  4.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5. 대전 초등학생 11년 만에 순유입 전환… 유성·중구 전국 상위권
  1. 문화재 내부 공사인데도 '자체심의'…문화재 보존 사각지대 심각
  2. 광복 80주년 대전 시내버스 통해 '호국 영웅' 알린다
  3. 주말까지 비 예보…장마 시작에 침수 피해 지역 '불안'
  4. 대전선화초 증축사업 시작… 220억 들여 2026년 8월 준공
  5. [사설] 서해 어민 위협할 중국 불법 구조물

헤드라인 뉴스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과학수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이 있는 경남 사천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돼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충청권 국회의원들까지 공동 발의자로 참여하면서 공동 대응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국민의힘 서천호 국회의원(경남 사천·남해·하동)은 17일 우주항공청 소재지인 경남 사천시를 중심으로 우주항공분야 연구개발과 산업기능을 연계하기 위해 우주항공기술 연구개발 관련 기관인 항공우주연구원과 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 인근에 소재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 ‘우주항공청 설치·운영에 관한..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의 공동주택 노후화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도 주택 노후화가 심화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7일 부동산R114가 정부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전국 30년 초과 노후주택은 260만 6823채로 전체의 22%로 나타났다. 즉 전국 주택 4채 중 1채가 노후주택인 셈이다. 노후 주택은 2022년 135만 9826채(12%), 2023년 170만 5215채(15%), 2024년 219만 4122채(18%)로 꾸준히 늘..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충청권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역민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피해구제 신청 중 환불 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해 캠핑장을 예약하기 전 날씨와 환불 규정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17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접수된 캠핑장 관련 피해구제 사건(327건) 중 환불 불만 사례가 246건으로 전체의 75.2%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이 48.1%(157건)로 가장 많았고, 대전·세종·충청이 15.7%(51건), 강원 12.9%(42건), 부산·울산·경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