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교조 광주지부는 "해당 사업이 실시된 초기부터 과도한 선심성 예산 투입, 현장 활용도 저하, 교육현장과의 지속적인 소통 부재 등을 지적하며 해당 사업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며 "광주광역시교육청은 사업 추진 근거로 2025년 AI디지털교과서 전면 도입 대비를 내세웠지만 지난해 검증되지 않은 효과, 터무니없이 투입되는 예산, 일방적인 도입 등에 대해 교사·학생·보호자의 공감대가 높아지면서 AI디지털 교과서에 교과서 지위를 부여할 수 없다는 법안이 발의됐다. 교육부는 결국 각 시도교육청에 AI디지털교과서를 자율 선정할 수 있도록 지침을 내보냈다"고 말했다.
이어 "AI디지털교과서가 학교 자율 선택 사항으로 결정된 이후 광주광역시에서 실제 채택률은 10%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는 교육청의 예측 실패와 졸속 행정을 여실히 드러내는 대목"이라고 말했다.
또한 "해당 사업의 투명성을 확보하고자 정보공개청구를 진행한 결과 지난해 253억원에 달하는 예산이 투입된 사업 공고에 지원한 2개 업체 모두 스마트기기를 직접 만들거나 판매하는 업체가 아닌, 인터넷 방송·설치를 주로 수행하는 정보통신업체로 드러났다"며 "정보통신업체가 선정된 경위는 무엇이며 해당 업체들이 스마트기기의 안정적인 공급과 AS를 보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합리적인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청렴을 최우선 가치로 내세우고 있는 광주광역시교육청은 이 의혹에 대해 명확하게 해명해야 할 것이다. 253억원이라는 혈세가 투입된 교육용 스마트기기 보급 사업이 과연 누구를 위한 사업이었는지, 특정 업체에 특혜를 제공한 것은 아닌지 철저한 조사와 함께 투명한 정보 공개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광주=이정진 기자 leejj053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