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사에서 청년 76.4%는 양질의 일자리가 충분한지 묻는 질문에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청년들이 생각하는 양질의 일자리 조건으로는 '급여 수준(31.8%)'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고용 안정성(17.9%)과 일과 삶의 균형(17.4%)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미취업 청년들이 일할 의향이 있는 최소한의 세전 연봉은 평균 3468만원으로 조사됐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경기침체 장기화와 불확실한 대내외 경영환경 등으로 기업의 신규채용이 줄면서 청년들의 어려움이 심화되고 있다"며 "청년들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 확대를 위해 신산업 육성을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청년들이 기대하는 최소 연봉과 실제 일자리 조건 사이의 괴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업과 구직 청년 사이의 '구인-구직 미스매치'가 여전한 셈이다.
지방의 경우 더욱 심각하다. 지역기업들은 인력난을 호소하지만, 청년들은 마땅히 갈 곳이 없다는 반응이다. 특히 급여나 복지 조건이 수도권에 비해 열악해 서울로 눈을 돌리는 청년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은 '청년 쉬었음' 문제 해결을 위한 중앙 및 지방 정부의 과제인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대전시의 올해 청년 일자리 창출 계획이 주목된다. 앞서 시는 이달 초 '2025년 지역 일자리 목표 공시제'에 따른 세부 계획을 공개했다.
시에서 발표한 계획을 보면,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31개 사업에 총 423억 1400만원(국비 포함)을 투입한다. 청년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청년 고용률인 43.4%를 유지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게 시의 계획이다.
특히 대기업이 없는 지역 특성을 고려해 지역 강소기업과의 연계를 강화한다. 이를 통해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내에 청년들이 정착하는 생태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시 자체조사에서도 '그냥 쉬었다'는 청년들이 많았던 만큼,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면서 "청년들의 도전 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정착 지원 등의 일자리 사업을 집중적으로 펼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타지로 떠나는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해선 결국 지역 내 양질의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시에서는 대기업이 없는 지역 특성을 고려해 정부 출연연 및 지역 강소기업과 취업을 연계하는 방안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김흥수 기자 soooo08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