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종배(충주·4선, 사진) 의원이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65세 이상 치매환자 수는 2020년 52만 9475명에서 2024년 91만 898명으로 5년간 약 7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치매환자 실종신고 접수 건수도 1만 2272건에서 1만 5502건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보건복지부는 치매환자 실종 예방을 위해 배회감지기 보급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배회감지기는 위치정보시스템(GPS) 기반으로 치매환자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하고, 설정된 권역을 벗어날 경우 보호자에게 긴급 알림을 전송하는 기기다.
이 기기를 활용하면 치매환자 실종 시 발견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평균 12시간에서 약 40분으로 크게 단축된다.
그러나 배회감지기 보급률은 2021년 1.23%에서 2024년 6.1%로 다소 증가했으나, 전체 치매환자 수 대비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건강보험공단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배회감지기 이용률이 저조한 가장 큰 원인은 관련 정보 부족(47.9%)인 것으로 분석됐다.
경찰청에서는 치매환자 조기발견을 위해 지문과 사진, 보호자 인적사항 등을 미리 등록하는 지문사전등록 사업도 진행 중이지만 2025년 3월 기준 누적등록률은 44%에 그쳐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종배 의원은 "배회감지기, 지문사전등록 등 치매환자 실종예방을 위한 제도와 사업이 마련돼 있음에도 이용자들의 정보 부족으로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며 "고령화 추세 속 치매환자 및 실종신고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실효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