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월 24일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열리는 '꿈의 향연' 포스터./사진=대전문화재단 제공 |
대전의 봄은 언제나 조금 다르다. 이 도시에선 봄꽃이 피기 무섭게 악보 위 음표들도 피어난다. 그리고 어느새 그 음표들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선율이 돼 누군가의 삶에 조용히 스며든다. 대전꿈의오케스트라가 그렇다.
대전문화재단이 주관하는 대전꿈의오케스트라가 24일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에서 2025년 새로운 시즌의 문을 연다. 60명의 아동·청소년 단원들이 만들어내는 생기 가득한 합주의 울림은 따스한 봄 햇살이 머무는 과학관 마당에 잔잔히 퍼질 예정이다.
2011년 창단한 이래로 대전꿈의오케스트라는 음악을 통해 아동과 청소년의 가능성을 발굴하고 예술로 지역과 사람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해왔다. 처음엔 조심스럽게 시작된 이 실험은 어느새 대전을 대표하는 문화예술교육 브랜드로 성장했고 지금은 전국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대전 거점으로 당당히 자리매김했다.
'꿈의 오케스트라'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총괄하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운영하는 아동·청소년 대상 음악교육 사업이다. 전국에 여러 거점이 있지만 대전꿈의오케스트라는 특히 '지속성'과 '공공성' 그리고 '감동'의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왔다. 그 중심에는 매해 새로 편성되는 단원들과 이들을 정성껏 이끄는 음악감독, 강사진이 있다.
![]() |
총 880명의 인재를 배출해낸 대전꿈의오케스트라가 2025년 새로운 시즌 공연 '꿈의 향연'을 앞두고 이론 및 실기교육이 진행됐다./사진=대전문화재단 |
그를 중심으로 바이올린, 첼로, 플루트, 타악기 등 8개 파트에 걸친 13명의 전문 강사들이 팀을 이루고 있다. 아이들은 매주 정기적인 교육과 합주를 통해 악기와 호흡하고 서로의 리듬을 이해하며 조금씩 무대에 설 준비를 해간다.
지난 15년간 이 오케스트라를 거쳐 간 단원만 880여 명. 이들 중 일부는 음악대학에 진학하거나 전문 연주자로 성장했다. 그러나 이곳에서의 경험이 음악적 기술을 넘어서 삶의 태도와 가치관까지 바꿨다고 말하는 이들이 더 많다. 협동, 책임, 자신감 등. 이 모든 것은 무대에서 배운 것들이다.
올해 첫 무대는 오는 5월 24일 오후 2시 대전국립중앙과학관에서 열린다.
공연 제목은 '꿈의 향연, 대전'.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을 기념해 전국 꿈의오케스트라 거점들이 동시에 펼치는 연합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대전에서는 이 독특한 공간을 택했다.
과학관과 오케스트라. 언뜻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이 조합은 오히려 새로운 감동을 예고한다. 지난 4월 대전문화재단과 국립중앙과학관이 체결한 업무협약(MOU)의 첫 실천 사례로 마련된 이번 공연은 예술과 과학 그리고 일상이 자연스럽게 만나는 현장이 될 예정이다.
개방형 공간에서 누구나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이 공연은 단순한 '행사'가 아닌 시민과 예술의 거리감을 좁히는 한 걸음이 될 것이다.
![]() |
대전꿈의오케스트라가 지난해 12월 14일 대전예술가의집 누리홀에서 제14회 정기연주회 '오버 더 심포니'가 열렸다./사진=대전문화재단 |
그 시작을 알리는 곡은 엘가의 '위풍당당 행진곡'. 올해로 15주년을 맞은 꿈의오케스트라의 자긍심을 상징하는 선택이다.
이어지는 곡은 홀스트(Gustav Theodore Holst)의 관현악 모음곡 '행성(The Planets)'. 과학관이라는 공간의 상징성과 맞물려 음악과 우주의 조화를 느낄 수 있는 신선한 경험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영화 OST, 애니메이션 주제곡, 친숙한 클래식 명곡까지 다채롭게 구성돼 남녀노소 모두가 공감하고 즐길 수 있는 무대를 예고하고 있다.
대전꿈의오케스트라의 공연은 단순한 발표회가 아니다. 그들은 늘 '찾아가는 무대'를 고민해왔다. 학교가 아닌 무대에서, 공연장이 아닌 일상 속에서, 사람들과 눈을 맞추는 음악을 지향한다. 이번 과학관 공연 역시 그 연장선에 있다. 특별한 장치나 조명이 없어도 아이들의 손끝에서 나오는 음악은 그대로 사람들의 마음에 닿는다.
대전꿈의오케스트라는 이번 공연을 시작으로 여름음악캠프, 대전0시축제 연계 공연, 하반기 15주년 정기연주회 등 다양한 무대가 예정돼 있다. 특히 올해는 창단 15주년을 맞아 그 의미가 더욱 깊다. 음악은 계속 이어지고 아이들은 계속 성장하며 오케스트라는 계속해서 시민과 함께 걸을 것이다.
백춘희 대전문화재단 대표는 "대전꿈의오케스트라는 단순한 음악 교육을 넘어 아이들이 서로 협력하고 성장하며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살아있는 예술교육의 현장"이라며 "참여자들에게는 희망이 되고 시민에게는 감동이 되는 여정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