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국립현충원에 있는 국가등록문화유산 제415호인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 (사진= 국가유산청) |
정부가 수개월에 걸쳐 실제 열차가 딘 소장 구출 작전에 투입된 게 맞는지에 대한 재검증 절차에 돌입한 가운데 이달 말 막바지 작업을 끝으로 그 결과를 결정할 예정이다.
19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최근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말소에 대한 판단을 위해 자문위원회를 꾸릴 예정이다.
자문위원회는 최소 3명으로 이번 사항과 이해관계가 없는 전문가 등으로 구성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들은 당시 미카형 증기기관차가 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됐던 근거와 최근 말소 근거로 제기된 자료를 검증하게 된다.
앞서 국가유산청은 지난 2월 25일 제2차 근현대문화유산분과위원회를 열고 129호 말소건을 심의했으나 출석 위원 9명 모두 보류 결정을 내렸다.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는 2008년 10월 국가등록유산으로 지정, 현재는 국립대전현충원에 놓여 있다.
6·25 전쟁 당시 북한군에 포위된 미 제24사단장 윌리엄 F. 딘 소장을 구하고자 적진에 돌진했다고 알려져 왔다.
특히, 대전철도국 소속이던 김재현 기관사가 미군 결사대 30여 명과 딘 소장 구출 작전에 투입됐고 이 과정에서 적진의 공격으로 안타깝게 숨졌기에 전쟁의 가슴 아픈 역사와 숭고한 희생 정신을 상징하는 기념물로 인정받아 문화재로 등록됐다.
그러나 이후 전쟁 당시 투입된 기관차는 219호이며, 딘 소장 구출 목적이 아닌 보급품 후송 목적이었다는 수많은 근거 자료가 제시되면서 재검증 절차가 불가피해진 것.
다만, 위원회 차원에서 이를 결정하기엔 자료의 검증 절차부터 자료의 전문성 등을 고려해 판단을 미루는 게 맞다고 결정한 상태다.
한 근현대문화유산분과위원회 소속 위원은 "당시 위원 모두 딘 소장 구출 작전에 쓰인 열차가 아니라는 것과 실제 투입 목적이 다르다는 자료를 자체적으로 파악하기엔 역사적으로 민감할 수 있다는 입장이었다"라며 "제시된 근거의 검증 절차가 더 보완이 필요했고, 명확한 근거가 있는지 확실하게 정리하는 게 필요해 보였다"고 설명했다.
국가유산청 역시 조속한 판단보다는 전문가들의 심층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유산청은 이달 내에 전쟁사와 현대사 등 관련 전문가들을 모아 자문위를 구성하고 6월 다시 위원회 안건으로 상정해 결과를 내겠다는 입장이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역사적 사실이 뒤바뀔 수 있는 민감한 사항인 만큼 전문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라며 "상반기까지 마무리 짓겠다고 결정한 만큼 차질없이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