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베트남 정부는 이래와 같이 3가지 목표로 행정개혁 실시하였다.
첫째, 더 유연한 구조를 위한 행정단계 축소한다. 지난 2025년 7월 1일부터 베트남의 행정 체계는 기존의 3단계(성·군·면)에서 2단계 [성(시)·면(동)]로 간소화된다. 이 변화는 행정 절차를 단순화하고 중복 업무를 줄이며 예산을 절약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성·시의 수는 63개에서 34개로 줄어들고면·동·읍의 수는 10,000여 개는 약 3,321개로 감소되며, 군(구) 단계는 중간 단계로서 폐지되어, 성(시)과 면(동) 간의 직접 연결이 강화된다.
둘째, 관리에서 서비스로 행정 철학 변화 시킨다. 이번 개혁은 조직 구조만 바꾸는 것이 아니라, 행정의 철학도 변화시는 목적이다. '관리 중심'이었던 베트남 정부는 국민과 기업을 위한 서비스 중심'으로 전환하고,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을 적극 도입과 국민들이 행정에 참여하고 의견을 낼 수 있는 투명한 시스템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지속가능한 국가 발전을 장기 목표를 세운다. 베트남 정부는 이 개혁을 통해 운영 비용 절감, 예산 효율화 되며, 공무원의 능력 향상 및 구조조정하여 민간 부문으로의 전환도 지원 및 투자와 국제 협력에 유리한 환경 조성 및 전반적 발전 촉진 등 기대하고 있다.
부토성 푹옌동의 쩐띠엔선 (TRAN TIEN SON)군사 지휘부 지휘장은 이번 행정 개혁이 베트남이 더욱 힘차게 발전하고, 세계로 뻗어나가며, 현대적이고 효율적이며 국민과 가까운 국가로 자리매김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한나(베트남)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