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립운동에 투신하고 해외에서 숨을 거둔 독립유공자 6인의 유해가 국내에 봉환되나, 독립유공자 묘역이 만장되어 대전현충원 의사상자 묘역 부지(사진)에 모실 예정이다. (사진=임병안 기자) |
광복 80주년을 맞아 국가보훈부가 문양목 지사를 비롯해 미국과 브라질, 캐나다에 안장된 독립유공자 6명의 유해를 12일 국내로 봉환한다. 충남 태안에서 태어나 동학에 참여하고 1905년 미국으로 건너가 대동보국회를 설립한 문양목(1869~1940) 지사가 120년만에 고국땅으로 앞장서 돌아오고 1937년 비밀결사 열혈회를 결성한 김덕윤(1918~2006) 지사와 일본군에 징집되었다가 탈출해 광복군 총사령부 보충대 입대한 김기주(1924~2013) 지사가 뒤따른다. 광복군에서 정보수집과 공작활동에 투신한 한응규 지사(1920~2003)와 1919년 3·1만세운동에 참여해 옥고를 치른 임창모(1894~1967) 지사, 일본군에서 탈출해 광복군에 입대해 국내 진입작전 일환의 전략첩보국(OSS) 훈련까지 받은 김재은(1923~2019) 지사도 그리던 고국땅에서 영면에 든다.
정부는 이번 유해 봉환을 위해 미국 법원을 상대로 파묘 및 이장 청원 소송을 제기하고 지구 반대편인 브라질에서도 유족과 협의해 6명의 지사를 대한민국으로 봉환해 광복 80주년을 함께 맞는다. 문양목·김덕윤·김기주 지사는 배우자와 함께 봉환될 예정으로, 국내 봉환 독립유공자의 후손 41명이 이날 함께 입국해 13일 오후 3시 대전현충원에서 개최되는 안장식에 참여한다.
11일 중도일보가 고국 품에 안긴 독립유공자들이 안식을 취할 국립대전현충원을 미리 찾아 묘역을 찾아보니 뜻밖에도 독립유공자 묘역이 아니라 당초 의사상자 묘역으로 마련된 부지에 6인의 안장을 준비 중이었다. 독립유공자 제7묘역이 가장 최근에 만장돼 대전현충원에 독립에 헌신한 분들을 모실 묘소 자리가 더는 없다. 4048기 규모의 독립유공자 묘역뿐만 아니라 장군 묘역(850기), 장병 묘역(8만9261기)까지 만장됐다. 해외에서 파묘해 국내에 어렵게 봉환하는 유해를 충혼당에 모실 수는 없고 어렵게 마련한 장소가 의사상자 묘역의 남은 묘소 매장지다. 주변에는 소방공무원과 순직공무원, 독도의용수비대가 안장돼 있고, 의사상자 묘역에 남은 부지를 분리해 이번에 봉환하는 독립유공자 6인을 모실 계획이다. 묘역의 이름을 새롭게 명명할 예정이지만, 취재가 이뤄진 이날까지 묘역명은 결정되지 않았고 앞으로 몇 명의 해외 독립유공자 유해를 안장할 지 그 규모조차도 검토 단계일 정도로 급하게 이뤄지는 모양새다.
보훈 부처 관계자는 "국내 현충원에 독립유공자를 모실 매장 묘소 빈자리가 없는 실정으로 대전현충원 의사상자 묘역을 분리해 별도의 묘역명을 명명해 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임병안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