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0시 축제 기간인 지난 16일 중구청 소속 환경관리원들이 거리에 놓인 무거운 쓰레기를 옮기며 청소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 김지윤 기자) |
바로 0시 축제장 청소를 맡은 환경관리원들이다.
지난 8일부터 시작한 0시 축제 기간 대전 중구와 동구에 소속된 100여 명에 가까운 환경관리원과 환경조합은 새벽부터 밤까지 거리를 쓸고 닦으며 보다 깨끗하고 쾌적한 축제장을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이날 환경 관리원들은 현장을 치우기 위해 여념이었다. 오후 2시 가장 뜨거울 때지만 그들에게는 더위가 무색했다.
그늘 한 점 없이 내리쬐는 햇볕 아래에서 숨이 턱턱 막히는 습기 속에서 목과 얼굴, 몸까지 흐르는 굵은 땀방울을 연신 닦아내며 곳곳에 놓인 쓰레기를 치우고, 골목을 쓸고, 커다란 쓰레기 봉투를 옮겨냈다.
![]() |
같은 날 대전역 앞 설치된 메인 광장 인근을 쓸고 있는 동구청 소속 환경관리원들. (사진= 김지윤 기자) |
이번 대전 0시 축제가 3無(안전사고·쓰레기·바가지요금)가 될 수 있었던 건 숨은 공신들이 있기에 가능했다.
화려한 무대 뒤 관광객들의 안전을 책임지고, 쾌적한 축제장을 만들기 위해 그 누구보다 최선이었던 그들은 조명이 비추지 않는 곳에서 맡은 역할을 묵묵히 해내고 있었다.
환경 관리원들과 함께 새벽부터 일찌감치 현장에 나온 대전시청 소속 5개의 팀의 노력도 함께 빛났다.
매일 아침 축제장에 나와 쓰레기를 치우고, 실시간으로 거리 상황을 확인하며 체계적이고 빠르게 움직였다. 퇴근을 반납했던 공무원들은 단순히 업무를 수행한다는 마음을 넘어 대전 0시 축제의 환경을 쾌적하게 하고 싶다는 생각으로 움직였다.
이민철 자원순환과 주무관은 "현장에 계신 환경관리원분들의 노고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라며 "축제장은 대전의 얼굴이라고 생각했다. 모두가 행복하고 즐길 수 있는 거리가 될 수 있었다면 힘든 건 없다"고 했다.
![]() |
대전 0시 축제에 마련된 상황실에서 대전소방본부가 CCTV와 119 신고 등을 통해 안전 사고에 대비하고 있다. (사진= 김지윤 기자) |
수백만 명이 찾아간 축제 현장 큰 사고 없이 지나갈 수 있었던 건 이들의 노력 덕분이다.
대전소방본부는 CCTV를 통해 실시간 현장을 계속 지켜보며 보이지 않는 곳에서 관광객들을 지키고 있었다. 119 신고 시 0시 축제 현장에도 상황이 보고 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고, 순찰을 돌며 관광객들이 다치지 않도록 언제 어디서나 자리를 지켰다. 현장 곳곳에도 혹여 모를 상황에 대비해 구급차와 안전 요원들이 자리를 잡으며 우리의 안전을 책임지고 있었다.
방승배 소방경은 "항상 고생한다는 시민들의 말에 코끝이 찡해진다. 당연히 해야 할 일이지만, 이런 말을 들으면 힘이 난다"라며 "모두가 안전하게 즐길 안전한 축제가 되는 게 소방본부의 마음이다"고 미소를 지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 |
옛 충남도청사 앞에 설치된 안전 센터에 다친 아이가 찾아와 치료를 받고 있다. (사진= 김지윤 기자)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