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안시 상징물들. |
19일 시에 따르면 1978년 내무부(현 행정안전부) 지침에 따라 만든 현재의 상징물들이 1995년 시군 통합 이후에도 공모로 재선정되면서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8년간 천안시를 상징하는 나무는 능수버들, 꽃은 개나리, 새는 비둘기, 동물은 용으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이들 대표상징물은 군사독재하에 대다수 지자체가 중앙정부의 권고로 인해 선정했기에 지역 정체성보다는 국가 정체성을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중앙대 비교민속학과 이규빈 씨의 논문 '전국 지방자치단체 상징 연구, 동·식물 상징을 중심으로(2014)'에 따르면 전국 지자체의 상징물은 중복이 매우 심하며 특정 동식물로의 쏠림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천안시의 개나리의 경우 어디서나 피는 친근한 꽃이기에 지자체 35곳의 상징물로 지정됐으며 이는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비둘기의 경우도 62곳의 지자체가 상징물이라고 앞다투어 선정하면서 전국 1위 상징조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비둘기가 평화와 희망을 뜻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결과로 보여진다.
다만, 천안시의 상징목인 능수버들은 천안삼거리공원, 능소아가씨와 박현수의 전설 등 설화는 물론 흥타령 민요 등으로 알려져 타지자체와는 차별성을 갖고 있다.
이밖에 상징수인 용도 용곡동, 쌍용동, 삼룡동, 오룡동, 청룡동 등 관내 지명에서 확인할 수 있듯 예부터 중요시 여겼던 동물로 알려져 지정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일부 시민들은 군사독재시설 지정한 일부 상징물을 과감히 청산하고 새롭게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목소리다.
시민 오 모(57)씨는 “천안시의 상징물들이 군부독재 시절부터 이어온 것을 알게 된 이후 문제가 있다고 봤다”며 “시민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공청회 등을 거쳐 유지나 변경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시 관계자는 "상징물을 선정하면서 나무와 동물과 같이 시조나 시화에 대해서도 상징적 의미를 담으려고 했다"며 "앞으로 상징물에 대한 새로운 지정이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진행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천안=하재원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