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향교 앞 도로공사 '졸속'

  • 전국
  • 천안시

천안향교 앞 도로공사 '졸속'

맑은 날엔 비산먼지, 비 오는 날 흙탕물 천지
우회도로 마땅치 않아...자갈 깔거나 가포장 등 필요
시 관계자 "최대한 주민들 불편 없도록 하겠다"

  • 승인 2025-08-25 11:04
  • 수정 2025-08-25 14:55
  • 신문게재 2025-08-26 12면
  • 하재원 기자하재원 기자
KakaoTalk_20250822_151220421
천안향교 앞 도로공사 현장이 제대로 된 안전시설 하나 없이 공사가 진행되고 있어 시민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사진=하재원 기자)
천안시가 추진하고 있는 천안향교 앞 도로 공사로 인해 향교를 찾는 유림과 제향 관계자, 학생 등을 비롯해 인근 주민들이 통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5일 시에 따르면 천안향교 앞 도로 공사(유량동 도시계획도로(소로1-623호) 개설공사)는 2024년 11월 25일부터 2025년 9월 6일까지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제대로 된 안전시설이나 가포장 등이 이뤄지지 않아 시민들이 통행에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추진 중인 도로의 경우 천안향교를 진입하기 위한 유일한 길이어서 전통예절과 인성교육을 위해 찾는 학생들이나 문화재 탐방 및 전통체험을 하기 위해 방문한 관람객들조차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실제 7월 14일 126.7㎜과 15일 47.8㎜의 폭우가 쏟아지는 등 8일간 비가 내려 거의 1개월간 진흙탕 속 도로를 보행 또는 주행해야 했으며 이달 들어서는 맑은 날씨 속 비산 먼지로 인해 불편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시와 시공사 측은 일부 구간에 자갈을 깔아 문제가 없다고 하지만, 현장을 확인한 결과 자갈이 흙 속에 파묻혀 아무런 소용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안전 펜스 대신 줄을 이어 대체해 야간 주행 시 사고위험까지 도사리고 있다.

이에 일부 주민 등은 동남구청 관련 부서에 수차례 민원을 제기, 한쪽 구간을 가포장 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1개월이 지난 현재까지도 이뤄지지 않는 등 묵살돼 분통해 하고 있다.

주민 A(60)씨는 "지난달 세차만 하면 차가 흙탕물에 뒤범벅이 됐고 이달은 흙먼지로 인해 다닐 수조차 없다"며 "시장이 궐위되니 직원들이 시민을 우습게 여기는 것 같다"고 비난했다.

이에 시공사 측은 "시방서대로 할 경우 비용이 많이 들어 그렇게 해 줄 수 없다"며 "가포장하기엔 오수관 설치로 어려움이 있다"고 잘라 말했다.

시 관계자는 "상수관로와 오수관로 등 지하매설물 공정은 완료가 돼 골재 포설을 통해 보행자들이 불편이 없도록 하겠다"며 "준공이 조금 늦어질 수도 있지만 최대한 빨리 공사를 마무리 지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천안=하재원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울공항 인근 도심 상공 전투기 곡예비행... 안전불감증 도마
  2.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3.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4. AI 시대 모두가 행복한 대전교육 위해선? 맹수석 교수 이끄는 미래교육혁신포럼 성료
  5. [기고] 전화로 모텔 투숙을 강요하면 100% 보이스피싱!
  1. 충남도 "해양생태공원·수소도시로 태안 발전 견인"
  2.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논산여자상업고 글로벌 인재 육성 비결… '학과 특성화·맞춤형 실무교육'
  3. 충남교육청 "장애학생 취업 지원 강화"… 취업지원관 대상 연수
  4. 태안국제원예치유박람회 조직위, 준비상황보고회 개최
  5. "도민 안전·AI 경쟁력 높인다"… 충남도, 조직개편 추진

헤드라인 뉴스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대전의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납세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세무서가 3곳에 불과해 세무서 신설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대전 유성구갑)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전시의 2024년도 주요 세목별 신고인원은 2019년 대비 부가가치세 17.9%, 종합소득세 51.9%, 법인세는 33.9% 증가했다. 또 대전의 2023년도 지역내총생산(GRDP)은 54조원으로, 전년 대비 3.6% 성장해 전국 17대 시·도 중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납세 인원 역시 2019..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최근 3년간 대학 내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로 매년 2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대학 연구실 사고로 총 607명의 부상자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학 내 실험실 사고로 지급된 공제급여는 총 8억 5285만 원에 달한다. 특히 4월에 매년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3년 4월에 33명, 2024년 4월에 32명, 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