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룡역에 조성된 작은문학관. (사진= 대전문학관) |
4일 대전문학관에 따르면 이번 재조성은 지난해 대전교통공사와의 협력체계를 기반으로 추진되었으며, 시민들이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문학을 만날 수 있는'생활 밀착형 문화공간'으로 조성됐다.
'오룡역 작은문학관'은 대전문학관이 2014년부터 추진해온 '시확산 시민운동'의 일환으로, 매년 지역 시인을 선정하여 시 콘텐츠를 제작하고 지하철역·버스정류장·도서관·공공기관 등 시민 생활 공간에 시 작품을 전시해온 사업이다. 이번 재조성은 오룡역을 새로운 시 문화 확산 거점으로 만들고자 기획됐다.
이번 전시에는 2025년 시확산 시민운동 선정작가 8인(김진길, 박은정, 변선우, 안시찬, 윤은경, 이강산, 함순례, 홍명희)의 시 작품과 함께, 대전을 대표하는 5대 문인(박용래, 정훈, 한성기, 권선근, 최상규)의 대표 작품도 함께 전시된다.
조성남 대전문학관장은 "오룡역에서 시작된 이 문학의 씨앗이 대전 전역으로 퍼져나가, 도심 곳곳이 문학과 예술이 살아 숨 쉬는 공간이 되길 바란다"며, "대전문학관은 앞으로도 시민과 함께 호흡하는 문학 환경을 조성하고, 생활 속에서 문학이 자연스럽게 향유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을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전문학관은 박용래 시인 탄생 100주년을 맞아 다양한 문학 기념 사업을 연이어 진행 중이며, 9월 23일부터 오룡역 대합실에서'오요요 강아지풀-박용래의 시, 역을 걷다' 전시를 통해 박용래 시인이 사랑한 시어 '강아지풀'을 중심으로, 그의 연대기와 작품세계를 감성적으로 조명할 예정이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