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청소년 도박 범죄… 전문 예방교육 받는 충청권 학교 절반 이하

  • 사회/교육

늘어나는 청소년 도박 범죄… 전문 예방교육 받는 충청권 학교 절반 이하

국회 교육위 문정복 의원 "제각각 교육, 국가 차원에서 통합해야"

  • 승인 2025-09-28 16:08
  • 신문게재 2025-09-29 6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clip20250928140253
게티이미지뱅크
전국적으로 불법 사이버도박으로 형사입건된 10대 청소년이 늘고 있지만 전문기관으로부터 예방교육을 받는 학교는 절반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문정복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사이버도박으로 입건된 전국 10대 청소년이 2022년 104명에서 2024년 669명으로 6배 이상 증가했다. 2023년은 170명이며 2025년은 8월 기준 207명이 입건됐다.

청소년 중독 치료 데이터상으로도 이러한 흐름이 확인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전국 도박중독 10대 환자는 2022년 102명에서 2024년 267명으로 늘었다. 2025년은 197명이 치료를 받고 있다.

2024년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의 도박자 센터 이용 현황 중 17.8%인 4144명이 10대 청소년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2022년 1460명(6.5%)에서 2배 이상 늘었다. 10대 청소년 도박 관련 지역별 통계는 현재 공개되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전문적인 기관을 통한 학교 도박 예방교육은 절반에 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법'을 근거로 설립된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은 전국에 조직을 두고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2024년 전국 1만 1835개 학교 중 치유원을 통해 교육을 실시한 학교는 전체 3214개 학교로, 27.2%에 그친다.

충청권 4개 시·개 시도교육청 학교들은 전국 평균보단 높지만 절반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대전은 2024년 301개 학교 중 40.2%인 121개 학교, 세종은 101개 학교 중 44.6%인 45개 학교로 평균적으로 학교 10곳 중 4곳만 전문기관을 통한 교육을 받았다.

충남과 충북은 이보다 낮은 30%대에 그쳤다. 충남은 2024년 719개 학교 중 31.4%인 226개 학교, 충북은 468개 학교 중 39.3%인 184개 학교에서만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 교육이 이뤄졌다.

전문기관을 통한 교육이 아니더라도 학교 자체적으로 도박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표준안이 없고 지역별 필수 교육 이수 시간에 차이를 보이고 있는 등 보다 체계화된 도박예방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문정복 의원은 "청소년 도박은 단순한 일탈이 아니라 평생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사회문제"라며 "급증하는 범죄와 중독 실태에 비해 양질의 예방교육이 부족한 만큼 교육당국의 신속한 대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학교마다 제각각 운영되는 도박예방교육을 국가 차원에서 통합하고 학교 현장이 이를 체계적으로 이행하도록 정기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가을 악취 주범’ 은행나무 열매의 습격
  2. 대전지검·범죄피해자지원센터, 추석 앞두고 피해자 방문해 위로
  3. 국정자원 화재로 행정업무 647개 차질…재난위기 '심각' 격상
  4.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초진 후 연기는 계속…데이터 유지 위해 소방수 자제
  5.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 정부 온라인 서비스 먹통
  1. 전산실 배터리 지하실로 옮기는 중 불꽃…647개 업무 '셧다운'
  2. [부고] 최화진 중도일보 기자 조부상
  3. 리튬배터리 폭발·서버 보호에 물 사용 제한…화재진압 장시간 소요
  4. 나사렛대, 런치특강 '취업JOB GO!' 성황리 종료
  5. 순천향대천안병원, 호스피스의 날 기념 캠페인 개최

헤드라인 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화재에 국민 불편 초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화재에 국민 불편 초래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화재로 정부 전산시스템 중 국민 직접 이용 인터넷망 서비스도 상당 부분 멈추면서 주말 사이 국민 상당수가 불편을 겪었다. 시스템 완전 복구까지는 상당 기간이 필요해 당분간 불편이 지속 될 전망이다. 국정자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27일 오후 5시 기준 보고서를 통해 "전산시스템 647개 중 국민이 직접 이용하는 대국민 서비스가 436개이고 나머지 211개는 공무원 업무용 행정내부망 서비스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가동이 중단된 서비스에는 ▲ 권익위원회 국민신문..

여야, 국정자원 화재에 "국민불편 최소화" 한뜻에도 책임 공방
여야, 국정자원 화재에 "국민불편 최소화" 한뜻에도 책임 공방

여야 정치권이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국민 불편을 최소화를 위해 빠른 사태 수습을 촉구했다. 현재 여야 모두 사태 수습이 우선이라는 인식은 같지만, 벌써 진상 규명과 책임 소재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면서 여야 간 공방이 거세지는 모습이다. 앞서 26일 오후 8시 20분께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화재가 발생해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가동이 중단됐다. 화재는 발생 21시간 45분에 완진됐고, 복구작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국가 주요 행정 시스템이 화재로 전면 마비되는 초유의 사태에 여야 정치권도 긴박하게 움직..

추석 명절 전 공공기관 사칭 등 스미싱 기승 "출처 불분명 URL 클릭·전화 금지"
추석 명절 전 공공기관 사칭 등 스미싱 기승 "출처 불분명 URL 클릭·전화 금지"

추석 연휴를 앞두고 다양한 사이버사기가 기승을 부리면서 정부가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 택배, 지인 사칭 등 수법이 대표적인데, 출처가 불분명한 인터넷주소(URL)를 누르거나 전화해선 안 되며 개인정보를 요구할 때도 반드시 의심해야 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방송통신위원회·금융위원회·경찰청·한국인터넷진흥원·금융감독원은 추석 전 다양한 문자결제사기(스미싱) 등 사이버사기에 대한 국민 피해가 우려된다며 28일 피해 최소화를 위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최근 수법으로 공공기관을 사칭해 교통법규 위반 범칙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2차 합동감식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2차 합동감식

  • ‘가을 악취 주범’ 은행나무 열매의 습격 ‘가을 악취 주범’ 은행나무 열매의 습격

  •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