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즉환경지킴이들이 마을장터에 참가해 자원순환 캠페인을 벌이고 체험 부스를 운영하고 있다. |
‘자원순환은 지구를 살리는 심폐소생술’
구즉환경지킴이들이 폐의약품 수거부터 자원순환 캠페인까지 구즉동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다양한 마을사업을 펼쳐 관심을 모으고 있다.
2019년 설립된 구즉마을지원센터(대전시 환경시설주변지역지원센터)는 '마을공동체활성화사업'을 중심으로 '마을과 경제', '마을과 환경', '마을학교', '홍보사업' 등 주민 삶과 직결된 영역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구즉환경지킴이들이 구즉마을장터 쿠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그중에서도 눈에 띄는 활동은 바로 '구즉환경지킴이' 활동이다. 2025년 현재 총 8명의 환경지킴이들이 마을 곳곳에서 환경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폐의약품 분리배출 캠페인 활동을 벌이고 있는 구즉환경지킴이들. |
이들은 단순한 환경감시를 넘어 마을 전체에 설치된 29개의 폐의약품 수거함을 직접 관리하며, 한 달에 약 100kg 가량 수거되는 폐의약품을 정기적으로 분류하고 소각장으로 안전하게 이송하는 연결작업까지 책임지고 있다.
 |
안전한 마을환경을 위한 모니터링 활동을 하고 있는 구즉환경지킴이들 |
이러한 활동은 폐의약품이 일반 쓰레기로 배출되거나 하수도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아 환경 오염과 주민 건강 피해를 예방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더불어 자원순환과 폐의약품 분리배출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캠페인 활동도 지속적으로 전개하면서 주민들의 인식 개선과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다.
구즉환경지킴이 활동 슬로건은 ‘올바른 폐의약품 분리 배출을 실천하는 것은 단순한 분리수거를 넘어 후손에게 물려줄 자연 환경을 보존하고자 하는 간절한 지구사랑의 실천입니다’이다.
 |
구즉환경지킴이들이 역량 강화 교육의 일환으로 원자력연구원을 견학했다. |
구즉환경지킴이 김창현 활동가는 "올바른 폐의약품 분리 배출을 실천하는 것은 단순히 쓰레기를 분리수거하는 수준을 넘어서는 행동”이라며, “이는 우리가 살아가는 이 지구를 오염으로부터 지키고, 맑고 깨끗한 자연을 미래 세대에게 온전히 물려주기 위한 깊은 책임감과 애정이 담긴 실천”이라고 말했다. 김창현 활동가는 “이러한 작은 실천 하나하나가 모여 지구를 향한 진심 어린 사랑을 표현하는 것”이라며, “우리가 남긴 흔적이 후손들에게 건강한 환경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장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환경보호의 시작”이라고 전했다.
 |
구즉환경지킴이들이 폐의약품을 수거하고 통 관리를 하고 있다. |
대전시 환경시설주변지역지원센터(닉네임 구즉마을지원센터) 환경지킴이 사업담당자 최미란 씨는 “환경지킴이들은 시기별·내용별로 연간 활동계획을 수립하고, 사업 내용에 따라 조를 나눠 활동을 전개한다”며 “선진지 견학과 교육을 통해 역량을 강화하고, 월 최대 16시간씩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고 소개했다.
 |
구즉환경지킴이들이 폐의약품을 수거차로 옮기고 있다. |
또 “주요 활동은 자원순환 캠페인, 폐의약품 수거와 분류작업, 그리고 구즉 1~6구역에 걸친 환경 모니터링”이라고 전했다. 최미란 담당자는 “2025년 4월부터 8월까지의 누적 활동은 총 93일, 710시간에 달한다”며, “이것은 마을의 환경 시스템을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수준”이라고 전했다.
 |
구즉환경지킴이들이 폐의약품 수거 후 분류 작업을 하고 있다. |
김창현 활동가는 "환경지킴이들의 활동은 마을의 환경 수준을 높이는 것을 넘어, 주민 건강과 공동체 의식을 함께 지켜내는 중요한 실천"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마을사업과 연계해 더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구즉동을 만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작은 실천이 모여 큰 변화를 만드는 구즉환경지킴이들의 손길은 오늘도 마을 곳곳에서 조용히, 그러나 단단하게 환경을 지켜내고 있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