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에 나설 기업은 반도체와 1차 전지 설비, 평판 디스플레이 쿨링 플레이트 제조업체 등 다양하다. 천안 테크노파크산단에는 경기도 소재 무기 고주파 반도체 업체인 웨이비스가 352억원을 투자해 이전키로 했다. 자동차 전력전자부품 업체인 영화테크는 아산테크노밸리에 420억원을 투입해 중국 생산 시설을 이전한다. 이들 21개 기업이 투자 계획대로 가동에 나설 경우 신규 고용인원은 1316명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발 상호관세 여파에도 9월 수출이 역대 최대 기록을 세웠다지만 중소·중견기업들이 체감하는 현실은 다르다. 한·미 관세 협상이 교착 상태인 상황에 잠잠하던 미국과 중국의 관세 분쟁이 다시 불거지면서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대기업들은 수출 다변화를 통해 돌파구를 찾고 있지만, 가격 경쟁에 내몰리는 중소·중견기업들은 관세에 취약한 데다 인력·정보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미 관세 협상 후속 협의가 지연되면서 산업계 부담은 커지고 있다. 정부가 중소기업의 미국발 관세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추경 예산으로 편성한 1000억원 규모의 긴급자금은 82% 정도 소진됐다고 한다. 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서 충남도가 수천억원 규모의 투자 협약을 한 것은 의미가 크다. 지자체는 협약 단계의 투자 유치가 차질 없는 공장 신·증설 등을 통해 지역에 착근할 수 있도록 행·재정적 지원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