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지방 건설사… 대책 필요 목소리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흔들리는 지방 건설사… 대책 필요 목소리

전국 14곳 중 지방 8곳 부도… 충남 2곳, 충북 1곳
지역 기반 건설사들 기업 회생절차 신청도 꾸준
악성 미분양 증가·부동산 경기침체·중처법 '영향'

  • 승인 2025-10-14 16:48
  • 신문게재 2025-10-15 5면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게티이미지2
게티이미지뱅크.
지역 건설업계가 흔들리고 있다. 미분양 주택 증가와 공사비 급등 등 복합적인 요인이 겹치면서 업체들의 도산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건설산업 부진은 지역경제 전반의 침체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만큼, 대책이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4일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들어 전국에서 14곳의 건설사가 문을 닫았다. 수도권은 6곳, 지방은 8곳으로 집계됐다. 이 중 충청권은 충남 전문건설업 2곳, 충북 종합건설업 1곳에서 부도가 발생했다. 대전과 세종에선 부도 건설사가 없었다.

전국적으로 폐업도 꾸준히 늘고 있다. 종합건설업의 경우 2022년 261건, 2023년 418건, 2024년 516건으로 해마다 늘었으며, 전문건설업도 2022년 1640건, 2023년 1929건, 2024년 2150건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건설사들의 법정관리도 잇따르고 있다. 이 중 대흥건설(충북 충주), 대저건설(경남 김해), 홍성건설(경북 경산), 삼정이앤시·삼정기업(부산), 영무토건(광주) 등은 지역에 기반으로 둔 건설사로 꼽힌다. 여기에 최근 광주·전남 기반 중견기업인 유탑그룹(유탑디앤씨·유탑건설·유탑엔지니어링)도 기업 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지방은 미분양 늪에도 빠져있다. 국토교통부 주택통계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 6613세대로 전월(6만 2244세대) 대비 7% 늘었다. 충청권을 보면 대전은 2485세대로 전월(1514세대)보다 971세대 증가했다. 이는 전달대비 64.1% 늘어난 수치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충남은 전월보다 28.2% 증가한 5499세대, 충북은 1912세대, 세종은 50세대로 집계됐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 7584세대로, 7월 대비 1.9% 증가했다. 이 중 83.9%(2만 3147세대)는 지방 소재 주택으로 집계됐다. 충청권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대전 478세대, 세종 50세대, 충남 1417세대, 충북 640세대 등이다.

이뿐 아니라 서울 쏠림 현상 속 지방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건설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사업성이 악화하고 있고, 최근 원자재 가격, 환율 상승 등도 건설업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기에 최근 정부가 중대재해처벌법 등으로 건설업계에 대한 처벌 수위를 높이면서 앞으로 폐업이 더욱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중대재해에 취약한 중소 업체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사업의 존폐 위기에 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전의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수도권 진입이 어려운 중소 건설사들은 지방에 집중하고 있는데, 부동산 시장 분위기나 미분양으로 어려움이 많다"며 "지방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며 금융 지원이나 세제 지원 등이 병행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 금융권의 역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현충원 하이패스 IC' 재추진 시동…타당성 조사 연말 완료
  2. "석식 재개하라" 둔산여고 14일부터 조리원 파업 돌입… 4~5개교 확산 조짐
  3. "캄보디아 간 30대 오빠 연락두절 실종" 대전서도 경찰 수사 착수
  4. "대법원 세종으로 이전하자" 국감서 전격 공론화
  5.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1. '오늘도 비' 장마같은 가을 농작물 작황 피해… 벼 깨씨무늬병 농업재해 조사
  2.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3. 세종시 '버스정류장' 냉온열 의자 효율성 있나
  4. 가을비 머금은 화단
  5.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내년 지방선거 앞 존재감 경쟁

헤드라인 뉴스


LH `전관 카르텔` 여전… 퇴직자 483명 1년간 8096억원 수주

LH '전관 카르텔' 여전… 퇴직자 483명 1년간 8096억원 수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출신 퇴직자들이 관련 업계에 취업해 사업을 수주하는 '전관 카르텔'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이 지난 1년간 수주한 사업 금액의 규모는 8096억 원에 달한다.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의원이 LH 퇴직자 현황 시스템을 전수조사한 결과, 지난해 10월 이후 LH 사업을 수주한 업체 91곳에 LH 출신 퇴직자 483명이 근무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업체들이 1년간 수주한 사업은 355건, 수주액은 8096억 원이다. LH는 2009년 출범 이래 지금까지 4700명이 퇴직했다. 연평..

문체부, 尹 체포영장 발부·집행 시기 국힘 지도부에 설 선물 왜?
문체부, 尹 체포영장 발부·집행 시기 국힘 지도부에 설 선물 왜?

윤석열 정부 문화체육관광부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발부와 집행 시기인 올해 1월 국민의힘 지도부에게 설 명절 선물을 발송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정 정당 지도부에게 보낸 건 이례적인 데다, 당시는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과 그에 따른 서부지법 폭동 등 상당히 민감한 시기였다는 점에서 내란 옹호 논란을 자초한 꼴이 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이 문체부로부터 제출받은 '명절 선물 발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유인촌 장관이 이끌던 문체부는 2025년 1월 설 연휴를 맞아 국민의힘..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전국체전을 앞둔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훈련장에는 뜨거운 열기가 감돈다. 체육관 바닥을 때리는 육중한 바벨의 굉음 속에도 선수들의 눈빛은 흔들림이 없다. 이들의 목표는 '대전의 힘'으로 금메달을 들어 올리는 것이다. 그 중심에는 대전체고와 한국체대를 거쳐 성장한 전해준 선수와 꾸준한 성적으로 대전 역도의 저력을 이끄는 한지안 선수가 있다. 대전체고와 한국체육대학을 졸업한 전해준(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선수는 고교 시절 제100회 전국체전 역도 인상 부분 금메달을 목에 걸며 유망주로 성장했다. 대학 진학 후 한동안 부상과 재활을 거듭하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 가을비 머금은 화단 가을비 머금은 화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