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티이미지뱅크. |
14일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들어 전국에서 14곳의 건설사가 문을 닫았다. 수도권은 6곳, 지방은 8곳으로 집계됐다. 이 중 충청권은 충남 전문건설업 2곳, 충북 종합건설업 1곳에서 부도가 발생했다. 대전과 세종에선 부도 건설사가 없었다.
전국적으로 폐업도 꾸준히 늘고 있다. 종합건설업의 경우 2022년 261건, 2023년 418건, 2024년 516건으로 해마다 늘었으며, 전문건설업도 2022년 1640건, 2023년 1929건, 2024년 2150건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건설사들의 법정관리도 잇따르고 있다. 이 중 대흥건설(충북 충주), 대저건설(경남 김해), 홍성건설(경북 경산), 삼정이앤시·삼정기업(부산), 영무토건(광주) 등은 지역에 기반으로 둔 건설사로 꼽힌다. 여기에 최근 광주·전남 기반 중견기업인 유탑그룹(유탑디앤씨·유탑건설·유탑엔지니어링)도 기업 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지방은 미분양 늪에도 빠져있다. 국토교통부 주택통계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 6613세대로 전월(6만 2244세대) 대비 7% 늘었다. 충청권을 보면 대전은 2485세대로 전월(1514세대)보다 971세대 증가했다. 이는 전달대비 64.1% 늘어난 수치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충남은 전월보다 28.2% 증가한 5499세대, 충북은 1912세대, 세종은 50세대로 집계됐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 7584세대로, 7월 대비 1.9% 증가했다. 이 중 83.9%(2만 3147세대)는 지방 소재 주택으로 집계됐다. 충청권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대전 478세대, 세종 50세대, 충남 1417세대, 충북 640세대 등이다.
이뿐 아니라 서울 쏠림 현상 속 지방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건설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사업성이 악화하고 있고, 최근 원자재 가격, 환율 상승 등도 건설업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기에 최근 정부가 중대재해처벌법 등으로 건설업계에 대한 처벌 수위를 높이면서 앞으로 폐업이 더욱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중대재해에 취약한 중소 업체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사업의 존폐 위기에 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전의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수도권 진입이 어려운 중소 건설사들은 지방에 집중하고 있는데, 부동산 시장 분위기나 미분양으로 어려움이 많다"며 "지방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며 금융 지원이나 세제 지원 등이 병행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 금융권의 역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