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충원 IC 사업 초기 위치도. (사진= 대전시) |
대전시가 국책 사업과 연계돼 중단됐던 행정 절차를 재개하기 위해 사업 방향을 바꾼 것이다. 올해 연말까지 조사를 마치겠다는 계획인데, 하이패스 IC 설립을 위한 사업 윤곽이 드러날지 주목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IC 타당성 조사는 재추진돼 12월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앞서 2024년 8월 시작된 조사는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예타 신청에 맞춰 잠정 중단된 바 있다. IC는 나노·반도체 산단과 연계해 필수 인프라 역할을 기대하며 추진됐다. 다만, 산단 부지 윤곽이 정해지지 않아 위치 선정과 타당성 조사는 산단 예타 신청 이후로 미뤄졌다.
그러나 지난 8월 대전시가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예타 철회를 결정하면서 하이패스 IC 조성 사업 변경이 불가피해졌다.
시는 오는 2030년까지 유성 지역에 반도체, 나노소재, 항공우주 등 관련 기업을 유치하는 나노·반도체 국가산단을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워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했다. 예비타당성조사 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설문조사 결과 기업 입주 수요가 급감하고, 생산유발 효과도 축소되자 대전시는 시행기관인 LH와 협의해 예타 신청을 철회한 것.
이로 인해 하이패스 IC 조성도 계획을 갑작스럽게 바꿔야 했지만, 오히려 관련 절차를 줄일 기회를 얻게 됐다. 원래대로라면 산단 조성 절차까지 기다려야 했지만, 이와 분리해 사업을 진행할 수 있어 일정 축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 것이다.
대전시는 연말 타당성 조사 완료 후 한국도로공사와 국토교통부 등과 협의해 IC 위치를 선정하고 사업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후 이를 반영해 토지 이용 계획 세우고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행정절차와 연계한 계획을 재수립한 뒤 예타를 진행한다. 산단 조성이 늦어질 경우에는 IC 사업을 독자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다만 남은 관문이 있다.
하이패스 IC 사업과 병행 중인 호남고속도로 지선 확장(지하화) 사업 때문이다. 연말 예타 발표 결과가 IC 조성 사업의 향방을 결정하게 된다.
지선을 6차선으로 확장하는 과정에서 IC 구간과 맞물리기 때문에, 예타 통과 여부가 사업 추진에 중요한 변수가 되는 만큼 행정당국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선행했던 사업은 그대로 반영하고, 도시형 계획을 수립하는 방향으로 협의한 상태"라며 "다만, 타당성을 인정 받더라도 고속도로 확장 사업 여부가 중요해 정확히 언제 착공할 수 있을지는 장담하긴 어려운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