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회장은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의 질의에 답변하는 자리에서 "공공의료 현장은 만성적인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으며, 지방일수록 그 심각성이 크다"며 "공공의대와 지역의사제를 통해 안정적인 의료 인력 공급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방의료원연합회는 전국 35개 지방의료원으로 구성된 공공의료 협의체로, 지역 주민의 필수의료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다.
김 회장은 "의사와 간호사 인력의 수도권 및 대형병원 쏠림 현상이 날로 심화하고 있다"며 "정부에서 공공임상교수제, 시니어의사제, 지역(필수)의사제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현장 수요를 충족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인력난과 더불어 지방의료원이 직면한 열악한 재정 구조를 심각한 문제로 꼽았다.
"올해 6월 기준 35개 지방의료원 중 29곳이 적자를 기록했고, 그 규모만 484억 원에 달한다"며 "연말까지는 약 1,500억 원 수준의 적자가 예상된다. 일부 의료원은 이미 임금체불 사태까지 발생하고 있어 의료진과 직원 이탈이 더 심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날 국감에서는 박희승 의원이 "코로나19 이후 지방의료원 35곳 중 29곳이 적자이며, 재정난이 3년 연속 악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회장은 이에 대해 "지방의료원이 공공의료의 최일선에서 코로나19 환자를 전담했지만, 그 이후의 회복 지원은 충분하지 않았다"며 "지방의료원이 다시 제 기능을 발휘하려면 정부와 국회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서산의료원 또한 지역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의료인력 확보와 재정난을 동시에 겪고 있다.
김 회장은 "서산의료원을 비롯한 지방의료원이 지역의 건강 안전망으로서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공공의료의 기반을 강화하고 인력 구조를 개선해 나가겠다"며 "서산의료원이 그 모범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보건복지위원회에서는 의료계의 오랜 숙원인 '의료사고 처리특례법' 추진 상황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보건복지부 한 관계자는 "전문가 의견을 추가로 수렴해 연말까지 관련 법률안을 토의할 계획이며, 환자와 의료진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절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서산=임붕순 기자 ibs99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