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중도일보 DB |
2일 교육계에 따르면 올해 수능 응시생은 55만 4174명으로 전년보다 3만 1504명 증가했다. 올해 고3은 출산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황금돼지띠(2007년생)로, 역대 최대 규모의 재수생(N수생)과 맞물리며 치열한 경쟁이 예고됐다. 올해 대입은 '사탐 쏠림(사탐런)' 현상과 의대 정원 원복으로 인한 입시 변수가 겹치며 쉽지 않은 구도가 예상된다.
대전 지역의 2026학년도 수능 지원자는 1만6131명으로 지난해보다 669명 늘었다. 응시 자격별로는 재학생이 1만1312명, 졸업생 4096명, 검정고시 및 기타 학력 소지자가 723명으로 집계됐다. 재학생은 지난해보다 835명 늘었고 졸업생은 226명 감소했다. 남학생은 8404명, 여학생은 7727명으로 각각 307명, 362명 증가했다.
종로학원은 '수능 D-10' 전략으로 최근 3개년 평가원 모의고사와 수능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한 오답 정리를 제시했다. 실제 출제 경향과 가장 유사한 모의고사 오답 노트를 압축해 재정리하거나 시험장에 가져갈 수 있는 '최종 오답집'을 완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분석이다.
또 13일 수능 당일 시간표에 맞춘 생활 리듬 조정이 필요하다. 기상 시간과 아침 식사, 시험장 도착·점심 시간 등을 실제 시험 일정과 일치시켜 생체 리듬을 맞추는 연습이 집중력 유지에 도움이 된다.
점수 상승 여지가 큰 탐구영역은 단기간 암기로도 성적 향상이 가능한 만큼 반복 학습을 통해 기본 개념과 오답 선지 패턴을 익히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아울러 검증되지 않은 약물이나 두뇌 활성제, 의료행위 등에 의존하지 말고 충분한 수면과 소화가 잘되는 음식 섭취 등 신체 리듬 관리에 집중해야 한다. 가족과 주변의 지나친 간섭은 수험생의 긴장을 높일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지금은 새로운 것을 더하려 하기보다, 이미 학습한 내용을 명확히 정리하고 실전 감각을 끌어올릴 시기"라며 "결국 수능은 지식보다 루틴과 컨디션이 승부를 가른다"고 말했다.
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고미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