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중도일보DB |
박 의원은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은 단순한 에너지 정책이 아니라 지역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라며 "산업기지로서 수십 년간 국가 경제를 지탱해 온 포항을 빼고 재생에너지 중심 지역만 선정한 것은 명백한 정책 실패"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이번에 제주·전남·부산 강서구·경기 의왕 등 4곳을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으로 지정했다. 이들 지역은 모두 태양광, ESS(에너지저장장치) 등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사업모델을 제시했다.
반면 포항은 청정 암모니아 발전과 수소 기반 에너지 전환,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 등 산업형 분산 에너지 모델을 제시했음에도 보류 대상이 됐다.
박용선 의원은 "포항은 철강·수소·이차전지·바이오 산업이 집적된 대한민국의 대표적 산업도시이자, 전국에서 가장 안정적 전력 인프라를 갖춘 곳"이라며 "그럼에도 정부가 포항을 제외한 것은 실력 부족이 아니라 정부의 시각 부족"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전남은 반값 전기요금을 내세워 데이터센터를 유치하고, 부산과 의왕은 ESS 실증사업으로 미래 전력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하지만 포항은 산업 기반만 유지하라는 식의 정책에서 단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했다. 이건 명백한 역차별이며 지역 배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 의원은 이번 결정이 단순한 행정 보류가 아니라 '포항 경제의 사형선고'라고 규정했다. "수소경제, 철강 고도화, 배터리 산업 등 포항의 미래 먹거리는 모두 전기요금 경쟁력에 달려 있다.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 지정에서 빠졌다는 것은 산업단지 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에서 심각한 불리함을 의미한다."라고 말했다.
안동=권명오 기자 km1629km@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권명오 기자


![[대전 유학생한마음 대회] "코리안 드림을 향해…웅크린 몸과 마음이 활짝"](https://dn.joongdo.co.kr/mnt/webdata/content/2025y/11m/10d/118_20251110010008006000339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