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산청읍 회전교차로와 거창 대동리 회전교차로<사진=김정식 기자> |
설계와 시공은 관련 지침에 따라 이뤄졌다는 행정 측 설명이지만, 실제 이용자인 운전자들은 진입 부담, 회전 시 차량 간 간격 부족, 시야 답답함 등을 이유로 "도로가 아니라 장벽 같다"고 지적하고 있다.
산청군 도로담당자는 회전교차로 설계 과정에서 국토관리청과의 직접 협의는 없었다고 밝혔다.
담당자는 "부산청과 따로 통화하거나 조정한 적 없다. 예전(2019년 당시) 주민설명회 한 번 있었을 뿐이고, 그때도 로타리 규모나 차로폭까지 논의된 건 아니었다"고 말했다.
부산지방국토관리청 담당자는 기준 준수를 강조했다.
해당 관계자는 "설계는 세미트레일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기준을 적용했다. 차로 폭 6m는 기준상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현장 사진을 검토하면 개선 논의는 가능하다"고 여지를 남겼다.
산청경찰서 도로관리계 역시 개선 필요 가능성을 인정했다.
산청경찰서 팀장은 "사진을 확인했고 관계 기관과 함께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인근 거창군 대동리 회전교차로는 구조적으로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개선된 사례로 꼽힌다.
거창군 도시개발담당자는 "회전 차량이 돌아가는 차로를 2차선으로 확보하고, 우회전 차량을 분리해 흐름을 나눴다. 주민들이 이미 회전교차로에 익숙해진 상황에서 경관 개선과 동선 분리가 함께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드론 촬영 비교에서도 차이가 명확하다.
![]() |
| 구분(양 군 교차로 차이)<사진=김정식 기자> |
도로는 수치와 규정으로 정리되지만, 운전은 속도·시야·심리 압력 등 인간의 감각으로 이뤄진다는 이유에서다.
주민 역시 이렇게 말한다.
"기준이 맞았다면 왜 우리가 불편할까. 도로는 공무원이 아니라 우리가 다닌다."
반대로 행정은 "기준에 따른 설계"만 반복 설명해 왔다.
그러나 기준은 도로의 최소 조건일 뿐, 사용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산청읍 회전교차로는 결국 질문을 남긴다.
이 도로는 누구를 위해 만들어졌는가.
도면 위 규격인가 아니면 매일 그 길을 도는 주민인가.
도로는 규정으로 움직이지 않고 사람의 감각으로 흘러간다.
산청=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정식 기자



![[대전 유학생한마음 대회] "코리안 드림을 향해…웅크린 몸과 마음이 활짝"](https://dn.joongdo.co.kr/mnt/webdata/content/2025y/11m/10d/118_20251110010008006000339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