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하동군청 전경<제공=하동군> |
이번 조사는 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군민 공감대를 넓히기 위해 진행됐다.
참여자는 1234명으로 온·오프라인을 통해 접수됐다.
하동형 육아수당은 출생순위와 소득 기준과 무관하게 1세 미만 아동에게 출산축하금 200만 원을 지원한다.
12~83개월 아동에게는 매월 양육수당 60만 원을 지급한다.
군은 인구 4만 명 붕괴 위기 속에서 이 정책이 저출산 대응의 중요한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군은 2024년부터 추진 계획을 세웠으며 최근 2년간 보건복지부와 협의를 이어왔다.
그 결과 2025년 11월 사회보장제도 신설 승인을 받았다.
정책 시행을 위한 사전 절차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설문조사 결과 군민 75%가 저출산 대응 현금정책에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보통은 16%, 부정은 9%였다.
정책이 출산과 양육에 도움이 되느냐는 질문에는 76%가 '도움된다'고 답했다.
출산계획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응답도 72%에 달했다.
인구 증가 효과를 묻는 항목에서도 '도움된다'가 68%로 나타났다.
군민 기대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정책 수혜가 실제 양육 부담 완화에 연결될 것이라는 평가도 우세했다.
다만 정책 한계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주거·일자리·교육 등 기본 인프라 부족이 31%로 가장 높았다.
출산의향이 없는 가정에는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의견도 28%였다.
지원금액 부족과 대상 연령 제한을 지적한 의견은 38%로 정책 확대 요구를 시사하는 항목이었다.
하동군은 이번 결과를 반영해 육아수당 시행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청년타운, 일자리창업지원센터, 평생학습관 등 생활 인프라 확충도 병행한다.
군은 '하동군 인구감소 대응 및 시책 지원 조례 시행규칙'을 개정해 지원 대상과 지급 절차 등 세부 지침을 마련하고 2026년 1월 1일 시행할 예정이다.
지원은 넓히고 기반은 다져야 한다는 군민의 목소리가 비로소 정책이라는 형태로 자리 잡기 시작한다.
하동=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정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