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청권 고위 법관 재산, 고위 검사의 10배 수준

  • 사회/교육
  • 법원/검찰

대전·충청권 고위 법관 재산, 고위 검사의 10배 수준

문광섭 부장판사 재산 131억 9951만원…대전·충청권 최고
김광태 대전고법원장, 이승훈 청주지법원장 뒤이어
강남일 대전고검장은 5억7460만원 신고

  • 승인 2020-03-26 17:18
  • 신문게재 2020-03-27 4면
  • 김성현 기자김성현 기자
대전충청 법관 재산
대전·충청권에선 고위 법관들의 재산이 고위 검사들보다 10배 정도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 전자관보에 게재된 2020년도 정기재산변동 신고사항 공개 자료에 따르면, 대전과 충청권에서 문광섭 대전고등법원 수석부장판사의 재산이 131억 9951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문광섭 수석 부장판사는 본인 명의의 토지(49억 1892만원)와 건물(68억 8911만원), 예금(32억원) 등을 보유했다. 32억 7930만원을 신고한 김광태 대전고법원장이 뒤를 이었고, 이승훈 청주지방법원장은 31억 9316만원, 권혁중 대전고법 부장판사는 30억 3205만원을 신고했다.

특허법원 김경란 수석 부장판사는 29억 5518만원, 대전고법 지영난 부장판사 25억 6798만원, 이승영 특허법원장이 18억 2740만원, 특허법원 이규홍 부장판사 14억 7432만원, 이제정 부장판사 11억 6345만원, 서승렬 부장판사 8억 9956만원, 대전고법 신동헌 부장판사 6억 8569만원, 허용석 부장판사 5억 7130만원, 특허법원 윤성식 부장판사 4억 8532만원, 대전고법 김성수 부장판사가 2억 5665만원을 신고했다.



김명수 대법원장 등 고위 법관의 평균 재산이 29억원 수준이었고, 재산 상위 10명 중 7명은 100억원이 넘는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 충청권 검사
검찰에선 강남일 대전고검장이 5억 7460만원의 재산을 보유했다. 강남일 고검장은 어머니 명의의 토지(2759만원), 본인과 가족들 명의의 건물(3억3830만원), 자신과 배우자, 아들 등 가족 명의의 예금(3억 1277만원)을 신고했다.

최경규 청주지검장은 4억 1619만원, 이두봉 대전지검장 3억 3638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법무부와 대검찰청 고위 간부들의 평균 재산은 19억원이고, 최대 자산가는 66억8388만원을 신고한 윤석열 검찰총장으로 확인됐다. 윤석열 총장 본인의 재산은 예금 2억 1981만원에 불과했고, 대부분의 재산은 부인 명의였다.


김성현 기자 larczar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2.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3.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4.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5.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1.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2. 세종시 싱싱장터 납품업체 위생 상태 '양호'
  3.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4. '세종교육 대토론회' 정책 아이디어 183개 제안
  5. ‘몸짱을 위해’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