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육아생활] "이 제품 괜찮더라"… 부모가 선호하는 기저귀 1위는?

  • 문화
  • 슬기로운 육아생활

[슬기로운 육아생활] "이 제품 괜찮더라"… 부모가 선호하는 기저귀 1위는?

2월 브랜드 평판 빅데이터 분석 결과… 1위 페넬로페·2위 군·3위 팸퍼스 기저귀

  • 승인 2019-02-26 15:10
  • 수정 2019-02-26 15:38
  • 서혜영 기자서혜영 기자
기저귀 최종 최종
게티이미지 제공
아이를 키우는 집에서 기저귀는 반드시 구매해야 하는 필수품이다. 또 아이 피부에도 직접 닿기 때문에 가장 신경써서 고르는 용품이기도 하다.

아기 피부와 안 맞는 경우 피부발진 등 즉시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래서 출산 준비를 하면서부터 주변에 가장 많이 묻고, 가장 많이 받기도 했던 질문이 "기저귀 어떤 것 써?"였다.

시중에는 정말 다양한 종류의 기저귀 제품이 있으며 제품마다 크기, 두께, 형태 등이 다양하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무난하게 사용하지만 우리 아이에게는 잘 안 맞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부모들은 우리 아이에게 잘 맞는 기저귀를 찾기 위해 고민하고 또 검색한다.

그렇다면 수많은 제품들 중 부모들이 가장 선호하는 기저귀 브랜드는 무엇이었을까?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국내 소비자가 선호하는 기저귀 브랜드 23개에 대한 브랜드 빅데이터 평판 분석을 벌였다.

조사는 1월 23일부터 2월 24일까지 기저귀 브랜드 빅데이터 601만 1597개를 분석하며 이뤄졌다.

기저귀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는 페넬로페 기저귀, 2위는 군 기저귀, 3위는 팸퍼스 기저귀 순으로 나타났다.

4위는 하기스, 5위 킨도, 6위는 나비잠, 7위는 리베로가 뒤를 이었으며 8위 보솜이, 9위 마미포코, 10위 슈퍼대디 순이었다.

이어 슈베스, 대디베이비, 밤보, 쿠잉, 에코제네시스, 메리즈, 토디앙, 밤부베베, 네이처러브메레, 네띠. 네츄럴블라썸, 모모래빗, 베슈가 뒤를 이었다.

이는 소비자들의 참여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 지수로 나눠 측정한 결과였다.

아기아기 222
게티이미지 제공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월 기저귀 평판 브랜드 1위를 기록한 페넬로페 기저귀는 링크 분석에서 '가볍다, 편안하다, 슬림하다'가 높게 나왔으며, 키워드 분석에서는 '뉴미라클, 엠보싱, 팬티기저귀'가 높게 나왔다"고 밝혔다.

또 "긍부정비율 분석에서는 63.25%가 긍정비율로 분석되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월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결과에서는 이번달과 마찬가지로 페넬로페 기저귀가 1위를 차지했다.

2위 부터는 하기스, 3위 팸퍼스, 4위 킨도, 5위 군, 나비잠, 마미포코, 보솜이 등이 뒤를 이어 순위가 바뀐 것을 볼 수 있다.

우리 아이에게 잘맞는 기저귀를 찾기 위해서는 직접 사용해보는 것이 최고의 방법이다.

한꺼번에 대량으로 구매하면 아기와 안 맞을 경우에는 처리가 힘드니 필요한 만큼만 사용해 보는 것이 좋다.

착용시 아기가 불편해하지 않는지, 대소변이 새지 않는지, 아기의 피부가 짓무르지 않는지 등을 체크해 보자.

서혜영 기자

 

[슬기로운 육아생활] '낳을까, 말까' 고민만 백만번둘째를 고민한다면?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225010008924

 

[슬기로운 육아생활] 마음 속 감기같은 육아 우울증엄마도 관심이 필요해~”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222010007864

 

[슬기로운 육아생활] “엄마도 엄마가 처음이라~” 잘못된 육아상식 뭐가 있을까?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220010006865

 

[슬기로운 육아생활] 우리아이 초등학교 입학 준비됐나요~”-마음가짐편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219010006235

 

[슬기로운 육아생활] 우리아이 초등학교 입학 준비됐나요~”-생활습관편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218010005660

 

[슬기로운 육아생활] "아기에겐 안돼요" 돌 전엔 주면 안되는 음식 7가지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214010004055

 

[슬기로운 육아생활] 홍역에 불안한 엄마들... “홍역, 너는 누구냐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213010003407

 

[슬기로운 육아생활] 애착육아 잘하고 싶다면? “많이 안아주고 사랑해 주세요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212010003045

 

[슬기로운 육아생활] 2019년 육아정책, 이것이 달라진다-육아휴직/급여편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201010000097

 

[슬기로운 육아생활] 2019년 육아정책, 이것이 달라진다-양육편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131010012943

 

[슬기로운 육아생활] 2019년 육아정책, 이것이 달라진다-임신/출산편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13001001238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5.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1.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