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특집]UST '프라우드(ProUD) 프로그램'으로 인재 양성 앞장

  • 경제/과학
  • 대덕특구

[과학 특집]UST '프라우드(ProUD) 프로그램'으로 인재 양성 앞장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전문적·독창적·차별화' UST표 교육 철학 담아
국내 대학원 첫 박사과정 신입생 교육 프로그램
재학생 전원 중대형 국책 연구과제 참여

  • 승인 2019-04-22 14:11
  • 신문게재 2019-04-23 13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ProUD 프로그램 삽화
ProUD UST 로고
국내 유일 국가연구소대학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이하 UST)가 차별화된 인재상을 담은 교육 프로그램으로 우수 재원 배출에 힘쓰고 있다. 4차산업혁명 시대와 발맞춘 과학 인재 양성으로보다 진보한 과학기술 미래가 기대된다.

UST는 지난해 1학기 '프라우드 프로그램'을 본격 운영하기 시작했다. 앞서 2017년 2학기 동안 시험 운영을 통해 UST의 교육철학을 담은 'RroUD(프라우드) UST'를 완성했다. 프라우드 시스템은 ▲전문적이고(Professional) ▲독창적이고(Unique) ▲차별화된(Different) 인재를 기른다는 UST 교육철학을 담은 프로그램으로 빅데이터·인공지능·IoT(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 요소 기술을 유기적으로 배워 전공과 융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게 한다.



프라우드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들은 최종 단계에서 그동안 배운 지식을 자신의 전공 분야와 연계해 독창적인 작품을 만든다. 이로써 학생들은 4차 산업혁명의 다양한 요소 기술들을 스스로 체화해 응용할 수 있는 기초 역량을 기르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지난해부터 대전시와 연계해 UST 학생뿐만 아니라 대전 소재 벤처, 중소, 중견기업 임직원과 국가연구소 연구원 등을 대상으로도 12주간 진행되고 있다. 산업과 연구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실험·실습 중심의 체험교육을 통해 지역사회의 과학기술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자 시작한 것이다.



프라우드 프로그램을 주도하고 있는 최정길 UST 교수는 "UST 다양한 분야의 교수들과의 공동 협력을 통해 프라우드 프로그램과 같은 독창적이고 선제적인 교육과정을 만들 수 있었다"며 "이는 UST가 총 32개의 국가연구소를 캠퍼스로 두고 있는 국내 유일의 국가연구소대학원이기 때문에 실현 가능했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UST는 프라우드 프로그램뿐 아니라 '새내기 오디세이'를 통해 역량 강화 예비교육과정을 운영한다. UST의 차별화된 교육시스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국가연구소의 국책 연구과제에 참여하는 학생연구원으로서 역량과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설계된 4주 과정의 집체교육이다. 프로그램은 기초과학·공학·기반역량 강화·R&D연구역량 강화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석박사통합·석사 과정 신입생을 위한 과정과 박사과정 신입생을 위한 과정을 별도로 운영 중이다.

또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전공 간 벽을 허물고 공동으로 강의를 운영하는 '협동강좌'를 실시하고 있다. 서로 다른 전공의 학생이 모여 다학제 분야를 횡단하는 경험을 통해 전공 분야에 대한 전문성뿐만 아니라 창의·융합·혁신 역량을 기를 수 있다. UST는 2018학년도 기준 전체 전공강의 중 45%가량을 협동강의로 운영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직할 교육기관으로서 2003년 정부출연연구기관법에 따라 교육부의 인가를 받아 설립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국방과학연구소(ADD) 등 총 32개 국가연구소에 대학원 기능을 부여해 과학기술 분야 인재를 양성하는 국내 유일의 국가연구소대학원이다. UST는 2006년 첫 졸업생을 배출한 이후 2019년 4월 현재까지 박사 707명, 석사 1529명 총 2236명의 석·박사 인재를 배출했다. 재학생 수는 박사과정 508명, 석·박사 통합과정 601명, 석사과정 246명 총 1355명으로, 이들은 32개 국가연구소에서 학생 연구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임효인 기자

UST_Image3


UST_Image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3.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4.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5.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1.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2. 더민주대전혁신회의 "검찰 집단항명, 수사 은폐 목적의 쿠데타적 행위"
  3. 이한영, 중앙로지하상가 집중점검… "실효성 있는 활성화 대책 필요"
  4. 대전경찰청, 14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앞두고 안전 점검
  5.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