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호축 사업 |
‘강호축’은 오송역 중심으로 철도체계를 재편하는 것이어서 자칫 철도중심도시인 대전의 위상이 흔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는 3일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51차 국무회의에서 '강호(강원∼충청∼호남)축' 발전계획이 반영된 제5차 국토종합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이날 제5차 국토종합계획 발표 직후 이우종 충북도 기획관리실장은 기자간담회를 통해 "강호축이 연계·협력 사업의 대표 사례로서 전국에서 유일하게 별도 항목(복합)으로 반영됐다"면서 "강호축이 국가 최상위 계획인 제5차 국토종합계획에 반영되면서 국가 의제가 됐다"고 강조했다.
강호축은 이시종 지사가 2014년 국토 불균형 해소, 미래 혁신동력 확보를 위해 제안한 개념이다. 강원∼충청∼호남을 연결하는 경제발전벨트로 서울에서 대구, 부산을 남북으로 잇는 경부축에 대비된다. 국토 균형발전을 위해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외된 강원, 충청, 호남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자는 것이다. 강호축 개발의 핵심은 지역특화 전략산업 육성과 백두대간 관광치유벨트 조성, 고속 교통망 구축 등이다.
그동안 충북과 전북, 광주, 전남, 강원, 세종, 대전, 충남 등 8개 시·도 단체장은 강호축의 국토종합계획 반영에 힘을 모아왔다.
강호축 개발은 국토 균형발전 및 유라시아 교통물류 기반 조성, 교통물류시스템 구축, 중부권 거점공항으로서 청주공항 역할 확대, 4차 산업혁명 대응 신산업 육성, 미래해양과학관 등 문화 관광 인프라 구축 등의 내용을 담고 있어 대전시 입장에서는 균형발전이나 경제 성장 측면에서는 나쁠 것이 없다.
하지만, 강호축의 핵심은 철도 등 중심축이 '오송'이 된다는 것이다. 철도 중심도시인 '대전'의 입장에서 보면 결코 반가운 일이 아니다. 그렇다고 혁신도시 지정이나 아시안게임 공동유치 등 충청권 공조가 중요한 시점에서 강호축을 반대하기 쉽지 않다.
이에 대해 대전시 한 관계자는 "대전이 경부선과 호남선을 잇는 철도중심도시로 이 부분이 도시성장의 큰 동력이 됐다"면서도 "강호축 개발 등 장기적으로 보면 '오송'으로 중심이 재편될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한 대비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대전시는 충청권광역철도 사업과 보령~대전~보은 고속국도 건설 호남선 고속화 등 충청권 광역교통망 구축에 집중할 계획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인구나 도시 규모로 보면 광역화의 중심은 대전이 될 수 밖에 없다"면서 "광역교통망 구축을 통해 경제와 생활 중심이 대전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