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홍기의 말씀 세상] 바라봄의 교훈

  • 오피니언
  • 이홍기의 말씀 세상

[이홍기의 말씀 세상] 바라봄의 교훈

이홍기/ 원로목사

  • 승인 2020-04-09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바라봄의 교훈 중에 가장 유서 깊은 이야기는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일 것이다. 맹자의 어머니가 맹자를 위해, 서당 옆으로 이사하여 학문에 몰두함으로 뜻을 이루었다는 얘기는 누구나 다 알고 있는 바이다. 바라봄의 교훈이란 맹자와 같이 한 가지 목표에 집중하면 성공한다는 교훈이다.

옛날에 어진 임금이 있었다. 하루는 어떤 청년이 찾아와서 인생의 성공비결을 가르쳐 달라고 임금에게 간청 하였다. 임금은 아무 말 없이 컵에다 포도주를 가득히 따랐다. 청년에게 건네주더니 경비병을 불렸다.



"이 젊은 놈이 저 포도주 잔을 들고 시내를 한 바퀴 도는 동안에 너는 칼을 들고 이 젊은 놈의 뒤를 따르라. 만일 포도주를 한 방울이라도 흘릴 때는 너는 뒤에서 저놈의 목을 내리쳐라." 라고 명령하였다.

청년은 포도주 잔을 들고 시내를 한 바퀴 돌며, 한 방울도 흘리지 않고 돌아왔다. 그의 이마에는 구슬 같은 땀이 맺혔다. 임금은 다정스럽게 미소를 지으며 청년에게 말했다.



"수고 했네. 그런데 자네가 시내를 한 바퀴 도는 동안 뭣을 보고 뭣을 들었는지 말해보라."

"임금님! 죄송합니다. 저는 아무것도 보지 못했고 듣지도 못했습니다."

"아니 장터에 있는 장사꾼들도 못 보았다는 것이냐? 술집에서 노래하고 춤추는 것도 못 봤다는 말이지?"

"네 저는 아무것도 보지도 못했고, 듣지도 못 했습니다."

임금이 말했다.

"그렇다. 이것이 네 인생의 교훈이다. 네가 거리를 한 바퀴 돌면서도 그 잔만 바라보고 정신을 집중시킨 것처럼 너의 참다운 인생에만 모든 것을 집중하라. 그러면 유혹과 죄의 소리도 들리지 않을 것이고 반드시 성공할 것이다"라고 훈계했다.

만약에 임금이 이 청년에게 돈을 줬다든지 일자리를 마련해 줬다면 청년은 과연 성공할 수 있었을까? 아마도 교만하거나 향락에 빠졌을 것이다. 이처럼 인생의 성공과 행복은 물질보다는 뭣을 보고 살아가느냐에 달려있다.

맹자가 글공부에 집중하고, 청년이 살기위해 포도주만 쳐다 본 것처럼 한 가지에 집중하라.

소년 가수 정동원 이야기도 해보자.

필자는 어느 날 글을 쓰다가 팔이 아파서 펜을 놓고 친구가 보낸 카톡을 봤다. 전에는 송가인이란 여자 가수가 유튜브를 차지하더니, 난데없이 어린 소년이 콘서트를 하고 있었다. 노래, 색소폰, 드럼, 못 하는 게 없었다. 직업의식이 발동하여 그의 신상에 관한 판을 눌러봤다. 나이는 만13세, 부모님이 이혼하여 할아버지 손에서 자랐다. 할아버지가 노래를 잘 불렀는데 한번 따라 불렀던 노래를 입술이 터지도록 반복해서 불렀다고 한다. 할아버지는 그를 가수로 키우기 위해 색소폰과 드럼을 사 줬다. 드럼을 얼마나 두들겼는지 3개가 닳아서 구멍이 났다고 한다.

심리적으로 볼 때, 음악은 그에게 어머니의 정이요 사랑이라 할 수 있다. 한참 응석부릴 나이인데, 정군은 그 응석을 음악에 쏟은 것이다. 보통 아이들은 환경이 나쁘면 인생도 나쁘기 마련인데, 정동원군은 나쁜 환경 속에서 좋은 것을 선택한 것이다. 그 소년은 자신의 꿈을 이뤘다. 그 꿈을 이룬 배경은 음악, 한 가지에 몰입하였기 때문이다.

어느 학자가 말했다. 목표를 정했으면, 거기에 미쳐라. 미치지 않으면 성공할 수 없다고.

바라봄의 달인 야곱 이야기다.

야곱은 외삼촌 집에서 머슴살이를 14년간 했다. 외삼촌의 농간에 의해 품삯을 한 푼도 받지 못했다. 어느 날 야곱이 외삼촌(라반)에게 품삯을 달라고 강력히 요구했다. 그랬더니 라반이 야곱에게 품삯규정을 정(定) 하라고 했다. 야곱은 뜬금없는 제안을 한다. 앞으로 양이나 염소 중에 아롱다롱 점이 있는 것은 자신의 것이라고 말하자, 외삼촌 라반도 동의했다. 요즘말로 하자면, 노사 간에 임금협상이 타결된 셈이다.

야곱은 이날부터 버드나무껍질을 아롱다롱하게 벗겨서 양과 염소가 물먹는 곳에 꽂아 놓았다. 양과 염소들이 물을 먹을 때 마다 아롱다롱한 버드나무를 쳐다봤다. 기적이 일어났다. 짐승들이 새끼를 낳는데, 아롱다롱하고 튼튼한 것을 많이 낳았다. 이게 바라봄의 법칙이다. 짐승들이 아롱다롱한 나무를 쳐다보니까 새로운DNA가 생긴 것이다.

야곱은 큰 부자가 돼 금의환향(錦衣還鄕)했다.

주일무적(主一無敵)이란 말이 있다. 마음을 한곳에 집중하여 잡념을 없앤다는 뜻이다. 당신은 지금 무엇에 집중하고 있는가? 무엇을 바라보고 있는가? 맹자처럼, 야곱처럼, 노래하는 소년처럼, 한 우물을 파라. 물이 콸콸 솟아 날 때까지….

이홍기/ 원로목사

3-이홍기 목사-210-최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 동래구, 제3회 온천천 빛 축제 개최
  2. 김포시농기계임대사업소, 노후농기계 불용품 매각
  3. 상명대 간호학과, 나이팅게일 선서식 개최
  4. 천안시보건소, '생명존중 안심마을' 4곳 지정
  5. 한기대 STEP, '열정 가득' 온라인 서포터즈 3기 출범
  1. 천안 벽산 블루밍 파크포레, 사업계획 승인 및 도급계약 모두 마쳐
  2. 나사렛대, 기아자동차 정주훈 상무 초청 '경영인의 날' 성료
  3. 충남창경센터, 'The Future with AX Forum' 개최
  4. 한기대, 충남경제정책 경연대회 우수상·장려상
  5. 천안문화재단, 모차르트 오페라 '코지 판 투테' 재창작 공연 개최

헤드라인 뉴스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유성복합터미널을 운영할 주체가 최근 결정되면서 대전 시민들의 고속·시외버스 운송체계가 동구 용전동과 유성구 구암동의 두 개의 복합터미널의 양강 체계로 전환될 전망이다. 대전교통공사는 11월 19일 주식회사 루시드 및 금호고속주식회사와 유성복합터미널의 공동운영사로 결정하고 5년에 추가 5년 연장 가능한 계약을 체결했다. 유성복합터미널은 2010년부터 민간사업자 공모방식으로 4차례 추진했으나 모두 실패하고, 2020년 대전시의 공영개발로 전환됐다. 시가 사업비 449억 원을 투입해 버스 15대가 동시에 승객을 승하차하는 플랫폼을 갖추고..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4차 발사가 나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민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주말부터 전국에서 누리호 관련 행사가 진행되며 4차 발사 성공을 기원하는 분위기가 고양되고 있다. 23일 우주항공청·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27일 오전 12시 54분에서 1시 14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누리호 4차 발사가 예정돼 있다. 발사 예비 기간은 이날부터 12월 4일까지며 이 기간 중 누리호 4차 발사가 진행된다. 이번 발사는 기존과 달리 늦은 시간 진행된다.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기의 궤도 진입을 고려한 시간이다...

국제유가 안정세에도 고환율에 계속되는 `고유가 행진`
국제유가 안정세에도 고환율에 계속되는 '고유가 행진'

국제유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국내 기름값은 고유가 행진을 이어가 주목된다. 이는 원·달러 환율이 치솟으면서 고환율로 인한 원유 수입 비용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23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11월 셋째 주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 주간 평균 판매가는 지난주보다 ℓ당 25.80원 오른 1729.72원을 기록했다. 경유는 38.54원 오른 1636.57원으로 집계됐다. 전국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의 주간 평균 가격은 4주 연속 동반 상승했다. 대전·세종·충남지역 내 기름값도 10월 넷째 주를 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