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홍기의 말씀 세상] 바라봄의 교훈

  • 오피니언
  • 이홍기의 말씀 세상

[이홍기의 말씀 세상] 바라봄의 교훈

이홍기/ 원로목사

  • 승인 2020-04-09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바라봄의 교훈 중에 가장 유서 깊은 이야기는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일 것이다. 맹자의 어머니가 맹자를 위해, 서당 옆으로 이사하여 학문에 몰두함으로 뜻을 이루었다는 얘기는 누구나 다 알고 있는 바이다. 바라봄의 교훈이란 맹자와 같이 한 가지 목표에 집중하면 성공한다는 교훈이다.

옛날에 어진 임금이 있었다. 하루는 어떤 청년이 찾아와서 인생의 성공비결을 가르쳐 달라고 임금에게 간청 하였다. 임금은 아무 말 없이 컵에다 포도주를 가득히 따랐다. 청년에게 건네주더니 경비병을 불렸다.

"이 젊은 놈이 저 포도주 잔을 들고 시내를 한 바퀴 도는 동안에 너는 칼을 들고 이 젊은 놈의 뒤를 따르라. 만일 포도주를 한 방울이라도 흘릴 때는 너는 뒤에서 저놈의 목을 내리쳐라." 라고 명령하였다.

청년은 포도주 잔을 들고 시내를 한 바퀴 돌며, 한 방울도 흘리지 않고 돌아왔다. 그의 이마에는 구슬 같은 땀이 맺혔다. 임금은 다정스럽게 미소를 지으며 청년에게 말했다.



"수고 했네. 그런데 자네가 시내를 한 바퀴 도는 동안 뭣을 보고 뭣을 들었는지 말해보라."

"임금님! 죄송합니다. 저는 아무것도 보지 못했고 듣지도 못했습니다."

"아니 장터에 있는 장사꾼들도 못 보았다는 것이냐? 술집에서 노래하고 춤추는 것도 못 봤다는 말이지?"

"네 저는 아무것도 보지도 못했고, 듣지도 못 했습니다."

임금이 말했다.

"그렇다. 이것이 네 인생의 교훈이다. 네가 거리를 한 바퀴 돌면서도 그 잔만 바라보고 정신을 집중시킨 것처럼 너의 참다운 인생에만 모든 것을 집중하라. 그러면 유혹과 죄의 소리도 들리지 않을 것이고 반드시 성공할 것이다"라고 훈계했다.

만약에 임금이 이 청년에게 돈을 줬다든지 일자리를 마련해 줬다면 청년은 과연 성공할 수 있었을까? 아마도 교만하거나 향락에 빠졌을 것이다. 이처럼 인생의 성공과 행복은 물질보다는 뭣을 보고 살아가느냐에 달려있다.

맹자가 글공부에 집중하고, 청년이 살기위해 포도주만 쳐다 본 것처럼 한 가지에 집중하라.

소년 가수 정동원 이야기도 해보자.

필자는 어느 날 글을 쓰다가 팔이 아파서 펜을 놓고 친구가 보낸 카톡을 봤다. 전에는 송가인이란 여자 가수가 유튜브를 차지하더니, 난데없이 어린 소년이 콘서트를 하고 있었다. 노래, 색소폰, 드럼, 못 하는 게 없었다. 직업의식이 발동하여 그의 신상에 관한 판을 눌러봤다. 나이는 만13세, 부모님이 이혼하여 할아버지 손에서 자랐다. 할아버지가 노래를 잘 불렀는데 한번 따라 불렀던 노래를 입술이 터지도록 반복해서 불렀다고 한다. 할아버지는 그를 가수로 키우기 위해 색소폰과 드럼을 사 줬다. 드럼을 얼마나 두들겼는지 3개가 닳아서 구멍이 났다고 한다.

심리적으로 볼 때, 음악은 그에게 어머니의 정이요 사랑이라 할 수 있다. 한참 응석부릴 나이인데, 정군은 그 응석을 음악에 쏟은 것이다. 보통 아이들은 환경이 나쁘면 인생도 나쁘기 마련인데, 정동원군은 나쁜 환경 속에서 좋은 것을 선택한 것이다. 그 소년은 자신의 꿈을 이뤘다. 그 꿈을 이룬 배경은 음악, 한 가지에 몰입하였기 때문이다.

어느 학자가 말했다. 목표를 정했으면, 거기에 미쳐라. 미치지 않으면 성공할 수 없다고.

바라봄의 달인 야곱 이야기다.

야곱은 외삼촌 집에서 머슴살이를 14년간 했다. 외삼촌의 농간에 의해 품삯을 한 푼도 받지 못했다. 어느 날 야곱이 외삼촌(라반)에게 품삯을 달라고 강력히 요구했다. 그랬더니 라반이 야곱에게 품삯규정을 정(定) 하라고 했다. 야곱은 뜬금없는 제안을 한다. 앞으로 양이나 염소 중에 아롱다롱 점이 있는 것은 자신의 것이라고 말하자, 외삼촌 라반도 동의했다. 요즘말로 하자면, 노사 간에 임금협상이 타결된 셈이다.

야곱은 이날부터 버드나무껍질을 아롱다롱하게 벗겨서 양과 염소가 물먹는 곳에 꽂아 놓았다. 양과 염소들이 물을 먹을 때 마다 아롱다롱한 버드나무를 쳐다봤다. 기적이 일어났다. 짐승들이 새끼를 낳는데, 아롱다롱하고 튼튼한 것을 많이 낳았다. 이게 바라봄의 법칙이다. 짐승들이 아롱다롱한 나무를 쳐다보니까 새로운DNA가 생긴 것이다.

야곱은 큰 부자가 돼 금의환향(錦衣還鄕)했다.

주일무적(主一無敵)이란 말이 있다. 마음을 한곳에 집중하여 잡념을 없앤다는 뜻이다. 당신은 지금 무엇에 집중하고 있는가? 무엇을 바라보고 있는가? 맹자처럼, 야곱처럼, 노래하는 소년처럼, 한 우물을 파라. 물이 콸콸 솟아 날 때까지….

이홍기/ 원로목사

3-이홍기 목사-210-최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신세계백화점 앞 6중 추돌사고…1명 숨지고 2명 중상 등
  2. 김진명 작가 '세종의 나라'에 시민 목소리 담는다
  3. 대전문화방송과 한화그룹 한빛대상 시상식
  4. 천안시, 11월 '단풍' 주제로 모바일 스탬프투어 운영
  5. 전교생 6명인 기성초등학교 길헌분교 초대의 날 행사
  1. 세종 '행복누림터 방과후교육' 순항… 학부모 97% "좋아요"
  2. 남서울대, '제5회 국제 한국어 말하기 대회' 개최
  3. [인터뷰]장석영 대한언론인회 회장
  4. 사나래복지센터, 이웃들과 따뜻한 정 나누기 위한 사랑의 김장나눔
  5. 대한전문건설협회 대전시회, 한국건축시공학회와 업무협약 체결

헤드라인 뉴스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에서도 태평양전쟁을 겪은 세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80년이 지났고, 전쟁의 참상과 평화를 교육할 수 있는 수단은 이제 전쟁유적뿐이죠. 그래서 보문산 지하호가 일본군 총사령부의 것이었는지 규명하는 게 중요합니다."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후쿠오카 시즈야(48) 서울지국장은 5일 대전 중구 보문산에 있는 동굴형 수족관 대전아쿠아리움을 찾아왔다. 그가 이곳을 방문한 것은 올해만 벌써 두 번째로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의 종결을 앞두고 용산에 있던 일본군 총사령부를 대전에 있는 공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하호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올해 고1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시행 첫 학기를 경험한 응답자 중 10명 중 8명 이상이 '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학생들은 진로 탐색보다 대학입시 유불리를 기준으로 과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로학원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고1 학생과 학부모 4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5.5%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은 4.3%, '매우 만족한다'는..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이 개장 한 달여 만에 누적 방문객 22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갑천생태호수공원은 9월 말 임시 개장 이후 하루 평균 7000명, 주말에는 최대 2만 명까지 방문하는 추세다. 전체 방문객 중 약 70%가 가족·연인 단위 방문객으로, 주말 나들이, 산책과 사진 촬영, 야간경관 감상의 목적으로 공원을 찾았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10일간 12만 명이 방문해 주차장 만차와 진입로 혼잡이 이어졌으며, 연휴 마지막 날에는 1km 이상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시민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 수능 앞 간절한 기도 수능 앞 간절한 기도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