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포기하지않는 청년'을 위하여

  • 오피니언
  • 편집국에서

[편집국에서]'포기하지않는 청년'을 위하여

원영미 편집부 차장

  • 승인 2020-07-15 11:27
  • 수정 2021-05-09 16:35
  • 신문게재 2020-07-15 18면
  • 원영미 기자원영미 기자
원영미
원영미 편집부 차장
둘째 아이를 돌 지나고 어린이집에 보내기 시작했었다. 벌써 5년 전 쯤의 일이다. 본능적으로 타고난 막내의 어리광 기질이 때문인지 녀석은 도통 어린이집 적응을 못하고 아침마다 울어댔다. 버스가 오면 납치라도 당하는 양 기겁하는 아이를 떼놓고 오는 길이 너무 힘들었다. 버스만 보면 기절할 듯 울어 매일 유모차에 태우거나 자동차로 직접 등원을 시켰다. 노란색 어린이집 원복은 꺼내기만 해도 난리가 나 1년 다니는 동안 한 번도 입혀본 적이 없었다. 엄마와 떨어지기 싫어 손수건을 만지작거리며 우는 애를 품에 안고 어린이집 계단에 앉아 30여 분을 흔들고 어르고…. 힘겨운 날의 연속이었다. 물론 시간이 지날수록 조금씩 나아지긴 했다. 하지만 지금 7살인 이 녀석은 코로나로 유치원을 3개월이나 쉬고 나서 다시 '적응 병'이 도졌다. 요즘도 매일 아침 눈을 뜨면 슬픈 표정으로 "엄마 주말은 몇 밤 자야 와?"라며 묻는다.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전적으로 의존해 온 나로선 육아는 전쟁이다. 특히 맞벌이 부부에겐 아이 둘을 키워가며 사는 일은 그야말로 헬(hell:지옥)이란 표현이 어울린다. 아파도 아플 수 없었고 남편과의 다툼도 늘었다. 집으로 퇴근이 아닌 다시 출근, 주말도 없는 일상에 지치기 일쑤였다. 그래도 이렇게 힘들다고 어디 하소연 할 곳도 없다. 어린이집 휴원이나 코로나 사태로 인해 맞벌이 부부의 고충에 대한 기사라도 나오면 어떤 이들은 '맞벌이가 유세냐', '더 많이 벌어 자기들 쓰고 싶은 대로 쓰고 살려고 맞벌이하는 거면서 징징대지 마라', '왜 니 자식을 나라가 책임져야 하냐'는 댓글로 쏘아붙이기도 한다. 틀린 말도 아니다. 내 자식은 내가 알아서 키우는 것이 맞지.



하지만 외벌이, 맞벌이를 떠나 요즘의 육아는 옛날의 개념과 다르다고 본다. 인구감소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인구감소는 이제 '인구 절벽'을 걱정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문제다. 그 만큼 국가 차원에서 가정 내 육아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대책이 절실하다. 인구 자연감소가 지속되면서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넘어섰고, 올해는 최초로 연간 출생하는 아기의 수가 30만 명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이런저런 이유로 많은 청년들이 결혼을 포기하고 있다. 결혼해서 아이를 낳는 순간부터 '독박 육아', '지옥체험'에 빗대기도 하니 결혼을 꺼리는 것도 이해된다. '아둘(아들 둘) 맘'인 나 역시 자식들에게 결혼을 강요하고 싶은 마음이 1도 없다. 부모가 된다는 게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쏟아야 하는 지 알기 때문이다.



육아 말고도 천정부지로 오르고 있는 집값도 문제다. 10년 전에는 연애·결혼·출산을 포기한다고 해서 '3포 세대'로 불렸는데, 지금은 내 집 마련과 인간관계마저 포기해 '5포 세대'로 부른단다. 직장인들 월급은 제자리인데 계속 오르는 집값은 청년들에게 엄청난 부담이다. 청년들이 부부가 되어서도 내 집 걱정 없이 생활할 수 있게 해주는 주택정책도 꼭 필요하다. 취업이나 결혼, 내 집 마련 걱정 없이 청년들이 마음껏 사랑하고 결혼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 이들이 부모 되기를 포기하지 않는 나라가 되어야만 미래가 보다 희망적이지 않을까.
원영미 편집부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하셨어요?
  4.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5.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1. 화성시, 거점도시 도약 ‘2040년 도시기본계획’ 최종 승인
  2.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7대 광역시 중 두번째
  3. 대전권 14개 대학 '늘봄학교' 강사 육성 지원한다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충남도의회, 홍성의료원장 인사청문… 업무 수행 능력 등 다각도 검토

헤드라인 뉴스


갑천에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7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7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

  •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