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8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달 기획재정부가 개최한 총사업비 조정 심의위원회에서 대전 트램 사업 1차 총사업비가 7492억원으로 조정돼 통과 됐다. 애초 예상한 7528억원보다 36억원이 감소했다. 서대전육교 지하화 사업비 225억원과 차량 제작 감독비 등 48억원은 증액됐다. 예비비 309억원은 전액 감액됐다. 테미고개 지하화는 유보됐다.
트램 사업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의 기본계획변경 승인을 앞두고 있다. 시는 관계 부처 간 협의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이달 중으로 승인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 경우 오는 10월 설계용역에 착수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5년까지 서대전역4~정부청사~유성온천역4~서대전역4(순환선 33.4㎞), 중리4~법동~동부여성가족원~연축차량기지(지선 3.2㎞) 등 총 연장 36.6㎞, 정거장 35개소, 차량기지 1개소를 건설할 계획이다.
이처럼 총 사업비 조정을 거쳐 사업이 속도를 내면서 차량 운영방안이나, 차량 시스템의 급전방식, 우선신호 도입방안 등 트램 운영 계획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우선 가장 관심사인 노선도의 경우 최종 확정을 앞두고 있는 상태지만 트램 정거장의 세부 위치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시는 설계 용역발주에 착수할 때 공식적인 노선도와 정거장 위치를 공개할 계획이다. 순환형과 구간을 나누는 방안을 놓고도 고민 중이다.
차량시스템 급전 방식도 결정된 게 없다. 트램은 동력원에 따라 공중에 송전선이 지나는 가선방식과 그렇지 않은 무가선 방식으로 구분된다. 대전시는 무가선 방식으로 추진한다. 차량 급전 방식은 ▲무가선 배터리방식 ▲슈퍼커패시터(슈퍼캡) ▲제3궤조(APS 포함) 등 다양한 방식을 검토 중이다. 당초 대전시는 국산기술에 시험운행, 실증노선으로 대중교통으로서 안전성까지 확보 가능한 무가선 배터리방식으로 추진할 계획이었지만, 대전 트램 노선 거리를 소화하기가 쉽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다. 난방시설 작동으로 인한 전력 손실과 날씨 등 각종 변수 등을 고려하면 순환선 운행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퍼캡 방식이나 제3궤조 등 다른 방식도 운영에 따른 장단점을 갖고 있다. 급전 방식에 따라 설계 내용과 예산이 크게 바뀔 수 있는 만큼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
노선상 37개 교차로에는 트램 우선 신호체계 도입될 전망이다. 이에 따른 도로 영향 분석도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
대전시 관계자는 "현재 운영 계획 수립 및 도로영향분석 용역이 추진 중으로 빠르면 9월 중 시민공청회 등을 통해 결정될 것"이라면서 "외국 사례 등 분석을 통해 급전 방식이나 운영 방안 등을 고민하고 있다. 최초로 국내에서 상용화 되다 보니 국내 여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트램은 대전을 비롯해 부산, 대구, 울산, 수원, 경기 광주 등 전국 20여개 도시에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