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 의원은 이날 대전시의회에서 진행된 '홈플러스 폐점 및 매각 추진에 따른 피해관련자 경청 간담회'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간담회는 홈플러스가 대전 탄방점과 둔산점을 매각하기로 결정한 데 따른 입점 상인들의 피해 대책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엔 박영순 의원과 김찬술(대덕2·민주) 대전시의원, 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 지부 관계자, 탄방점 입주자, 대전시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박 의원은 홈플러스 탄방점 부지에 부동산계획사업신청서가 접수됐다는 피해 업주들의 호소에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피해 업주들은 탄방점 부지는 주상복합오피스텔이 계획돼 있고, 이에 따라 서구청에 교통영향평가가 접수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박 의원은 이를 두고 시 관계자를 향해 "교통영향평가가 서구청으로 접수된 것을 대전시는 알고 있느냐"며 "탄방점뿐만 아니라 둔산점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안과 매각 이후 과정을 파악해달라"고 주문했다.
박 의원은 또 부동산 투기가 일어나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대전에 부동산투기가 일어나게 된다면 정책의 큰 틀에서 문제가 있지 않아 싶다"며 "부디 대전시의회에 민주당 소속 의원이 21명이기 때문에 깊이 생각해주고 처리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또 흑자를 내는 홈플러스 대전 둔산·탄방점 등 2곳을 매각하는 것은 코로나 19 위기 속에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일이라고 꼬집었다. 박 의원은 "홈플러스는 대전 둔산·탄방점이 흑자 매장임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19로 어려운 위기 속에서 입점업체를 내보내고 있다"며 "오랫동안 홈플러스를 위해 일해온 노동자들은 일자리를 잃게되는 상태로 가고 있는 것"이라고 힐난했다.
홈플러스 피해 업체들은 대전시에 T/F팀을 꾸려줄 것을 요청했다.
한 입주자는 "대전 서구에서 탄방과 둔산 등 2곳이 폐점되는 가운데, 탄방은 고층의 오피스텔을 짓기 위한 교통영향평가를 넣었고, 현재 통과가 안 돼서 조정 중이라고 알고 있다"며 "이렇게 된 것은 서구청과 대전시 모두 책임이 있고, 최소한의 알 권리를 위해 대전시 주무부서 한 곳이 아닌 T/F 팀을 꾸려 대책 마련을 해달라"고 강조했다.
또 다른 업주도 "11월 말 자리를 비워줘야 하는 상황에서 적절한 보상이 마련되도록 해달라"며 "대전시 경제에도 타격이 있을 테니, 우리가 일어나서 활동할 수 있도록 도움을 부탁드린다"고 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