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로나와 추위의 이중고에 대비해 월동준비 마친 선별진료소. 중도일보 DB. |
충청권은 아직 1단계지만, 충남 아산 '선문대 모임' 등 단체 확진자가 꾸준한 만큼 2단계로 격상한다면 업계마다 막대한 타격이 이어질 것이란 우려에서다.
소상공인들은 지난 9월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의 어려움이 이어진다며 노심초사하고 있고, 수능을 앞둔 수험생과 일반 시민들도 불안감을 떨쳐내지 못하고 있다.
이날 자정부터 수도권에선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가 시행됐다. 유흥시설 등 집합이 금지되고, 식당은 오후 9시 이후 포장·배달만 허용한다. 카페의 경우는 테이크 아웃만 가능하며 실내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된다.
이날 오전 대전 서구 도마동의 한 카페에선 20대 청년 점주 신 모(28·여) 씨는 한숨을 내쉬었다. 이 업주는 지난 8월 2단계 조치를 '악몽'이라고 표현했다. 신 씨는 "9월 당시엔 영업시간과 별개로 손님 발길이 뚝 끊긴다. 동네 장사인데 단골손님도 오지 않았다"며 "아직 대전은 잠잠한데 전국 분위기가 심상치 않아 걱정하고 있다"고 두려움을 호소했다.
지난 8월 대전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가 시행 중인 당시 소상공인들의 매출이 급감했다는 통계도 있다. 한국신용데이터에 따르면 대전에선 46주차(11월 11~17일) 매출이 전년과 견줘 0.44% 떨어져 '정상' 수준을 보였다. 또 전주보다 2.86% 회복했다.
반면,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가 시행됐던 지난 8월 마지막 주를 보면 전년과 비교해 -24.23% 변동했다. 매출이 20% 이상 감소했다는 얘기다.
자영업자뿐 아니라 수능을 앞둔 학부모와 수험생도 긴장의 끈을 늦추지 않고 있다. 이 시기에 코로나19 판정을 받을 경우, 그간 해온 노력이 물거품이 될 수 있어서다. 한 수험생은 "지금 코로나에 걸리면 몸도 아프고 수능까지 나을 것 같지 않아서 무섭다"며 "무사히 수능까지 지나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시민들도 불안하긴 마찬가지다. 시민 고모(29) 씨는 "아직 1단계라 그런지, 저녁 번화가엔 여전히 밀집된 공간인데도 사람이 많고, 이런 곳에서 확진자가 나오면 파장이 커질 것 같다"며 "2단계가 되면 더 힘들어지기 때문에 많이 불안하다"고 말했다.
충청권의 경우 4개 시·도를 묶어 일 평균 30명 이상 발생할 경우 1.5단계로 격상할 수 있다. 2단계는 1.5단계 상황이 일주일 이상 유지가 되는 경우에 가능하다.
대전시 관계자는 "충청권 일 평균 13~15명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충청권에선 충남 일부 시군에서만 자체적으로 격상했고, 대전과 세종, 충북은 확진자 추이가 적어서 상황을 예의주시 중"이라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