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조감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국회 과학기술방송정보통신위원회는 2일 오후 대전 기초과학연구원(IBS) 과학문화센터에서 중이온가속기 구축사업 추진 방향 토론회를 열고 지난해 7월부터 진행한 점검 결과를 공개했다.
조무현 총괄점검단 위원장(포항공대 명예교수)은 "장치구축 분야별 점검과 예산·공정 등 추진현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사업 기간 내 목표 달성이 불가능한 상황이며 장치구축 일정과 사업 추진 방향 재설정이 필요하다"며 "특히 고에너지 가속장치 성능확보와 제작·설치 일정 등 사업 기간 예측에 불확실성이 매우 높아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IBS 라온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이하 사업단)은 그동안 세 차례의 사업계획을 변경하면서 사업 기간을 두 차례 연장했다. 올해 연말까지 저에너지구간(SCL3)과 SCL2(고에너지구간) 장치구축과 빔 인출 완료를 목표했지만 SCL2는 시제품 성능확보도 마치지 못한 상태다. SCL3 역시 성능확보 지연으로 인해 본 제품 제작·설치가 늦어지고 있는 상황으로 연말까지 구축하는 것도 장담하기 어렵다는 게 국내외 전문가의 의견이다.
점검단은 사업 추진 방향에 대해 두 가지 안을 제시했다. 첫 번째는 당초 계획한 연말까지 SCL3 중심으로 우선 구축하고 SCL2는 선행 연구개발(R&D) 수행 후 양산 제작·구축에 착수하는 방안이다. 두 번째는 사업 기간을 2025년까지 4년 연장하고 기존 장치구축 예산인 5228억 원에 추가 1444억 원을 증액하는 것이다. 그러나 첫 번째 방안은 사업이 반쪽짜리로 전락한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고 두 번째 방안은 기술적 불확실성이 커 안갯속이다. 사업단은 점검 과정에서 계획 대비 초과 지출 등을 이유로 기존 장치구축 예산인 5228억 원에 1444억 원이 더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은 바 있다.
점검단은 사업관리 강화 방안에 대해 의사결정 체계 보완과 사업체제 개편·용역관리 강화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 김경렬 포항가속기연구소 연구위원은 "R&D는 항상 평가가 필요하고 어떤 대안을 가져갈 것인지 돌아가야 하는데 천편일률적으로 스케줄을 정하면서 나타나는 부작용도 있다"며 "SCL2는 단순 일정에만 집착하지 말고 사업 관리 전략을 충분히 담아서 정리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최숙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단 전 연구위원은 "시간이 걸려도 구축해야 하는데 문제는 '어떻게'가 중요하다. 현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어디까지 와 있는지를 파악하지 못하면 방향 설정하는 것 자체가 의미가 없다"며 "해외 전문가들 모셔서 장치 하나하나 점검하고 데이터 확인하면서 실사 이뤄지고 현 상황에 대한 파악이 정확히 이뤄져야 한다. 추진 방향에 대해 1안, 2안이 낫다고 말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