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보기] 사랑하는 사람에게 무언가를 해 준다는 것

  • 오피니언
  • 세상보기

[세상보기] 사랑하는 사람에게 무언가를 해 준다는 것

대전을지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창화 교수

  • 승인 2021-07-15 10:13
  • 신문게재 2021-07-16 19면
  • 김성현 기자김성현 기자
KakaoTalk_20201217_172555732
이창화 교수.
"저는 사랑하는 남편을 위해 내 모든 것을 다해서 남편을 돌보아 주었어요. 그런데 남편은 그 고마움을 몰라요.", "사랑하는 제 아들을 위해서 내 모든 것을 쏟아 부으면서 희생을 했어요. 그런데 결혼을 하더니 제 마누라만 생각하고 전 안중에도 없는 거 같아요", "저는 그 친구를 정말 사랑해서 그 친구가 하자는 대로 다 해주었어요. 그런데 그 친구는 사소한 내 부탁하나도 안 들어 주더라고요. 다른 애들 부탁은 잘 들어주면서요." 진료실에서 환자들에게 흔히 듣는 말들이다.

내가 사랑하는 어떤 사람을 위해서 최선을 다했는데 정작 그 사람은 내 사랑과 내 노력에 아무런 보답을 안 한다는 것, 그리고 나 말고 다른 사람을 더 좋아한다는 것에 대해서 속상함, 억울함 그리고 분노를 표출하는 것이다. 필자는 그런 말씀을 하시는 환자들의 마음을 충분히 이해하고 공감한다. 이 환자분들의 마음의 고통은 어디에서 시작된 것일까? 여기서 사랑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을 해 보게 된다.

정신분석학자이자 인문주의 철학자인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은 사랑은 받는 것이 아니라 주는 것이라고 하면서 '주는 것'의 의미에 관해서 설명한다. 그는 '주는 것'에 대한 가장 큰 오해는 '주는 것'을 자신의 것을 '단념하고 희생하는 것'이라고 여기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럴 때 '주는 것'은 '박탈당하는 것'과 같은 괴로움을 동반하게 된다. 앞에서 말한 환자분들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것을 주면서 자신이 희생하고 있고 자기 삶의 소중한 시간과 노력들을 사랑하는 사람에게 빼앗긴 것 같은 마음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희생과 빼앗김에 아무런 보답도 없는 것에 대해서 속상해하고 분노하고 있는 것이다. 에리히 프롬은 진정하게 '주는 것'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진정하게 줄 때는 '주는 행위'를 통해서 자기가 가진 고상한 생명력과 풍부한 잠재력을 경험하게 되고 주는 행위 자체에서 즐거움과 기쁨을 느끼게 된다. 주는 행위 자체에서 이미 기쁨이라는 보상을 받았기 때문에 다른 보답은 필요가 없는 것이다.

에리히 프롬은 또 사랑의 기본적인 요소를 배려, 책임, 존경, 지식이라고 말한다. '책임'은 '다른 사람의 욕구에 내가 응답하는 완전한 자발적인 행동'이라고 말한다. 다시 말하면 내가 이것을 해주지 않으면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날 싫어하지 않을까 걱정되고, 날 원망하지 않을까 두렵고, 다른 사람들이 날 비난하지 않을까 염려되어서 그것을 해 주는 것이 아니라 나 스스로 그냥 해주고 싶고 마땅히 해주어만 한다고 생각해서 하는 행동이라는 것이다. '존경'은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독립적으로 성장하고 발전하기를 바라는 관심이라고 말한다. 주는 행위를 통해서 그 사람을 지배하거나 소유하려고 한다면 그것은 진정한 사랑의 행위가 아니다. 나 말고 다른 사람도 좋아한다고 억울해하고 속상해한다면 이것도 역시 사랑이 아니다(물론 이성 간의 사랑에서는 다를 수도 있다). 에리히 프롬의 말을 되새겨 보면서 다시 생각하게 된다. 만약 우리가 사랑하는 누군가에게 나의 소중한 것을 주었는데 상대방은 나에게 최소한의 보답, 최소한의 감사하다는 표현마저도 안 한다고 속상하고 억울하게 느껴진다면 나는 그 사람을 사랑해서 내 소중한 것을 준 것은 아니다. 사랑이 아닌 욕심을 가지고 그 사람에게 무언가를 해 준 것이다. 또 걱정과 두려움 속에서 무언가를 해주었다면 이것도 역시 그 사람을 사랑해서 해 준 것이 아니다. 원망과 미움 당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해준 것이다. 아들이 나 말고 자기 아내를 더 사랑하는 것 같다고 속상해하거나 나보다 다른 친구를 더 좋아한다고 분노한다면, 내 아들, 내 친구를 진정으로 사랑하는 것은 아니다. 내가 사랑하는 내 자녀, 내 아내나 남편, 내 친구에게 무언가를 해 주고 나서 속상하거나 억울한 마음이 든다면, 진정으로 사랑하는 마음에서 해 준 것인지 다시 생각해 보자.



대전을지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창화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청주시에 코스트코 입점한다
  2. 대전 중·서구 새마을금고 파크골프 어울림 한마당 성황
  3.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4.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5.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1. 9월의 식물 '아스타', 세종호수·중앙공원서 만나보세요~
  2. 대산산단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에도 '대기업들은 효과 글쎄'
  3.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 최적화된 신장질환 치료 전략 제시
  4.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5.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경로당 활성화 지원사업' 맞춤형 프로그램 마무리

헤드라인 뉴스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국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절반가량이 서울과 경기에 쏠려있는 사이 충청권은 대전 217명, 세종 78명, 충남 175명, 충북 146명으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아청소년 인구 1000명당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 격차는 서울 1.15명일 때 충남 0.56명으로 최대 격차(0.59명)를 보였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소아·청소년 의료체계 개선방안연구'에 따르면 2024년 6월 말 기준 전국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는 6490명으로, 지역별로는 서울(1510명)과 경기(1691명), 인천(350명) 등 수도권이 전체의 56%를..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대전 도심융합특구의 중심 사업인 '메가충청스퀘어'가 연내 청신호가 켜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대전 혁신도시에 자리한 '메가충청스퀘어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이 중요해지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사업은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연면적 22만 9500㎡, 지하 7층-지상 49층 규모로 컨벤션, 상업·주거시설, 호텔 등 주요 시설을 포함한 건물 2개 동을 짓는 사업이다. 대전역 동광장 일대를 중심으로 조성되는 대규모 복합 개발 프로젝트로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