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한 청년주택] 곰팡이·얼룩, 악취에 월세·옵션 정보 미제공… 대전도시공사 총체적 부실

  • 정치/행정
  • 대전

[부실한 청년주택] 곰팡이·얼룩, 악취에 월세·옵션 정보 미제공… 대전도시공사 총체적 부실

지난 3년 간 입주자들, 위치만 보고 신청한 격
살지도 않은 기간 월세 납부 요청하기도
도시공사 "홈페이지 등 전면 개편하겠다" 사과

  • 승인 2021-09-01 19:00
  • 신문게재 2021-09-02 2면
  • 신가람 기자신가람 기자
KakaoTalk_20210901_145008784
서구 탄방동의 청년매입임대주택이 한 눈에 봐도 부실한 옵션과 내부마저 너저분해 현 운영 실태를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다. 사진=제보자
곰팡이와 얼룩, 쾨쾨한 냄새, 낡은 가구, 쓰레기에 이어 허술한 관리와 부실한 운영까지.<8월 31일자 5면 보도>

대전도시공사가 소유하고 관리하는 청년 매입주택이 총체적인 부실로 비판여론이 들끓고 있다.

국가 예산을 지원받아 대학생이나 사회초년생 등 20∼30대의 청년에게 저렴하게 제공하는 강점이 있는 청년 매입주택이 대전시의 무관심과 대전도시공사 무책임 때문에 청년들에게 외면받고 있다.

장기간 방치하면서 곰팡이와 얼룩 등 허술한 위생 관리에 이어 이번에는 가격과 옵션 등 주택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조차 제공하지 않아 원성을 사고 있다. 여기에 입주도 하지 않았는데 월세와 관리비를 납부하라고 하는 등 비상식적인 행태가 공공기관이 관리하는 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전도시공사는 국토교통부의 예산을 지원받아 2018년부터 지역의 주택을 매입해 청년 매입임대주택 사업을 해왔다. 2018년에는 호당 평균 매입비용 7100만 원씩을 들여 중구 문화동과 서구 가장동에 29호를 매입했다. 2019년에는 평균 9400만 원으로 서구 용문동과 유성구 덕명동 29호를 샀다. 2020년에도 호당 평균 6677만 원을 들여 대덕구 오정동과 서구 탄방동, 동구 용전동 등 47호를 매입했고, 올해도 50호를 살 계획이다.

특히 2020년까지 총 105호의 주택을 매입했지만, 공실 호수는 중구 문화동 10호, 동구 용전동 14호 등을 포함해 총 66호가 비어있는 상황이다.

대전도시공사가 매년 매입 임대주택 호수를 늘리며 사업은 확대하고 있지만, 1년에 1회만 모집공고를 하다 보니 신청자가 없는 집은 1년 동안 제대로 관리하지 않고 방치하고 있다. 겉만 멀쩡하지 내부는 썩어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KakaoTalk_20210901_145009152
대전도시공사가 진행하는 청년매입임대주택사업의 원룸 내부(대덕구 오정동)가 가구마다 곰팡이로 가득차 있다. 사진=제보자
게다가 사전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청년들은 옵션이나 월세 등을 모른 채 위치만 보고 1 또는 2지망을 선택하는 실정이다. 선택하는 과정에서 직접 집을 갈 수도 없는데, 집에 뭐가 있고 월세가 얼마인지도 알 수 없다. 말 그대로 ‘복불복’이다.

대학생 A 씨는 "공사 직원과 동행하면서 월세나 옵션 등 기본정보를 찾아달라고 휴대폰을 건넸지만, 직원이 '아 없네요'라며 아무렇지 않게 넘겼다"며 "LH나 부동산 어플만 보더라도 원룸 사진이나 옵션 여부는 기본인데, 심지어 월세 여부도 없다는 건 우리보고 위치만 보고 살라는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사회 초년생인 B 씨는 “입주 계약을 10일에 하기로 하고 도시공사 위탁업체와 주택 하자를 점검하는 날짜를 3일로 조율했는데, 도시공사 측이 10일에 입주해도 3일에 주택 점검을 하니 그때부터 월세와 관리비를 산정해야 한다고 해서 어이가 없었다”고 말했다. 살지도 않는데 돈부터 내놓으라는 것이다.

이과 관련, 장시득 대전도시공사 사업부사장은 "입주자들에게 끼쳤던 미흡한 대응을 포함해 기본적인 실수까지 전부 과오가 커 죄송하다"며 "옵션과 월세 여부에 대해 곧바로 공지할 수 있는 홈페이지 개편 대책과 위탁업체인 주택관리업체의 철저한 대응 교육을 통해 모든 점을 개선해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소희·신가람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리시장 인근 샌드위치패널 건물 화재… 초진 마쳐
  2. 경찰청 경무관급 인사 단행… 충남청 2명 전출·1명 전입
  3. 서산시, 제3회 온(溫)가족 축제 성황리에 개최
  4. 경찰 경무관급 전보 인사는 났는데… 승진 인사는 언제?
  5. 자운대 공간 재창조 사업, '수면 위로 언제 드러날까'
  1. [교정의 날] "사회 지탱하는 교정, 첫 단추는 믿음" 대전교도소 박용배 교감
  2. [현장취재]‘헬로우 하니’ 100인의 와인다이닝 파티
  3. [중도 초대석] 우송대 진고환 총장 "글로벌 대학서 아시아 최고 AI 특성화 대학으로"
  4. 대전 대덕구, 복합 재난 상정 안전한국훈련
  5. 대전 동구, 어린이 등굣길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헤드라인 뉴스


`절치부심` 한화 이글스, 대전에서 분위기 반전 노린다

'절치부심' 한화 이글스, 대전에서 분위기 반전 노린다

2025 프로야구 한국시리즈(KS) 1·2차전을 내주며 벼랑 끝에 몰린 한화 이글스가 홈구장인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분위기 반전을 노린다. 한화는 29일 3차전 선발 투수로 에이스 코디 폰세를 LG는 좌완 투수 손주영을 내세운다. 7전 4선승제로 치러지는 KS에서 먼저 2패를 당한 한화는 벼락 끝에 몰렸다. 정규시즌 탄탄한 마운드를 앞세워 저력을 보였지만 플레이오프 5차전에서 1·2선발을 모두 소모한 대가는 예상보다 컸다. 한화 타선은 여전히 양호했으나, 선발과 불펜 운용에서 취약점을 드러냈다. 반면, 정규 시즌 우승팀인 LG는..

충남스포츠센터 문 연다… 다음 달부터 시범 운영
충남스포츠센터 문 연다… 다음 달부터 시범 운영

충남스포츠센터가 문을 연다. 다음 달부터 시범 운영에 들어가며 도민 누구나 최신 체육 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는 28일 내포신도시 충남스포츠센터 다목적체육관에서 김태흠 지사와 체육계 관계자 등 8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남스포츠센터 개관식을 개최했다. 충남스포츠센터는 예산군 삽교읍 내포신도시 환경클러스터 내 2만 615㎡ 부지에 592억 원을 투입해 건립했다. 센터는 수영장 및 통합운영센터, 다목적체육관 등 2개 동으로 구성했으며, 연면적은 1만 3318㎡이다. 수영장 및 통합운영센터는 1만 1196㎡의 부지에 연면적..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로드맵… 12월 중순 본격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로드맵… 12월 중순 본격화

해양수산부의 부산시 이전 로드맵이 오는 12월 중순 본격 실행된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28일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을 찾아 해수부 청사 이전 상황을 점검했다. 이 자리에는 김 총리를 비롯한 김재철 해수부 기획조정실장, 김성원 해수부 부산이전추진단국장, 성희엽 부산 미래혁신부시장, 박근묵 부산시 해양농수산국장, 김용수 국무2차장 등이 함께 했다. 김성원 단장은 이날 5층 임시 브리핑룸에서 해수부 청사 이전 추진 경과와 상황을 상세히 공유했다. 임대 청사는 IM빌딩(본관 20층 전체)과 맞은편 협성타워(별관 6개 층 중 일부) 2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 코스피 지수 사상 첫 4000선 돌파…4042.83으로 마감 코스피 지수 사상 첫 4000선 돌파…4042.83으로 마감

  • 초겨울 날씨에 두꺼운 외투와 난방용품 등장 초겨울 날씨에 두꺼운 외투와 난방용품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