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한 청년주택] 곰팡이·얼룩, 악취에 월세·옵션 정보 미제공… 대전도시공사 총체적 부실

  • 정치/행정
  • 대전

[부실한 청년주택] 곰팡이·얼룩, 악취에 월세·옵션 정보 미제공… 대전도시공사 총체적 부실

지난 3년 간 입주자들, 위치만 보고 신청한 격
살지도 않은 기간 월세 납부 요청하기도
도시공사 "홈페이지 등 전면 개편하겠다" 사과

  • 승인 2021-09-01 19:00
  • 신문게재 2021-09-02 2면
  • 신가람 기자신가람 기자
KakaoTalk_20210901_145008784
서구 탄방동의 청년매입임대주택이 한 눈에 봐도 부실한 옵션과 내부마저 너저분해 현 운영 실태를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다. 사진=제보자
곰팡이와 얼룩, 쾨쾨한 냄새, 낡은 가구, 쓰레기에 이어 허술한 관리와 부실한 운영까지.<8월 31일자 5면 보도>

대전도시공사가 소유하고 관리하는 청년 매입주택이 총체적인 부실로 비판여론이 들끓고 있다.

국가 예산을 지원받아 대학생이나 사회초년생 등 20∼30대의 청년에게 저렴하게 제공하는 강점이 있는 청년 매입주택이 대전시의 무관심과 대전도시공사 무책임 때문에 청년들에게 외면받고 있다.

장기간 방치하면서 곰팡이와 얼룩 등 허술한 위생 관리에 이어 이번에는 가격과 옵션 등 주택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조차 제공하지 않아 원성을 사고 있다. 여기에 입주도 하지 않았는데 월세와 관리비를 납부하라고 하는 등 비상식적인 행태가 공공기관이 관리하는 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전도시공사는 국토교통부의 예산을 지원받아 2018년부터 지역의 주택을 매입해 청년 매입임대주택 사업을 해왔다. 2018년에는 호당 평균 매입비용 7100만 원씩을 들여 중구 문화동과 서구 가장동에 29호를 매입했다. 2019년에는 평균 9400만 원으로 서구 용문동과 유성구 덕명동 29호를 샀다. 2020년에도 호당 평균 6677만 원을 들여 대덕구 오정동과 서구 탄방동, 동구 용전동 등 47호를 매입했고, 올해도 50호를 살 계획이다.

특히 2020년까지 총 105호의 주택을 매입했지만, 공실 호수는 중구 문화동 10호, 동구 용전동 14호 등을 포함해 총 66호가 비어있는 상황이다.

대전도시공사가 매년 매입 임대주택 호수를 늘리며 사업은 확대하고 있지만, 1년에 1회만 모집공고를 하다 보니 신청자가 없는 집은 1년 동안 제대로 관리하지 않고 방치하고 있다. 겉만 멀쩡하지 내부는 썩어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KakaoTalk_20210901_145009152
대전도시공사가 진행하는 청년매입임대주택사업의 원룸 내부(대덕구 오정동)가 가구마다 곰팡이로 가득차 있다. 사진=제보자
게다가 사전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청년들은 옵션이나 월세 등을 모른 채 위치만 보고 1 또는 2지망을 선택하는 실정이다. 선택하는 과정에서 직접 집을 갈 수도 없는데, 집에 뭐가 있고 월세가 얼마인지도 알 수 없다. 말 그대로 ‘복불복’이다.

대학생 A 씨는 "공사 직원과 동행하면서 월세나 옵션 등 기본정보를 찾아달라고 휴대폰을 건넸지만, 직원이 '아 없네요'라며 아무렇지 않게 넘겼다"며 "LH나 부동산 어플만 보더라도 원룸 사진이나 옵션 여부는 기본인데, 심지어 월세 여부도 없다는 건 우리보고 위치만 보고 살라는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사회 초년생인 B 씨는 “입주 계약을 10일에 하기로 하고 도시공사 위탁업체와 주택 하자를 점검하는 날짜를 3일로 조율했는데, 도시공사 측이 10일에 입주해도 3일에 주택 점검을 하니 그때부터 월세와 관리비를 산정해야 한다고 해서 어이가 없었다”고 말했다. 살지도 않는데 돈부터 내놓으라는 것이다.

이과 관련, 장시득 대전도시공사 사업부사장은 "입주자들에게 끼쳤던 미흡한 대응을 포함해 기본적인 실수까지 전부 과오가 커 죄송하다"며 "옵션과 월세 여부에 대해 곧바로 공지할 수 있는 홈페이지 개편 대책과 위탁업체인 주택관리업체의 철저한 대응 교육을 통해 모든 점을 개선해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소희·신가람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청주시에 코스트코 입점한다
  2. 대전 중·서구 새마을금고 파크골프 어울림 한마당 성황
  3.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4. 9월의 식물 '아스타', 세종호수·중앙공원서 만나보세요~
  5.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1.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2. 대산산단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에도 '대기업들은 효과 글쎄'
  3.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4.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경로당 활성화 지원사업' 맞춤형 프로그램 마무리
  5.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 최적화된 신장질환 치료 전략 제시

헤드라인 뉴스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국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절반가량이 서울과 경기에 쏠려있는 사이 충청권은 대전 217명, 세종 78명, 충남 175명, 충북 146명으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아청소년 인구 1000명당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 격차는 서울 1.15명일 때 충남 0.56명으로 최대 격차(0.59명)를 보였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소아·청소년 의료체계 개선방안연구'에 따르면 2024년 6월 말 기준 전국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는 6490명으로, 지역별로는 서울(1510명)과 경기(1691명), 인천(350명) 등 수도권이 전체의 56%를..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대전 도심융합특구의 중심 사업인 '메가충청스퀘어'가 연내 청신호가 켜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대전 혁신도시에 자리한 '메가충청스퀘어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이 중요해지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사업은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연면적 22만 9500㎡, 지하 7층-지상 49층 규모로 컨벤션, 상업·주거시설, 호텔 등 주요 시설을 포함한 건물 2개 동을 짓는 사업이다. 대전역 동광장 일대를 중심으로 조성되는 대규모 복합 개발 프로젝트로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