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in충청] 대전지역에는 어느 나라 외국인이 제일 많을까

[데이터in충청] 대전지역에는 어느 나라 외국인이 제일 많을까

지난 5년간 부동의 1위 중국, 2위 베트남… 베트남 바짝 쫒아 내년엔 추월할 듯
5개구별 유성구(5029명), 동구, 서구, 대덕구, 중구 순…올해 총 1만7002명 거주

  • 승인 2021-10-27 16:35
  • 수정 2021-10-27 16:41
  • 신문게재 2021-10-28 9면
  • 신가람 기자신가람 기자

 

컷-데이터인충청
대전지역에 있는 국적별 외국인 현황 조사결과, 1순위로 중국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외국인이 많은 지역별로는 유성구, 동구, 서구, 대덕구, 중구 순으로 조사됐다. 2021년 2분기 기준 대전시의 주민등록인구 통계조사에 따르면 대전에는 총 1만 7002명의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구별로는 유성구가 남성 3020명, 여성 2882명을 포함해 총 5902명의 외국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5개 구중에는 가장 많았고, 이어 동구에서 남성 2000명, 여성 2277명 총 4277명으로 5개 구중 두 번째로 외국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서구가 3321명(남성 1329명, 여성 1992명), 대덕구가 2114명(남성 1047명, 여성 1067명)으로 조사됐고, 5개 구중에서는 중구가 1388명(남성 496명, 여성 892명)으로 대전 지역 내 가장 적은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국적별 외국인 현황 자료를 살펴보면 한국계 중국인을 포함해 중국인이 5개 구 내 총 4812명으로 가장 많은 외국인 국적을 차지했다. 중국인 거주 지역구도 유성구(1550명), 동구(1140명), 서구(1180명), 대덕구(482명), 중구(460명)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에 이어 근소한 차이로 2순위인 국가는 베트남이다. 대전 지역 내 베트남 국적의 외국인은 총 4509명으로 나타나 중국인보다 300명가량 적은 수치를 기록했다.

 

자치구별 순위
그래픽=한세화 기자
중국과는 다르게 베트남 국적의 외국인은 유성구(1225명)보다 원도심인 동구(1387명)에 거주하는 인원이 가장 많았고, 이후 서구, 대덕구, 중구 순이다.



1순위 중국과 2순위 베트남 국적의 외국인만 합쳐도 대전 지역 내 외국인의 54%가량을 차지했다. 3순위로 대전에 많은 외국인이 거주하는 국적은 미국으로 나타났다. 1순위와 2순위였던 중국과 베트남은 4000명이 넘는 외국인이 거주했지만, 3순위부터는 600명대로 나타나 급격하게 하락한 모습을 보였다.

대전에 있는 미국 국적의 외국인 현황은 총 696명으로 나타났고, 지역구별로는 중국과 베트남과는 다르게 유성구(278명), 서구(208명)에 쏠렸다.

이어 미국인보다 25명의 차이로 4순위를 차지한 나라는 우즈베키스탄이다. 지역 내 거주하고 있는 우즈베키스탄 국적의 외국인은 총 675명으로 나타났고, 이어 5순위 국가는 필리핀(582명)으로 나타났다.

6순위부터는 400명대까지 내려온 몽골이(473명), 7순위로는 세계인구 순위 2위인 인도(400명)가 차지했다. 이어 상위권에 있을 것이라 예상했던 일본이 381명으로 나타나 8순위로 나타났고, 이어 인도네시아(378명), 대만(334명) 순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네팔, 태국, 파키스탄, 캐나다, 프랑스, 러시아 등이 100명~200명대로 나타났고, 뉴질랜드, 라오스, 말레이시아, 영국, 우크라이나, 터키, 호주 등의 국가는 두 자릿수에 머물렀다.

성별추이
그래픽=한세화 기자

대전지역에 거주하는 총 외국인 현황을 살펴보면 올해 급격하게 줄어든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대전시에서 조사한 지난 2017년부터(매년 1분기 기준) 지난 5년간 외국인 수 자료를 보면 1만7103명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1만8015명, 2019년에는 1만 8894명으로 늘어나 2년 만에 외국인 수가 10%가량 늘었다.

하지만 2020년 1만 8888명, 올해(2분기 기준)에는 17002명까지 줄어들며 지난 5년간 가장 적은 외국인 수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현황 분석에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대전에 있는 중국 국적의 외국인은 7239명, 7244명, 7205명 등 7000명대 이상을 유지했지만, 2020년 6559명을 시작으로 현재(2021년 2분기 기준) 4812명까지 줄어들며 급격한 하락세를 보인다. 지난 5년간 중국 국적의 외국인 수는 33%가량 줄었다.

이에 반면 베트남 국적의 외국인은 2017년 2670명으로 시작해 3076명(2018년), 3484명(2019년), 4252명(2020년), 4509명(2021년)까지 늘어났다. 베트남 국적의 외국인은 지난 5년 사이 68%가량 증가한 셈이다.

특히 내년에는 중국인 수까지 추월해 베트남 국적의 외국인이 대전지역에 가장 많은 외국인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전시 외국인 거주 현황
그래픽=한세화 기자
연령별 외국인 인구 현황을 살펴보면 지역 내에서는 20~24세의 외국인 4303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 25~29세(3136명), 30~34세(2464명), 35~39세(1672명). 40~44세(1130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어 50~54세(818명), 45~49세(799명), 55~59세(735명), 15~19세(485명), 60~60세(374명), 0~4세(362명), 5~9세(268명) 순으로 조사됐다.

미취학 아동을 포함해 초등학생 6학년 기준 나이(14세)까지 외국인 현황은 유성구가 총 465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구 114명, 동구 97명, 대덕구 76명, 중구 49명으로 나타났다.

15세부터 64세까지도 유성구가 5367명으로 가장 많았지만, 2순위부터는 동구(4119명), 서구(3144명), 대덕구(2011명), 중구(1275명) 순으로 나타났고, 65세 이상의 외국인 현황은 유성구(70명), 중구(64명), 서구 (63명), 동구(61명), 대덕구(27명) 순으로 조사됐다.

또 대전지역 5개 구에서 남성과 여성, 성별로 구분한 외국인 수를 비교해보면 유성구를 제외한 나머지 4개 구에서는 외국인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가람 기자 shin969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구미, 주민안전 무시한 보행자 보도정비공사 논란
  2. 안양시, 평촌신도시 정비 ‘청신호’ 가속
  3. 영천, '신성일기념관 개관 기념' 고향사랑기부 이벤트
  4. "아산페이 안 쓰면 손해"-연말까지 18% 할인 연장, 법인 10% 연장 할인
  5. 아산소방서, 전통사찰 화재 예방훈련
  1. 천안시, 청소년유해환경 개선 합동점검·단속 및 캠페인
  2. 삼성디스플레이, 취약가정에 1억5천만원 후원
  3. 아산시 음봉어울림도서관, '시선 너머의 이야기' 전시
  4. 천안법원, 음주 측정 거부한 50대에 '징역형'
  5. 천안법원, 지인 간 법적소송에서 위증한 혐의 50대 남성 무죄

헤드라인 뉴스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사상 초유의 국가 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정부는 신속한 시스템 복구에 나서 최악의 상황은 막았지만, 이번 사태가 대전 등 충청권에 가져온 과제는 만만치 않다. 무엇보다 지역 공공 자산인 국정자원 이전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나온다. 공공기관이 특정 지역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달갑지 않다. 갈수록 심화되는 수도권 일극체제를 극복하고 국가균형발전을 견인하기 위해선 지역의 공공기관을 지키고 새로운 인프라를 유치하는 노력이 시급하다. 중도일보는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시리즈를 통해..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자동차와 반도체 분야 관세율을 포함한 한미 간의 무역 협상이 최종 마무리됐다.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와 우라늄 농축 및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포함한 양국의 안보 협상도 문서 형태로 공식화됐다. 대통령실과 백악관은 14일 오전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양국의 관세·안보 협상에 대한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를 동시에 공개했다. 지난달 한미정상회담 직후 나올 예정이던 팩트시트 발표가 지연되면서 세부 내용에서 이견을 보이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지만, 이날 공개된 팩트시트에는 지난 정상회담 당시 발표된 내용이 고스란히 반영됐다..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교도소 이전사업이 8년째 진척을 보지 못하면서 대전시의 명확한 추진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제기됐다. 교도소 과밀화와 시설 노후 문제는 이미 한계를 넘었지만, 이전 사업이 장기간 답보 상태에 놓이며 후적지 개발 계획 역시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열린 대전시의회 제291회 정례회 도시주택국 행정사무감사에서 방진영 의원(더불어민주당·유성구2)은 "대전교도소는 수용률이 142.9%에 달해 전국 평균(122.1%)을 크게 웃돌고, 노후 시설로 국가인권위원회의 개선 권고까지 받..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