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in 충청] 우울증 빠진 충청... 2년새 진료환자 16% 증가

  • 사회/교육
  • 건강/의료

[데이터 in 충청] 우울증 빠진 충청... 2년새 진료환자 16% 증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 활용
충청권 우울증환자 2년새 16.2% 늘어
20~30대 여성 비율 남성 크게 앞질러
4배 늘어난 예산군, 환자 준 보령·괴산

  • 승인 2021-10-25 16:46
  • 수정 2021-10-30 16:37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컷-데이터인충청
지난해 충청권에만 8만3000여 명이 우울감을 호소하며 진료를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대전과 세종, 충남·북에서 지난 2년 전보다 우울증 진료 환자가 평균 16.2% 증가했고, 충남 부여군에서는 60~70대 남성, 청주 흥덕구에서는 30~40대 여성에게서 진료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우울증1-다시
그래픽=한세화 기자
▲우울증 진료 16% 증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대전지원의 보건의료 빅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우울증으로 병원을 찾은 사람이 충청권에서 8만3185명이었다. 대전 의원에서 우울병 에피소드(질병코드 F32), 재발성 우울병 장애(F33) 등을 진단받은 환자 수를 추출한 결과다.

대전의 우울증 환자는 2018년 1만9850명에서 지난해 2만2631명으로 2년 사이 14% 늘어났고, 환자 1명이 우울증으로 연간 의원을 찾는 내원 일수도 같은 기간 8일에서 8.4일로 증가했다. 같은 기준에서 충남은 2만3828명에서 2만7825명으로 16.7% 늘었고, 충북은 1만9772명에서 2만3325명으로 17.9% 증가했다. 세종은 3932명에 그치던 환자가 지난해 6427명으로 63% 증가하고, 연간 진료를 받는 횟수도 6.3일에서 7일까지 늘었다. 또 지난 6월 말까지 충청권에서 우울증으로 의료기관을 찾은 이들은 6만3555명으로 이는 전년대비 79%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올 연말에는 전년도를 크게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우울증2
그래픽=한세화 기자
▲20~30대 여성 비율 높아
충청권 35개 시·군 중에서는 대전 서구와 천안 서북구, 청주 흥덕구에서 20~30대 여성에게서 진료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대전에서는 병원이 모여 있는 서구에서 환자와 내원 일수 증가가 다른 자치구에 비해 눈에 띄게 늘었다. 대전 서구에서 우울증 진료인원은 지난해 9968명으로 2년 전보다 17.2% 늘었고, 20~29세 연령의 여성 내원환자가 2018년 999명에서 2019년 1290명 그리고 지난해 1624명으로 62% 증가해 대전평균을 4.4배 웃돌았다. 다만, 환자 수 기준은 해당 진료를 담당한 의원의 소재지로 환자의 거주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천안 서북구에서는 20대 남성 내원환자가 2018년 218명에서 지난해 369명으로 2년간 69% 늘어날 때 같은 지역 20대 여성 내원환자는 2018년 416명, 2019년 532명 그리고 지난해 858명으로 106% 증가했다. 청주 흥덕구에서도 10대 여성 내원 환자수가 2년 사이 37% 늘었고, 20대 여성 115%, 30대 여성 58% 증가해 같은 지역에서 10대 남성 환자 23%, 20대 남성 42%, 30대 남성 19%를 크게 넘어섰다. 충남 예산과 당진에서도 10대~30대 여성에게서 진료가 크게 증가하는 현상이 발견됐다.

▲지역격차 큰폭 확대
우울증은 시·군에 거주하는 60대 이상의 고령 남성에게도 지역 평균 이상의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충남 부여군은 60~79세의 남성 환자가 2년 전보다 64% 늘고 진료일수는 연평균 6일에서 7.7일까지 증가했는데 같은 연령대의 여성의 환자 증가율 66%, 6일→7.5일에 육박하거나 더 많았다.

충남 예산에서는 지난 2년간 우울증 진료환자가 4배 늘어나고 연간 진료일수는 4.4일에서 6.4일까지 늘었는데 사회적 현상인지 또는 정신보건 정책에 따른 변화인지 연구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같은 우울증으로 진료를 받는 이들이 늘어나는 가운데 충남 서천과 청양, 공주, 보령 논산 그리고 충북 보은, 음성에서는 우울증 환자가 2년 전보다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계룡시와 괴산군, 단양군은 연간 내원환자 수가 100명 미만으로 오히려 우울감을 토로하고 진료할 정신과 의료기관이 부족한 게 아닌지 검토가 요구된다.

대전 을지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유제춘 교수는 "우울증과 극단적 선택이 총량으로는 큰 변화가 없는 것처럼 보이나 내적으로 20~30대 여성에게서 비중이 늘어나는 경향이 뚜렷하다"라며 "코로나블루의 가족 구성원들의 스트레스가 여성에게 전가되는 것은 아닌지, 지역에 고용불안이 있는지 지자체 차원의 정신건강 분석과 정책이 요구된다"라고 설명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설] 최교진 교육장관의 '교권 보호' 언급
  2. [월요논단] 교통약자의 편리한 이동을 위한 공공교통
  3. 지질자원연 창립 77주년, 새 슬로건 'NEO KIGAM 지구를 위한 혁신'
  4. [사설] K-스틸법으로 철강산업 살려내야 한다
  5. 특구재단 16~17일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투자주간'
  1. 대전권 4년제 수시 경쟁률 상승… 한밭대·우송대 선전
  2. [홍석환의 3분 경영] 무능한 리더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
  3. 폭우에 도로 잠기고 나무 쓰러져…당진서 알레르기 환자 긴급 이송
  4. 9월 무더위 계속…16일 충남 서해안 강우
  5. 조선 조운선 '마도4호선' 첫 발굴 10년만에 선체인양…나무못과 볏짚 활용 첫 확인

헤드라인 뉴스


역대 정부 `금강 세종보` 입장 오락가락… 찬반 논쟁 키웠다

역대 정부 '금강 세종보' 입장 오락가락… 찬반 논쟁 키웠다

이재명 새 정부가 금강 세종보 '철거 vs 유지' 사이에서 오락가락 행보를 보이면서, 찬반 양측 모두의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미래 방향성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이다. 이는 이전 정부부터 반복되는 악순환이다. 실제 노무현 정부 당시에는 행복도시 내 '금강 친수보' 건립으로 추진했으나, 문재인 정부에선 주민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철거'란 상호 배치된 흐름을 보였다. 이명박 정부의 '4대강 보'와 태생이 다르나 같은 성격으로 분류되면서다. 지방정부 역시 중립적이고 실용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어, 환경부가 밀어부치기식 정책 추진을 할..

규제도 피하고 통계에도 잡히지 않는 주택신축판매업자 급증
규제도 피하고 통계에도 잡히지 않는 주택신축판매업자 급증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건설 승인을 받지 않고 주택 통계에도 포함되지 않는 ‘주택신축판매업자’가 전국적으로 8만7876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엄격한 주택법을 피하면서 주민 복리시설이나 소방시설 등 엄격한 규제조차 제대로 받지 않는 데다, 정부의 주택통계 작성과정에서도 빠져 부실한 관리를 초래해왔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이 국토교통부로 받은 ‘주택신축판매업을 영위하는 개인·법인 가동사업자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적으로 모두 8만7876개의 주택신축판매업자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주택신..

정부, 추석 성수품 역대 최대 규모 공급... 최대 900억 투입 과일 등 할인
정부, 추석 성수품 역대 최대 규모 공급... 최대 900억 투입 과일 등 할인

정부가 추석 성수품을 역대 최대 규모인 17만 2000톤을 공급한다. 최대 900억원을 투입해 과일·한우 등 선물 세트를 최대 50% 할인하며, 전국에 2700여 곳의 직거래장터를 개설한다. 정부는 1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러한 내용의 '추석 민생안정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농·축·수산물의 가격·수급 안정을 위해 공급을 확대한다. 공급 물량은 농산물 5만톤, 축산물 10만 8000톤, 수산물 1만 4000톤 등 17만 2000톤으로, 평시의 1.6배 규모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