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양승조 충남지사는 26일 177차 실국원장회의에서 충남형 외국인·다문화 정책 추진을 주문했다. 사진=충남도 제공. |
외국인 주민이 급속히 늘어나는 상황 속에서, 맞춤형 정책을 통해 다문화가 공존하는 사회를 구현하겠다는 이유에서다.
26일 충남도에 따르면, 충남 외국인 주민 수는 2010년 4만 8000명에서 2020년 12만 2000명으로 10년 간 약 3배 증가했다. 논산에 있는 모든 도민이 외국인이라고 봐도 될 정도다.
충남 총인구 대비 외국인 주민 비율도 5.6%로 전국 1위를 기록했다. 1만명 이상 거주하거나 인구 대비 비율이 5% 이상인 외국인 주민 집중 거주지역은 아산, 금산, 당진 등 6곳에 달한다.
이 때문에 외국인을 배려할 수 있는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돼 왔다.
양승조 충남지사는 이날 실국원장 회의에서 "충남은 맞춤형 정책을 통해 외국인주민과 다문화가족의 안정적인 정착을 돕고 다인종·다국적·다문화가 공존하는 사회를 구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도는 외국인 주민 사회통합에 집중한다. '충남 외국인 주민 대표자회의'를 강화할뿐 아니라 외국인 근로자 응급의료시스템, 폭력피해 이주여성 그룹홈, 외국인 근로자 쉼터 등을 운영할 계획이다.
또 다문화사업의 질적 성장도 도모한다. 다문화 사업에 대해 컨설팅을 실시하고 역량강화 교육과 인권감수성 향상을 끌어 올릴 계획이다. 또 시군별 특성에 부합하고 외국인 주민과 다문화 가족이 고른 혜택을 받는 다문화 어울림사업도 추진할 예정이다.
양승조 지사는 "외국인 주민과 다문화 가족은 대한민국과 이웃국가를 친밀하게 이어주는 가교이자, 다양성 차원에서 우리사회에 성장동력을 더하는 소중한 자산"이라며 "관련 부서에서는 충남형 외국인·다문화 정책을 내실있게 추진해 우리사회의 포용력과 성장 잠재력을 높여 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내포=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