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의 취재 기록-53]‘제1회 학술세미나’ 관심…제천 청풍호에 잠긴 ‘청풍승평계’의 비밀, 풀릴까

[10년간의 취재 기록-53]‘제1회 학술세미나’ 관심…제천 청풍호에 잠긴 ‘청풍승평계’의 비밀, 풀릴까

제천문화원, 25일 국악단체 청풍승평계(1893년 창단) 첫 학술 세미나
“우리나라 최대 규모 국악 단체”…국악 학계, 제천서 논문 발표
윤종섭 제천문화원장 “제천지역은 삭막한 이미지 도시 아닌, 국악의 고장”

  • 승인 2022-10-20 10:41
  • 수정 2022-10-27 14:56
  • 신문게재 2022-10-21 17면
  • 손도언 기자손도언 기자
2022090501000394000013092
'80여년 전, 제천 대규모 국악단체인 청풍승평계·속수승평계 단원인 이태흥(李泰興·1871~1940년)의 제적등본'…제적등본 아래 부분에 '이태흥(빨간색 부분)'이라고 한자로 적혀있다.제적등본은 제천군지 기록과 일치했다. 본보가 입수한 제적등본은 '제천 대규모 국악단체가 실제로 존재했다'는 것을 증명했다.이태흥은 속수승평계 43명 중, 서열 2위였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1893년 제천시 청풍면에서 조직된 국악 단체가 어떤 비밀을 품고 있을지 관심사다.

제천문화원은 오는 25일 제천시민회관 3층에서 국악 단체인 '청풍승평계 학술 세미나'를 처음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제천문화원에 따르면 청풍승평계 국악단체는 우륵의 정신을 이어갈 목적으로 129전인 1893년 제천시 청풍지역에서 창단했다.

청풍승평계는 창단 당시, 33명의 단원으로 출발했고 수좌와 통집, 교독, 총률 등 현재 국악관현악단의 지휘자와 악장 등처럼 직급도 갖췄다. 또 청풍승평계 단원들이 연주했던 악기는 현재의 국악관현악단처럼 다양했다.



청풍승평계의 단원들은 풍류가야(정악 가야금), 산조가야(산조가야금), 양금, 현금(거문고), 당비파(현악·8음), 향비파(현악·8음), 피리(향피리), 젓대(대금), 장고 등을 연주했다.

국악 학계는 일단, 청풍승평계가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국악 단체로 보고 있다. 일부 학계는 국악관현악단으로 보고 있는데, 학계에서 국악관현악단으로 인정받는다면 우리나라 '최초'의 국악관현악단으로 우뚝 서게 된다.

현재 공식적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국악관현악단은 1965년도에 창단한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이다. 학계가 청풍승평계를 최초의 국악관현악단으로 인정한다면 현재 국악관현악보다 72년 앞서고, 우리나라 국악관현악단의 역사도 새롭게 써야한다.

청풍승평계 단원들은 6·25 전쟁 이후 각 지역으로 흩어졌고, 악기와 악보 등은 충주호 개발 등으로 모두 청풍호에 잠겼다.

청풍승평계는 1969년 제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제천군지에 일부 기록돼 있다. 이를 토대로 본보 취재팀은 청풍승평계를 1년여 간 집중취재하면서 제천지역 국악 단체의 존재도 세상에 드러나게 됐다.

이번 학술 세미나에서 특별한 손님도 초대된다.

2022011001000565900018811
'1893년 청풍승평계와 1918년 속수승평계의 비교 분석 자료'…청풍승평계(왼쪽)에서 율원으로 있었던 '김용순, 이춘홍, 이긍연(빨간색 부분)'은 속수승평계(오른쪽) 명단에도 포함돼 있다. 청풍승평계 창단 멤버였던 3명은 속수승평계로 자리를 이동한 것인데,이는 청풍승평계가 속수승평계로 진화했다는 증거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청풍승평계(1893년)·속수승평계(1918년) 소속 단원인 이태흥(李泰興·1871~1940년)의 4대 후손이자, 그의 증손녀인 이화연(여·67) 선생이 이번 학술 세미나를 찾아, 관련 내용을 구술 증언할 예정이다. 뿐만아니라 청풍승평계 국악단체 연습실 인근에 거주했던 구술증언자도 참석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발제자는 손도언 중도일보 기자(제천 청풍승평계 발굴 기사 보고서), 노재명 국악음반박물관 관장·한국고음반연구회 대표(충북도 제천 청풍승평계의 음악사적 의의), 주재근 이화여자대학교 교수(충북 제천시 청풍승평계의 현대적 활용 및 발전 방안)다. 이들 3명은 청풍승평계의 가치와 역할, 그리고 현대적 활용방안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청풍승평계 jpg
오는 25일 제천문화원에서 개최될 제1회 청풍승평계 학술 세미나 홍보물
이번 학술 세미나의 좌장은 이형환 중앙대학교 부총장(국악 학자)이 맡는다.

또 이상기 아시아기자협회 창립회장(한국기자협회 38, 39대 회장), 한인섭 중부매일신문 발행인·대표이사, 김성우 대한민국 국·공립 예술단 국악지휘자 협회 사무국장(경주시립신라고취대 예술감독) 등이 참석해 관련 내용으로 토론을 이어간다.

예술 공연도 이어진다.

조동언 판소리 명창의 충청도 판소리 공연과 북청사자놀음, 민요 등이 학술세미나 이후 공연한다. 이들의 국악 공연은 청풍승평계의 음악 가치를 공연으로 표현할 예정이다.

윤종섭 제천문화원장은 "제천지역은 그동안 '철도, 석탄, 시멘트, 잿빛 도시' 등의 부정적인이고 삭막한 도시 이미지를 갖고 있다"며 "그러나 청풍승평계 발굴로 국악의 고장이나 예술의 고장, 인문학의 고장으로 탈바꿈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람내음] 19살부터 30년 간 동네 치안 파수꾼… 유성철 태평1동 자율방범대장
  2. '국립세종수목원', 한국관광 100선...세종시 효자 관광지
  3. 세종북부서, 설 명절 맞아 대규모 합동 순찰
  4. 완공 앞둔 대전 한화생명볼파크 현장 설명회
  5. 건양대-(사)한국창업기업가협회, 초광역 청년창업지원체계 구축 MOU
  1.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 대전교육청, 유치원 화재 예방 허술… 공사립 유치원 중 스프링클러 없는 곳 무더기
  3. 충남 석유화학산업 위기… 충남도, 올 상반기 대응계획 수립
  4. 대전변호사회 신임 회장에 최진영 변호사 선출
  5. [사이언스칼럼] 특별한 빛, 레이저

헤드라인 뉴스


대전교육청, 유치원 화재 예방 허술… 공사립 유치원 중 스프링클러 없는 곳 무더기

대전교육청, 유치원 화재 예방 허술… 공사립 유치원 중 스프링클러 없는 곳 무더기

교육시설의 자동소화장치(스프링클러) 설치가 의무화된 가운데 대전교육청이 관리하는 유치원의 화재 안전 대책은 허술한 실정이다. 대전교육청은 사립유치원의 스프링클러 설치 유무조차 파악하지 않고 있어 화재 위험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3일 대전교육청 등에 따르면 대전 국공립유치원 92곳 중 31곳은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았다. 지역 사립유치원은 대전교육청의 관리·감독하에 운영되고 있지만 스프링클러 설치 지원 대상엔 포함되지 않았다. 앞서 21일 교육부는 '교육시설 등의 안전 및 유지관리 등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령안을 심의·..

충남에서 서울역가는 철도, 이제 연결한다… 서해선-경부선 연결사업 예타 통과
충남에서 서울역가는 철도, 이제 연결한다… 서해선-경부선 연결사업 예타 통과

서해선 복선전철-경부고속철도 연결 사업이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조성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충남도는 23일 열린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심의에서 서해선 KTX 연결 사업이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서해선 복선전철이 개통은 했지만, 일부 경기도 서화성 이후 단절된 구간을 서울역과 용산역까지 잇는 대안으로 철도 연결이 본궤도에 오르는 것이다. 노선은 경기 평택 청북 서해선에서 화성 향남 경부고속선까지 상하행 7.35㎞로, 총 투입 사업비는 2031년까지 7299억 원이다. 이번 예타에서 서해선 KTX..

설 명절 이후 충청권 아파트 3870세대 입주… 전국 물량 18% 차지
설 명절 이후 충청권 아파트 3870세대 입주… 전국 물량 18% 차지

설 명절 이후 충청권에서 3800여 세대가 집들이를 예고했다. 전국적으로는 2만여 세대가 입주에 나선다. 23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올해 2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37개 단지, 2만 1404세대로 전월(3만 3723세대)보다 크게 줄었다. 특히 수도권의 입주 물량이 7250세대로 전월(1만 3980세대)의 절반 수준에 그치며, 2024년 7월(2318세대) 이후 가장 적은 수치를 기록했다. 지방에서는 전체의 66%에 해당하는 물량이 입주를 앞두고 있다. 충청권은 3870세대가 입주를 예고했는데, 이는 전국 물량의 1..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설 앞두고 북적이는 시장 설 앞두고 북적이는 시장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완공 앞둔 대전 한화생명볼파크 현장 설명회 완공 앞둔 대전 한화생명볼파크 현장 설명회

  • 세뱃돈 봉투는 ‘고향사랑기부제’ 홍보 봉투로 세뱃돈 봉투는 ‘고향사랑기부제’ 홍보 봉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