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여년 전, 제천 대규모 국악단체인 청풍승평계·속수승평계 단원인 이태흥(李泰興·1871~1940년)의 제적등본'…제적등본 아래 부분에 '이태흥(빨간색 부분)'이라고 한자로 적혀있다.제적등본은 제천군지 기록과 일치했다. 본보가 입수한 제적등본은 '제천 대규모 국악단체가 실제로 존재했다'는 것을 증명했다.이태흥은 속수승평계 43명 중, 서열 2위였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
제천문화원은 오는 25일 제천시민회관 3층에서 국악 단체인 '청풍승평계 학술 세미나'를 처음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제천문화원에 따르면 청풍승평계 국악단체는 우륵의 정신을 이어갈 목적으로 129전인 1893년 제천시 청풍지역에서 창단했다.
청풍승평계는 창단 당시, 33명의 단원으로 출발했고 수좌와 통집, 교독, 총률 등 현재 국악관현악단의 지휘자와 악장 등처럼 직급도 갖췄다. 또 청풍승평계 단원들이 연주했던 악기는 현재의 국악관현악단처럼 다양했다.
청풍승평계의 단원들은 풍류가야(정악 가야금), 산조가야(산조가야금), 양금, 현금(거문고), 당비파(현악·8음), 향비파(현악·8음), 피리(향피리), 젓대(대금), 장고 등을 연주했다.
국악 학계는 일단, 청풍승평계가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국악 단체로 보고 있다. 일부 학계는 국악관현악단으로 보고 있는데, 학계에서 국악관현악단으로 인정받는다면 우리나라 '최초'의 국악관현악단으로 우뚝 서게 된다.
현재 공식적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국악관현악단은 1965년도에 창단한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이다. 학계가 청풍승평계를 최초의 국악관현악단으로 인정한다면 현재 국악관현악보다 72년 앞서고, 우리나라 국악관현악단의 역사도 새롭게 써야한다.
청풍승평계 단원들은 6·25 전쟁 이후 각 지역으로 흩어졌고, 악기와 악보 등은 충주호 개발 등으로 모두 청풍호에 잠겼다.
청풍승평계는 1969년 제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제천군지에 일부 기록돼 있다. 이를 토대로 본보 취재팀은 청풍승평계를 1년여 간 집중취재하면서 제천지역 국악 단체의 존재도 세상에 드러나게 됐다.
이번 학술 세미나에서 특별한 손님도 초대된다.
'1893년 청풍승평계와 1918년 속수승평계의 비교 분석 자료'…청풍승평계(왼쪽)에서 율원으로 있었던 '김용순, 이춘홍, 이긍연(빨간색 부분)'은 속수승평계(오른쪽) 명단에도 포함돼 있다. 청풍승평계 창단 멤버였던 3명은 속수승평계로 자리를 이동한 것인데,이는 청풍승평계가 속수승평계로 진화했다는 증거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
발제자는 손도언 중도일보 기자(제천 청풍승평계 발굴 기사 보고서), 노재명 국악음반박물관 관장·한국고음반연구회 대표(충북도 제천 청풍승평계의 음악사적 의의), 주재근 이화여자대학교 교수(충북 제천시 청풍승평계의 현대적 활용 및 발전 방안)다. 이들 3명은 청풍승평계의 가치와 역할, 그리고 현대적 활용방안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오는 25일 제천문화원에서 개최될 제1회 청풍승평계 학술 세미나 홍보물 |
또 이상기 아시아기자협회 창립회장(한국기자협회 38, 39대 회장), 한인섭 중부매일신문 발행인·대표이사, 김성우 대한민국 국·공립 예술단 국악지휘자 협회 사무국장(경주시립신라고취대 예술감독) 등이 참석해 관련 내용으로 토론을 이어간다.
예술 공연도 이어진다.
조동언 판소리 명창의 충청도 판소리 공연과 북청사자놀음, 민요 등이 학술세미나 이후 공연한다. 이들의 국악 공연은 청풍승평계의 음악 가치를 공연으로 표현할 예정이다.
윤종섭 제천문화원장은 "제천지역은 그동안 '철도, 석탄, 시멘트, 잿빛 도시' 등의 부정적인이고 삭막한 도시 이미지를 갖고 있다"며 "그러나 청풍승평계 발굴로 국악의 고장이나 예술의 고장, 인문학의 고장으로 탈바꿈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