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룡다문화] 빛의 일기=오죽헌

  • 다문화신문
  • 계룡

[계룡다문화] 빛의 일기=오죽헌

  • 승인 2024-09-25 15:40
  • 신문게재 2024-09-26 8면
  • 고영준 기자고영준 기자
오죽헌(당리)
한국 지폐 중에 가장 큰 금액인 오만원권에 있는 신사임당(1504~1551)의 이름이 왜 네 글자인지 궁금하여 알아보니 신사임당의 '신(申)'은 성이고 '사임당'은 호였다. '임(任)'은 중국 주대(周代) 주무왕(周武王)의 어머니 '태임(太任)'을 가리키고, '사임(任)'은 '태임(太任)에게 배울 것이다"라는 뜻이다. 신사임당에 관련된 드라마 <빛의 일기>도 있다고 들었다.

흥미가 생겨 좀 더 깊이 있게 신사임당을 알고 싶어서 근래 가족과 함께 강원도 강릉시에 위치한 신사임당이 살던 주택 '오죽헌'에 갔다 왔다.

주택의 정문 밖에는 식물이 울창하게 자라 있고, 안쪽의 건물의 처마가 은은하게 보인다. 이 화면은 바로 (구판)오천원권 지폐의 뒷면에 등장한다.

들어가서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무성한 검은 대나무(오죽·竹)와 조선 초기에 지어진 별당건물 '오죽헌'이고 그 중 하나의 방이 바로 신사임당의 둘째 아들인 율곡선생(1536~1584)이 태어난 '몽룡실'이다.



흥미로운 점은, 비록 '오죽'이라고 불리지만, 대나무의 나이에 따라 청록색, 황색, 황갈색, 진갈색 등 다양한 색조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이 고아한 오죽헌, 아름다운 오죽과 율곡선생의 초상화는 오천원권 지폐의 앞면에 나타난다. 주택 안에는 사랑채, 문성사, 어제각 등이 있는데 어제각에는 율곡선생이 사용했던 벼루도 보관되어 있다.

이 벼루는 (구판)오천원권 지폐의 뒷면에 보인다. 주택 외부는 원래 농경지였지만, 지금은 '초충도 화단'으로 조성되어 있다. 왜냐하면 신사임당의 대표 작품이 '초충도'이기 때문이다. '초충도'에는 메뚜기, 귀뚜라미, 조롱박, 나비, 잠자리, 개미, 작은 쥐, 수박, 포도, 가지, 수탉 꽃, 양귀비꽃 등이 많이 나온다.

'초충도'를 자세히 보면 마치 동화책을 보는 것처럼 재미있다. 어떤 작은 쥐는 수박을 몰래 먹고 있고, 나비는 수탉 꽃과 함께 화려하게 날아다니고 있으며, 개구리가 작은 벌레를 주시하고 있는 모습은 마치 다음 순간에 뛰어오를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오만원권 지폐의 앞면, 오천원권 지폐의 뒷면에는 다양한 '초충도'가 등장한다.

△50,000 앞면: 신사임당의 초상화, 신사임당의 초충도

△5,000 앞면: 신사임당의 둘째 아들 율곡이이의 초상화, 오죽헌, 오죽

△5,000 뒷면: 신사임당의 초충도

△(구판)5,000 앞면: 오죽헌 정문 전경

△(구판)5,000 뒷면: 율곡선생이 사용했던 벼루

사실 신사임당은 그림 분야에서 유명할 뿐만 아니라 문학에서도 매우 높은 경지를 가지고 있었기에 <어머니를 그리며> 등의 시도 '오죽헌'에서 전시되어 있다. 신사임당이 서울 시댁에 있을 때 고향에 혼자 계시는 친정어머니를 그리며 다음과 같이 시를 지었다.

산 첩첩 내 고향 여기서 천리

꿈속에도 오르지 고향 생각 뿐

한송정 언덕 위에 외로이 뜬 달

경포대 앞에는 한줄기 바람

길매기는 모래톱에 헤어졌다 모이고

고깃배는 바다 위를 오고가계지

언제쯤 강릉 길 다시 밟아가

어머니 곁에 앉아 바느질 할까

'오죽헌'을 참관하면서 신사임당이 어머니로서의 현덕한 교육관, 자식으로서의 애틋한 마음, 그리고 예술가로서의 비범한 관찰력과 상상력에 대해 잘 알게 되었다. 일상 생활 속에 흔히 볼 수 있는 얇은 지폐가 고아한 '오죽헌'에서 두꺼운 매력적인 예술과 역사책으로 되었다. 평범해 보이는 지폐 속에 숨겨진 평범하지 않은 문화와 감정도 매우 흥미롭고 감탄을 자아낸다.

당리 명예기자(중국)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홍대용과학관, 8일 개기월식 온라인 생중계 운영
  2. [날씨]200년 빈도 폭우 쏟아진 서천…시간당 137㎜ 누적 248㎜
  3. 일과 중 가방 메고 나간 아이들, 대전 유치원서 아동학대 의혹
  4. 충청권 ‘노쇼 사기’ 올해만 464건·피해 67억원… 검거는 3명뿐
  5. 이장우 "0시축제 3대하천 준설…미래위해 할일 해야"
  1. 1년치 단순통계 탓에 400여개 환자병상 사라질판…"현저한 의료격차 만들어"
  2. KAIST 교직원, 법인카드 이용 횡령 의혹… 경찰 수사 착수
  3. 8일부터 2026학년도 수시 모집… 전년과 달라진 점은?
  4. [2026 수시특집-우송대] 지역 한계 넘어 세계로… 국제화 역량·특성화 교육성과 입증
  5. [홍석환의 3분 경영] 문득 생각나는 사람

헤드라인 뉴스


1년치 단순통계 탓에 충청 400여개 환자병상 사라질판

1년치 단순통계 탓에 충청 400여개 환자병상 사라질판

<속보> 보건복지부가 뇌졸중과 파킨슨병으로 집중 재활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필요한 병상 총량을 내년부터 대전에서 26%, 충북에서 30% 감축하겠다고 발표해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2024년도 한 해의 환자 통계를 가지고 기계적으로 병상 수를 조정하면서 인구 적은 광주 목표 병상수는 62% 오히려 증가해 대전 인구 1만명당 4.05병상일 때 광주는 6.3병상으로 불평등이 발생할 소지가 커졌다. 7일 지역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가 최근 발표한 제3기 재활의료기관 지정 예고 고시문에 대전과 충북에서만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병상을 감..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발의 코앞… 여야 정부 공감대 `안갯속`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발의 코앞… 여야 정부 공감대 '안갯속'

내년 출범을 목표로 추진 중인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위한 특별법안이 빠르면 이번 주 국회에 제출된다. 두 시·도는 실질적인 지방정부 구현을 강조하며 통합에 속도 내고 있는 가운데 특별법 국회 통과를 위한 여야와 정부의 공감대를 얻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7일 대전시와 충남도에 따르면 이달 중 국민의힘 성일종 의원(서산태안)이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을 대표 발의할 예정이다. 시·도와 성일종 의원실은 현재 여야 의원 50명 이상을 공동 발의자로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실제 대전시는 지역 국회의원들과 만남을 통해 행정통합 추진을 위..

`노조파업 전성시대 열리나` 커지는 우려감
'노조파업 전성시대 열리나' 커지는 우려감

노란봉투법 통과 이후 자동차와 조선업 분야에서 노조 파업이 잇따르면서 '노조 파업 전성시대'가 열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연관성을 부정하며 긴급 진화에 나섰지만, 지역 경영계는 법 통과가 노조파업의 도화선이 됐다고 보고 있다. 현대자동차와 한국GM, 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HD현대삼호 등 국내 주요 자동차·조선업 노조는 기본급 인상과 정년 연장을 요구하며 줄줄이 파업을 선언했다. 노사 갈등이 연쇄적으로 폭발하는 양상이다. 이에 고용노동부는 지난 4일 설명회를 열고 "이번 파업은 임단협 과정에서 임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