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신세계 Art & Science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대전 지역은 물론 전국의 베이커리 맛집을 소개하기 위해 마련됐다"며 "앞으로도 대전신세계는 다양한 국내외 맛집을 대전에서 가장 먼저 엄선해 선보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논란에 앞서 미완의 과제로 남겨진 '여성가족부(서울)와 법무부(과천)'의 세종시 이전. 2개 부처는 정부세종청사 업무 효율화 취지를 감안할 때, 2019년 행정안전부와 함께 동반 이전 필요성이 제기됐으나 이런저런 이유로 미뤄져 6년을 소요하고 있다. 해수부 이전이 2025년 12월까지 일사처리로 진행될 양상이나 여성가족부와 법무부 이전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새 정부의 입장도 애매모호하게 다가오고 있다. 2025년 6월 3일 대선 이전에는 '법무부와 여성가족부'의 동시 이전이 추진되던..
전국 최고 수준의 상권 공실에 놓여 있는 세종특별자치시. 코로나 19 이전 과다한 상업용지 공급과 이후 경기 침체와 맞물려 '자영업자의 무덤'이란 수식어가 따라 붙었다. 행정수도란 장밋빛 미래와 달리 지연된 국책사업과 인프라는 상권에 희망고문을 가하기 시작했고, 최고가 낙찰제는 상가 분양가와 임대료의 거품을 키우며 수분양자와 임차인 모두에게 짐이 되고 있다. 세종시가 상권 업종 규제 완화부터 전면 공지(상권 앞 보도 활용) 허용 확대에 나서고 있으나 반전 상황에 이르기에는 역부족이다. 최근 개·폐업의 쳇바퀴 아래 지역 상권의 공실..
실시간 뉴스
12분전
서산시, 인공지능(AI)로 여는 스마트 미래 복합 행정, 적극 추진34분전
충남 서부평생교육원 이평로 문해교사, 충청남도 문해교사 대상 도지사상 수상37분전
성일종 국회의원·농협경제지주, 서산 취약계층에 우리 농산물 기부54분전
서산시 지곡면 왕산마을의 실험, '감태빵'에서 '삼계탕'까지1시간전
더불어민주당 서산태안지역위원회, 태안석탄발전소 폐지 따른 특별지원법 제정 촉구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오피니언
사람들
기획연재
추천기사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