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동구청 전경./동구 제공 |
김진홍 부산 동구청장은 18일, HMM 본사의 부산 이전을 강력히 촉구하며 이는 단순한 기업 이전이 아닌 해운·항만산업의 균형 발전과 국가 물류 경쟁력 강화, 나아가 지역 균형 발전이라는 중요한 국가적 과제임을 강조했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의 'HMM 본사 부산 이전' 공약이 국가적 약속임을 분명히 했다. 부산 동구청이 제시한 HMM 부산 이전의 핵심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HMM은 대한민국 국적 해운 재건의 상징이다. 본사를 서울에 두고 부산항을 거점으로 활용하는 현재의 비효율적인 구조를 해소하고, 국내 최대 항만이자 글로벌 해운 네트워크의 중심인 부산항, 특히 미래 해양산업의 핵심 축인 북항으로 본사를 이전해야 진정한 해운 중심국가로 도약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둘째, 북항은 해양산업 집적과 미래지향적 도시 인프라를 동시에 갖춘 최적지다. 북항 재개발 지역은 해양수산부, 해양진흥공사, 해양연구기관 등이 집약된 해양클러스터로 발전 중이다. 또한, 전 세계가 주목하는 북극항로 개척의 최적 거점 항만으로서 부산은 아시아에서 북극항로로 진출하는 중요한 기점이다.
HMM의 북항 이전은 이러한 지리적, 산업적, 전략적 필연성에 따른 것으로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임을 역설했다.
셋째, 지역균형발전과 수도권 일극 체제 해소의 계기가 돼야 한다. 서울에 집중된 산업 본부 구조는 국가적 비효율을 야기하고 있다. HMM의 부산 이전은 단순한 기업의 지방 이전이 아닌, 대한민국 산업 구조를 정상화하고 수도권 과밀을 해소하는 역사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구소멸 위기를 겪는 부산 동구가 북항과 부산역을 낀 교통 및 물류의 중심지로서 HMM과 함께 제2의 도약을 이루기를 기대하고 있다.
김진홍 동구청장은 "HMM의 부산 이전은 해운강국 대한민국, 균형발전 국가 대한민국을 만드는 출발점"이라며, 해양수도 부산의 중심인 북항에서 HMM과 함께 새로운 미래를 열어나갈 것을 천명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