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이야기]보르도 둘러싼 英-佛 백년전쟁

[와인이야기]보르도 둘러싼 英-佛 백년전쟁

⑥ 와인의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들

  • 승인 2007-03-15 00:00
  • 신문게재 2007-03-16 9면
  • 박한표 교수박한표 교수
17세기 유리병·코르크마개 개발
와인 제조·보관에 획기적 전기
20년간 전염병에 황폐화되기도


1.백년전쟁: 1152년 당시 프랑스의 한 공국(公國)이었던 아끼뗀느 공주인 알리에노르가 국왕 루이 7세(1137~1180)와 이혼하고 앙주 지방의 백작이었던 앙리 쁠랑따주네와 재혼했다. 바로 이 앙주 공작이 이후에 영국 왕 헨리 2세(1154~1189)가 되고 새로이 쁠랑따주네 왕조를 열게 되었으며 왕비가 지참금으로 바쳤던 보르도와 서남부 일대의 영토는 영국의 땅이 된다.

보르도와 서남부 지방의 와인은 곧 바로 영국의 식탁에 올랐고 프랑스의 왕위 계승권마저 주장하는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 백년전쟁(1337~1453)이 일어났다.

이 전쟁이 끝날 무렵 영국의 이익을 위해 끝까지 싸웠던 딸보(John Talbot) 장군이 1453년 까스띠옹(Castillon) 전투에서 전사함으로써 영국의 보르도지방 소유는 끝을 보게 되었고 또한 백년 전쟁도 끝나게 되었다. 이 후의 역사 속에서도 영국과 프랑스의 관계는 평탄치 못했다. 프랑스의 루이 14세가 집권하면서 두 나라의 관계는 극도로 악화되었다.

영국은 이에 맞서 보르도 와인을 금수조치하기에 이르렀고 보르도의 대체 시장을 찾아 나섰다. 바로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훌륭한 대체 시장으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이로 인해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와인이 발달하는 계기가 되었다. 19세기에 가야 영국과 프랑스는 관계 개선을 한다.

2. 유리병 개발: 17세기 유리병의 개발로 와인산업이 발전하면서 유명 와인에 라벨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1679년에는 동 페리뇽수사가 샴페인과 코르크 마개를 개발하여 와인의 제조와 보관에 있어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했다.

3. 프랑스 대혁명: 프랑스 혁명 이전의 영주나 수도원 소유였던 와인 산업의 시스템에 엄청난 변화가 일어났다.

프랑스 대혁명은 구체제와 신분제 등 왕정제도를 타파하고 새로운 부르주아 시민 사회의 탄생을 가져온 시민혁명이었다. 파리의 시민과 부르고뉴 등지의 농민들이 봉기한 것이다. 파리의 시민들은 바스티유 감옥을, 지방의 농민들은 영주의 성과 교회나 수도원들을 불태웠다. 혁명 정부는 봉기한 농민들에게 당시 교회와 영주가 소유하고 있던 토지, 물론 포도밭도 몰수하여 나누어 주었다.

따라서 오늘날 부르고뉴의 포도밭들은 영세한 규모로 여러 소유주들에게 나뉘어져 내려오고 있는 것이다. 이에 비해 보르도 지역은 곧바로 신흥 금융자본에 의해 포도경작지가 대규모로 재통합되면서 넓은 경작지로 남게 된 것이다.

4. 큰 재앙: 1800년대부터 약 20년간 필록세라(Phylloxera)라는 전염병이 침투하여 포도원이 황폐화 되었다.

필록세라는 딱정벌레 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포도나무의 뿌리와 잎에 기생하여 혹을 만들어 나무를 말라죽게 하는 무서운 해충이다. 이후 유럽 전역에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 등 신세계 여러 나라로 이 포도 나무의 전염병이 번져 나갔다.

이 필록세라를 옮긴 것은 접목을 위해 들여왔던 미국의 포도나무였다. 그리고 역설적으로 이 전염병으로부터 포도나무를 구해준 것도 미국의 포도나무였다.

지금도 미국에서 들여온 수백만 그루의 토종 뿌리에 유럽의 포도나무 몸통을 접붙여 식재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 증여세 부담 줄이는 추가 방법은?
  2. 대전·세종·충남 제조업 생산 '위축'에도 수출은 '활기'
  3. [2026 수시특집-건양대 이렇게 뽑는다] 1639명 선발… 의학·국방·신산업 인재 육성
  4. '택배 쉬는 날' 앞두고 바쁜 기사
  5. [2026 수시특집-건양대] 글로컬·RISE 지역과 함께 성장… 취업 명문 건양대의 도전
  1. 광복절 앞두고 무궁화로 그려진 한반도 ‘눈길’…관리는 ‘아쉬움’
  2. 소상공인 2명 중 1명 "민생회복 소비쿠폰 시행이후 매출 올라"
  3. 대전현충원 의사상자 묘역 활용 해외 독립유공자 안장 '신중론'
  4. [프리즘] 광복 80돌을 맞이한 단상과 성찰
  5. 대전신용보증재단, ‘청렴한빛네트워크’ 결의대회 진행

헤드라인 뉴스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위해 `행정수도 완성·2차 공공기관 이전`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위해 '행정수도 완성·2차 공공기관 이전'

국정기획위원회가 제안한 이재명 정부의 5대 국정 과제(안)는 국민이 하나 되는 정치, 세계를 이끄는 혁신경제,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기본이 튼튼한 사회, 국익 중심의 외교안보 등이다. 이 중 관심을 끄는 건 지역과 계층 간 불평등을 해소하고 수도권과 지역, 대기업과 중소기업, 노동자와 경영자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목표로 제시된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과제다. 구체적으로는 ‘5극 3특’ 중심의 혁신·일자리 거점 조성, 광역 교통망 연계, 행정수도 세종 완성, 2차 공공기관 이전 착수 등을 통해 골고루 잘사는 대한민국을 구현한..

전국 각지에서 찾아… `직장인 밴드 대전` 16일 대망의 본선
전국 각지에서 찾아… '직장인 밴드 대전' 16일 대망의 본선

중부권 최대 직장인밴드 음악경연 대회인 '2025 직장인 밴드 대전'이 한층 더 화려해진 무대로 찾아온다. 중도일보 주관으로 열리는 직장인 밴드 대전은 대전 대표 축제인 '0시 축제' 기간 마지막날인 16일 대전 중구 우리들공원 특설무대에서 대망의 본선이 진행된다. 작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열리는 직장인 밴드대회는 대전을 넘어 중부권 대표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우리나라 각계각층에서 주축으로 활동하고 있는 직장인들의 잠재돼 있던 끼와 열정을 발산, 미래 발전 동력으로 삼고 지역 문화 중흥을 위해 마련됐다. 특히, 첫 대회 때..

신임 교육부장관에 최교진 세종교육감 지명...최종 인선 주목
신임 교육부장관에 최교진 세종교육감 지명...최종 인선 주목

3선의 최교진(72) 세종시교육감이 13일 이진숙 후보 낙마 이후 신임 교육부장관에 지명됐다. 이재명 정부는 그동안 걸어온 이력과 일선 교육 경험,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 회장, 충청권 인사 안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 같은 결정을 한 것으로 보인다. 충청권 다른 인사 2명 외 다른 지역 교육 인사도 후보군에 올랐으나, 최종적으로 최 교육감으로 무게 중심을 실었다. 최 교육감은 그동안 혁신학교와 고교 상향 평준화, 공교육 강화, 초등학교 학력 시험 폐지, 캠퍼스형 고교 설립, 고교 학점제 선도적 시행 등으로 세종형 교육의 모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천 개의 마음 모여 완성한 대형 태극기 천 개의 마음 모여 완성한 대형 태극기

  • 국군간호사관학교 67기 생도 ‘나이팅게일 선서’ 국군간호사관학교 67기 생도 ‘나이팅게일 선서’

  •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들 대전서 표심 경쟁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들 대전서 표심 경쟁

  • 광복절 앞두고 무궁화로 그려진 한반도 ‘눈길’…관리는 ‘아쉬움’ 광복절 앞두고 무궁화로 그려진 한반도 ‘눈길’…관리는 ‘아쉬움’